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학교건축도면 컬렉션
HOME                        검색 상세검색
컬렉션 소개 3D 복원 기록물 검색
학교검색
도면검색
가나다검색
상세검색
해제검색
광주고등보통학교
광주고등보통학교


한일합방 이후 1911년 조선교육령에 따라 교육제도가 새롭게 정비되면서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 실업학교 및 중학교 등이 중등교육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고등보통학교는 ‘고등보통학교는 남자에게 고등한 보통교육을 하는 곳’이라 규정하고 교육목표를 ‘상식을 기르고 국민(일본인)된 성격을 도야하며 그 상황에 유용한 지식과 기능을 가르친다.’라고 설정하였으며, 수업연한은 4년으로 하고, 입학자격은 12세 이상의 수업연한 4년의 보통학교 졸업자 또는 동등학력이상자로 규정하였다. 1922년 개정된 제2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고등보통학교의 수업연한은 5년으로 되었으며,(여자고등보통학교는 4-5년) 1938년 제3차 교육령이 공포되면서는 모든 고등보통학교가 중학교로 개칭되게 되었다.(여자고등보통학교는 고등여학교로 개칭) 이는 전쟁기에 들어서면서 일제가 ‘내선일체’ 등을 내세우며, 기존의 조선인/일본인 학교로 나뉘어 있는 중등교육기관의 교명을 동일하게 한 것이었다.

광주고등보통학교(현 광주제일고등학교 전신, 광주광역시 북구 누문동에 위치)는 1919년 7월 전남 다수의 유지들이 사립광주고등보통학교 설립기성회를 조직하여 1920년 4월 6일 사립광주고등보통학교로 설립한 학교였다. 1920년 5월 1일에 현 무등극장의 위치에 있었던 광산관을 빌려 개교하였고, 1922년 3월 31일에 관립광주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1922년 4월 11일에 누문평원 일만여평의 교지에 신축교사 일부를 낙성하여 현 위치인 광주시 누문동 144번지에 이전하게 되었다. 1923년 3월 31일에는 본관 및 부속건물 모두가 낙성되었다. 1925년 4월 1일 도에 이관되어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가 되었고, 이어 1938년 4월 1일에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거하여 광주서공립중학교로 개칭되었다. 해방 이후, 1951년 3월 20일 교육법 개정으로 광주서중학교로 개칭되었고, 1953년 4월 8일 광주제일고등학교의 교명으로 설립 인가되었으며, 1972년 2월 29일에는 중학교 평준화에 의하여 광주서중학교가 폐교되었다. 과거 광주고등보통학교의 교사동 배치 및 형태는 현 광주제일고등학교의 교사동 배치와 거의 비슷하다.

1922년 초기의 배치계획은 [도판1]을 통해 알 수 있다. 도로에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교사 및 그와 관련된 건물이 계획되었는데, 빗금친 부분은 처음으로 공사가 시작된 부분으로 교사(생도구소)로 추정된다. 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民有건물)은 교사동이 건축될 당시에 대지 내에 민가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후 기존 교사의 서쪽 부분과 연결된 새로운 교사를 건축하려는 계획을 세운다.([도판2] 참조) 또한 이 두 동의 건물을 신축한 후 수직으로 연결된 교사 한 동을 차례로 신축하려고 하였다. ([도판3] 참조) 그러나 이 계획이 수정되었는데, [도판4]에서 일자형의 교사가 기설건물로 표시되어 있고 그 다음에 계획할 건물이 수직으로 붙어 있는 것으로 볼 때 북서쪽 교사의 신축계획이 미루어 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도판5]의 배치도에서는 ㄱ자형의 교사가 신축되었을 당시의 대지상황을 볼 수 있는데, 기숙사의 계획은 아직 수립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숙사 계획은 [도판6]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게 된다. 범례에 기설건물로 표기되어 있는 교사의 배치를 통해, 신축과정을 종합해 보면, 북쪽에 있는 교사가 먼저 신축되었고 이후 서쪽에 있는 교사가 건축되어 1차적으로 ㄱ자 형태의 건물로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사 완료 후 부지의 서쪽을 매입하여 우선 두 동의 기숙사와 식당 및 부대시설들로 구성된 건물을 짓고 추후 관사부지에 관사를 계획 및 신축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최종의 1차 배치는 ㄱ자의 교사가 북서쪽에, 기숙사가 남서쪽에 위치하며, 정문은 북쪽 도로와 교사 전면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기숙사 쪽에 가까운 도로에 부출입구를 두었으며, 기숙사는 따로 담장으로 구획하고 북쪽과 동쪽에 출입문을 설치하였다.([도판7] 참조)
이후 1923년경에 [도판8]에서 볼 수 있듯이 물치 한 채를 건축하였으나 당시까지도 특별교실과 강당의 공사는 시작되지 않았다. 초기의 계획과 비교하면 건물들의 규모가 많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계획안은 강당이 위치한 부분으로 여러 동의 교사들이 연결되었는데, 변경된 안에서는 강당만이 계획되었다. 결국 당시 예산 및 다른 환경의 문제에 따라 초기 계획이 수정되었고 초기에 계획된 건물들은 신축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1922년에 첫 번째로 지어진 교사(생도구소)는 1층 목조건물로서 높은 박공지붕을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은 외부의 회랑으로 연결된 돌출된 화장실과 교실 4실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큰 두 실은 외부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나머지 세 실은 낮은 지붕을 가진 승강구를 통해 출입가능하고 복도로 연결되어 있었다.([도판9] 참조)

