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학교건축도면 컬렉션
HOME                        검색 상세검색
컬렉션 소개 3D 복원 기록물 검색
학교검색
도면검색
가나다검색
상세검색
해제검색
공업전습소,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고등공업학교
공업전습소,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고등공업학교


현재의 종로구 동숭동 199번지 일대는 대한제국기 이래로 공업교육시설이 입지하던 곳이었다. 1907년에 공업전습소와 탁지부 부속 중앙시험소(이후 총독부 부속 중앙시험소로 바뀜)가 입지하였으며, 이후 1916년에는 경성공업전문학교(이하 경성공전)가 입지하였고, 1922년에는 경성고등공업학교(이하 경성고공)로 개편되었으며, 1944년에는 경성공업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으로 편입되었으며, 부지의 건물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이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부지에는 과거 공업전습소 본관만이 남아 옛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인 변모 양상을 살펴보면, 그 기원은 대한제국이 설립한 농상공학교(1904)에서 시작하며, 1906년 8월에 분리되어 농과는 수원농림학교, 공업과는 관립 공업전습소가 되었다. 이에 따라 1907년에 <관립공업전습소 규칙>에 의거하여 한성부 동서 이화동에 관립 공업전습소가 설립되었다. 이후 1912년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가 설립되면서 시험소의 부설 공업전습소로 귀속되었으며, 1916년 4월 [조선총독부 전문학교 관제]와 [경성공업전문학교 규정]이 제정ㆍ공포되면서 경성공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기존의 공업전습소는 학교의 부속기관으로 흡수되었다. 1922년 3월 [조선총독부 제학교 관제]가 공포되고 4월 [경성고등공업학교 규정]이 공포되면서 경성공업전문학교가 경성고등공업학교로 개편되었고, 부속기관인 공업전습소는 경성공업학교로 분리되었다. 경성고등공업학교는 1944년 4월 경성공업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가 1945년 해방을 맞이하게 된다.

공업전습소는 실제 업무에 종사할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을 그 주요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보통학교나 소학교 졸업자들이 입학하였으며, 그 수업연한은 2년이었다. 학과는 목공과, 금공과, 직물과, 화학제품과, 도기과를 설치하였다.
경성공전과 그 후신인 경성고공은 고등보통학교나 중학교 졸업자를 입학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연한은 3년이었다. 학과는 경성공전 시기에는 염직과, 응용화학과, 요업과, 토목과, 건축과과 있었으며, 경성고공으로 개편되면서 방직학과, 응용화학과(요업부, 색염부, 응용화학부), 토목학과, 건축학과, 광산학과가 설치되었다. 이후 1938년에 기계공학과 및 전기공학과가 신설되었고, 토목학과 및 건축학과가 토목공학과 및 건축공학과로 개편되었으며, 광산학과는 2학년부터 채광부와 야금부로 분과되었다. 1939년 경성광산전문학교 설립으로 광산학과는 이관되었으며, 1944년 4월 칙령 제236호에 의해 다시 경성공업전문학교로 개칭되면서 교과과정이 대폭 축소되었다. 이 때에는 방직과, 화학공학과, 토목과, 건축과, 기계과, 전기과가 설치되었으며, 전기화학과, 원동기과, 전기통신과가 신설되었다.
경성공전, 경성고공은 근대기의 공업교육의 중심에 있었지만, 운영에 있어서는 일본인들이 관리직이나 교수진을 독점하였고 한국인 학생은 30%이내로 입학을 제한하는 등 식민지교육기관으로서 그 한계가 있었다.

공업전습소, 경성공전, 경성고공의 자세한 모습은 현재 알기 힘들지만, 각종 배치도와 개별건물의 상세도들을 통해서 대략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초기의 공업전습소는 부지면적이 12746평 상당으로 매우 큰 규모의 학교였다. 본관과 관리동 이외에도 7개의 실습동과 부속 실습장, 공장, 기숙사, 관사 등이 건립되어 있었다. 서쪽의 도로에 면한 본관 건물 좌우로 응용화학과 건물과 분절실이 위치하였으며, 뒤쪽으로는 개별건물들과 이어지는 긴 회랑이 설치되었다. 회랑은 전체 부지의 절반을 가로지르는 T자형으로 설치되었으며, 이 회랑에 각 교실과 실험실, 공장 등이 붙어 있는 배치를 볼 수 있다. 부지의 동쪽 끝에는 기숙사와 식당이 위치하며, 남서쪽으로는 관사가 위치하였다. ([도판1] 참조)
[도판2]는 경성공업전문학교의 배치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대부분의 건물이 공업전습소 시기의 건물이 그대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지 동쪽 끝의 식당 앞 기숙사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신축 예정임을 알 수 있다.
[도판3]은 ‘중앙시험소병공업전문학교 부지실측평면도’로 1916년(대정5년)에 작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6년은 경성공전이 설립된 시기로 그 이전 시기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서쪽의 본관을 중심으로 서쪽의 건물들은 이전 시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부지의 중앙에는 남북으로 긴 서향의 ㄷ자형 교실 건물이 건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기존의 공업전습소에 비해 공업전문학교에서는 더 많은 교실이 필요했었음을 엿볼 수 있다. 교실동 뒤쪽으로는 이전 시기와 다르지 않게 개별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건물은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지의 동쪽 끝으로 부지가 더 확장되어 관사가 추가로 건립되었으며, 서남쪽으로도 부지가 확장되어 교실과 실습실이 추가로 건립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부지 중앙의 남북으로 긴 서향의 ㄷ자형 교실 건물의 건립은 [도판4]에서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는데, 우선 남쪽의 절반이 신축되었고, 북쪽의 나머지 절반이 신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922년 경성고공으로 개편되어도 그 모습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다가 1938년에 기계공학과와 전기공학과를 설립하면서 1939년에 부지가 더욱 확장된다. [도판5]를 보면, 기존 부지의 남쪽으로 학교가 확장되어 6개 동의 건물이 신축되거나 예정에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들은 기계공학과와 전기공학과 본관 및 부속 건물로 도면에 기입되어 있다.

