콘텐츠 바로가기


6.25전쟁 더보기

  • 6.25전쟁연표
  • 전선의 변화
  • 유엔 참전국
  • 전쟁속의 통계
  • 주요 작전명령

참전국

  • 참전국 전체보기
  • 의료지원국 보기
  • 물자지원국 보기

오스트레일리아

(사진)UN군 참전기념(호주), 1951, DH20000080

UN군 참전기념(호주), 1951, DH20000080

원문보기
(사진)UN군 참전기념(호주), 1951,  DH20000081

UN군 참전기념(호주), 1951, DH20000081

원문보기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정부의 군사원조 조치는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호주는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1만 5천 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 가운데서 1개 대대 병력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호주는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역에서 미군과 함께 연합작전을 수행한 바 있으며, 유럽에서도 많은 전투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유엔 한국위원단 회원국인 호주는 남북한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유엔이 파견한 군사조사단에 1950년 초 유일하게 2명의 장교를 파견했기 때문에 남한의 방어태세와 북한의 침공위협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호주 제3대대는 1950년 9월 27일 한국에 도착해 유엔군의 북진단계부터 곧바로 작전에 참가했다. 사리원 전투에서 적극적인 백병전을 벌여 후퇴 중인 북한군을 격멸함으로써 작전속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 이들은 영유리 전투, 박천 전투, 가평 전투, 마량산 전투 등에서 뛰어난 전투능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