1933년에 두 번째로 지어진 교사는 박공지붕의 2층 목구조로서 1층과 2층 모두 교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첫 번째로 지어진 교사동이 사무실 및 교장실, 회의실 등과 같은 시설들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판10] 참조) 이 건물은 입면구성이 특이한데 1층과 2층의 패턴을 다르게 하였다. 1층은 가로로 긴 목재의 마감이 외부로 드러나는 입면구성이라면 2층은 패턴이 없게 계획되었다. 이는 단면상세도인 [도판11]을 통해 그 상세를 확인 할 수 있다. 1층은 나무판의 가락잇기 방식으로 한 반면 윗 층은 평활한 면으로 처리하였다.

기숙사동은 두 동의 기숙사와 동쪽 수직으로 식당이 붙어 있는 평면 형태를 가졌으며 그 북측으로는 사감실이 연결되어 있었다. 기숙사는 두 단위주거가 하나의 굴뚝을 공유하였으며 4개의 수납공간을 가진 온돌 구조였다. 한쪽 단부에 변소가 돌출되어 연결되었고, 특히 식당동은 북측의 큰 실인 식당과 남측의 취사시설로 구성되었다.([도판12] 참조) 기숙사는 전형적인 일본식 격자구조를 가진 입면구성을 가지는 반면 북쪽의 사감실은 주 출입구를 박공으로 처리하여 정면성을 강조하는 권위적인 입면구성을 하고 있다.([도판13] 참조)

참고 : 한국교육시설학회, 한국근대학교건축발달사(전편, 1985-1945), 2004
광주제일고등학교 홈페이지, http://www.ilgo.hs.kr



도판1. 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 1922-23년경


1922년 초기의 배치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로에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교사 및 그와 관련된 건물이 계획되었다. 빗금친 부분은 처음으로 공사가 시작된 부분으로 교사동으로 추정된다. 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교사동이 건축될 당시에 대지 내에 민가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판2. 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 1922-23년경


1922-23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면이다. 굵은 테두리의 건물이 재래건물로 표기되어 있고, 빗금친 건물이 신축건물로 표기되어 있다. 이것으로 당시 교사(생도구소)로 추정되는 건물이 신축되었고 그 후 빗금친 부분의 교사동을 신축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도판3. 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 1922-23년경


[도판1-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 [도판2-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와 이 배치도를 비교하면 광주고등보통학교의 건축과정계획을 살펴볼 수 있다. 굵은 테두리의 건물 다음으로 빗금친 부분의 교사동을 신축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그러나 공사 계획이 수정되었고 [광주고등보통학교교사기타신축배치지도, 1922]와 같은 교사동이 1차적으로 완성되었다.


도판4. 광주고등보통학교교사기타신축배치지도, 1922


1922년에 작성된 본 도면에는 一자형의 교사동이 기설건물로 표시되어 있고 그 다음에 계획할 건물이 수직으로 붙은 건물임을 보여준다. 이는 [도판3-광주고등보통학교신축배치도]의 공사계획이 수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아직까지 정문은 계획되어 있지 않고, 기숙사 부지도 계획되어 있지 않다.