과거 경성공전과 경성고공은 매우 넓은 부지에 40여동이 넘는 건물을 가진 큰 규모의 학교 였으나, 이중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과거 공업전습소 본관 건물이자 이후 중앙시험소 청사로 쓰였던 건물 단 하나뿐이다.
1909년에 완공되어 공업전습소 본관으로 사용되다가 1916년 경성공전 설립 이후로는 중앙시험소 청사로 사용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상공부 소관 국립공업연구소 등으로 사용되다가, 현재에는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건물은 연건평 502평의 목조 2층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ㄷ자 평면형이며, 외벽은 비늘 판벽에 목재로 고전주의적 의장을 하였다. 벽 분할과 양익부의 목조 아치창은 매우 정교하게 되어 있다.

-지 정: 사적 제279호(1981.09.25)
-명 칭: 구 공업전습소 본관
-소재지: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199-1
-설계자: 탁지부 건축소
-시공자: 요시다 겐조오(吉田謙造)
-연 대: 1907년 11월(기공) - 1909년 3월 20일(준공)
-규 모: 지상 2층
-구 조: 목조, 기와이음, 나무비늘판벽
-면 적: 연건평 302.2평
-형 태: 르네상스식


참고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 서울건축사, 서울특별시, 199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60년사, 서울대학교, 2007
문화재청, 20세기 초 건축물 사진실측 조사 보고서, 2000



도판1. 경성동숭동/중앙시험소 공업전습소/청사급관사부지, 1910년대전반


‘경성동숭동/중앙시험소 공업전습소/청사급관사부지’는 1910년대 전반의 공업전습소 부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배치도로 축척 1/600이다. 초기의 공업전습소는 부지면적이 12746평 상당으로 매우 큰 규모의 학교였다. 본관과 관리동 이외에도 7개의 실습동과 부속 실습장, 공장, 기숙사, 관사 등이 건립되어 있었다. 서쪽의 도로에 면한 본관 건물 좌우로 응용화학과 건물과 분절실이 위치하였으며, 뒤쪽으로는 개별건물들과 이어지는 긴 회랑이 설치되었다. 회랑은 전체 부지의 절반을 가로지르는 T자형으로 설치되었으며, 이 회랑에 각 교실과 실험실, 공장 등이 붙어 있는 배치를 볼 수 있다. 부지의 동쪽 끝에는 기숙사와 식당이 위치하며, 남서쪽으로는 관사가 위치하였다.


도판2. 조선총독부공업전문학교건물배치계획도, 1910년대후반


1910년대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총독부공업전문학교건물배치계획도’는 경성공업전문학교의 배치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축척은 1/400이다. 대부분의 건물이 공업전습소 시기의 건물이 그대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지 동쪽 끝의 식당 앞 기숙사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신축 예정임을 알 수 있다.


도판3. 중앙시험소병공업전문학교 부지실측평면도, 1916년


‘중앙시험소병공업전문학교 부지실측평면도로 축척 1/600’이다. 1916년(대정5년)에 작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6년은 경성공전이 설립된 시기로 그 이전 시기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서쪽의 본관을 중심으로 서쪽의 건물들은 이전 시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부지의 중앙에는 남북으로 긴 서향의 ㄷ자형 교실 건물이 건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기존의 공업전습소에 비해 공업전문학교에서는 더 많은 교실이 필요했었음을 엿볼 수 있다. 교실동 뒤쪽으로는 이전 시기와 다르지 않게 개별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건물은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지의 동쪽 끝으로 부지가 확장되어 관사가 추가로 건립되었으며, 서남쪽으로도 부지가 확장되어 교실과 실습실이 추가로 건립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판4. 공업전문학교교실기타신축배치도, 1910년대후반

 
1910년대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업전문학교교실기타신축배치도’이다. 배치도에서는 이전 시기에 없었던 남북으로 긴 교실동이 신축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선 남쪽의 절반이 먼저 신축되고, 북쪽의 나머지 절반이 신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판5. 경성고등공업학교기계공학과교사신축기타공사배치도, 1939


‘경성고등공업학교기계공학과교사신축기타공사배치도’는 1939년에 작성된 도면이다. 경성고등공업학교는 1922년 경성공업전문학교에서 개편되어도 그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게 유지되다가 1938년에 기계공학과와 전기공학과를 설립하면서 1939년에 부지가 더욱 확장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기존 부지의 남쪽으로 학교가 확장되어 6개 동의 건물이 신축되거나 예정되어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들은 기계공학과와 전기공학과 본관 및 부속 건물로 도면에 기입되어 있다.


위로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