도판5. 광주고등보통학교표문기타신설지도, 1922-23년경


1차공사가 완료되어 교사동이 완성된 후에도 기숙사 부지는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이 도면을 통해 교사의 정문이 북동쪽에 설치되었고 담장은 가설의 철망으로 둘러쌓은 것을 알 수 있다.


도판6. 광주고등보통학교기숙사기타신축공사배치도, 1922-23년경


이 도면의 범례에서 빗금친 건물이 기설건물로, 단선으로 된 기숙사 건물은 신설건물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1차의 교사동 배치가 완성되고 교문이 설치된 다음 대지의 남서쪽에 새롭게 기숙사 부지를 매입하여 계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숙사 계획도에는 내부의 대략적인 실구획이 병기되어 있다. 기숙사동 북쪽에는 관사부지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관사는 학교 건물 중에서 가장 늦게 계획되었다.


도판7. 광주고등보통학교정문신설기타공사설계도, 1922-23년경


1차 공사기간의 최종의 배치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ㄱ자의 교사가 북서쪽에, 기숙사동이 남서쪽에 위치하였으며, 정문은 북측 도로 교사 전면에 위치하였고 기숙사에 가까운 도로에 부출입구를 두었다. 또한 기숙사는 따로 담장으로 구획하였고, 북쪽과 동쪽에 출입문을 두었다.


도판8. 광주고등보통학교교사배치도, 1923


이 도면을 통해 1923년의 이후 물치 한 채를 증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까지도 특별교실 및 강당의 공사가 시작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기의 계획과 비교하면 건물들의 규모가 많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계획안은 강당이 위치한 부분으로 여러 동의 교사들이 연결되었는데, 변경된 안에서는 강당만이 계획되었다. 결국 당시 예산 및 다른 환경의 문제에 따라 초기 계획이 수정되었고 초기에 계획된 건물들은 신축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도판9. 광주고등보통학교교실생도구소기타신축설계도, 1922-23년경


1922년 첫 번째로 지어진 교사(생도구소)는 1층 목조건물로서 높은 박공지붕을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은 외부의 회랑으로 연결된 돌출된 화장실 및 내부에 교실 4실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큰 두 실은 외부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나머지 세 실은 낮은 지붕을 가진 승강구를 통해 출입가능하고 복도로 연결되어 있었다.


도판10. 광주고등보통학교교실신축공사설계도, 1922-23년경


1933년 두 번째로 지어진 교사동의 도면이다. 박공지붕의 2층 목구조로서 1층과 2층 모두 교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첫 번째로 지어진 교사동이 사무실 및 교장실, 회의실 등과 같은 시설들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판11. 광주고등보통학교교사기타신축설계도, 1922


이 건물은 1923년 두 번째로 건축된 교사로 1층과 2층의 입면이 다르게 구성되었다. 1층의 입면은 가로로 긴 목재의 마감이 외부로 드러나게 구성되었고, 2층의 입면은 패턴이 없게 계획되었다. 도면의 우측을 살펴보면 1층은 나무판의 가락잇기 방식으로 한 반면 윗 층은 평활한 면으로 처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도판12. 광주고등보통학교기숙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1922-23년경


기숙사의 평면으로서 두 동의 기숙사와 동쪽 수직으로 식당이 붙어 있는 평면 형태를 가졌으며 그 북측으로는 사감실이 연결되어 있었다. 기숙사는 두 단위주거가 하나의 굴뚝을 공유하였으며 4개의 수납공간을 가진 온돌 구조였다. 한쪽 단부에 변소가 돌출되어 연결되었고, 특히 식당동은 북측의 큰 실인 식당과 남측의 취사시설로 구성되었다.


도판13. 광주고등보통학교기숙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1922-23년경


기숙사 및 사감실, 식당의 입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숙사 및 식당은 전형적인 일본식 격자구조를 가진 입면으로 구성되었다. 반면 사감실은 주 출입구를 박공으로 처리하여 정면성을 강조하는 권위적인 입면구성을 하고 있다.


위로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