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현재' 시대의 지도에서 자신의 고향 옛지도와 기록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기록물 상세정보

조사서

조사서

철제목: 면폐합 관계서류
* 해당 철의 내용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생산년도:1914년
기록물 유형:일반문서류(문서대장)
생산기관:지방행정
소장위치:대전국가기록정보센터
공개여부: 공개
관리번호:CJA0002553

기록물 번역문


1. 고암면의 일부는 곧 하동, 도야동의 두 동을 분할하여 읍내면에 합병함은 원래 이 두 동은 읍내면에 접근하고 그 거리가 20정에 지나지 않는데 이 자연의 지세 상 고암면의 각 부락과는 중간에 작은 산을 중간에 두어 본면 이상으로 읍내면과는 교통 교통이 빈번하여 편리하므로 오히려 이를 읍내면에 합병하여 읍내면을 표준호수에 맞추는 것이 일거양득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2. 원래 어촌면은 작은 면으로 굳이 다른 면과 폐합시키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이 면인 지세가 가늘고 길어 이를 유장면에 전부 합병하면 외부동과 같이 매우 격리되어 동민의 교통상으로 보아도 또한 면치상으로 보아도 매우 불편해질 수밖에 없다. 고로 이를 분할해도 지형의 가장 접근한 창락면에 합병하여 창락면으로 하여금 표준호수에 근접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3. 대초, 지포의 두 면을 합병하는 것 또한 표준호수에 도달하지 않음이 심히 유감이지만 원래 이 면은 지세의 관계 상 달리 병합할 적당한 부락이 없으므로 부득이하게 두 면을 합병하여 1면으로 삼는다.
4. 창락면과 어촌면 외부동을 합병하는 것 또한 표준호수와 다르게 되지만 위 항목과 같은 이유로 부득이한 결과이다.
5. 대곡면과 남곡면을 현재와 같이 독립시키는 것은 비교적 지형이 팽창하였고 본 면은 거의 사방에 작은 산이 둘러싸 자연의 지형 상 다른 면과 외떨어진 상태이므로 억지로 다른 면 혹은 부락과 합병한다면 합병당한 면을 사분오열하는 데 그치고 만다. 지세와 교통 상 불편은 물론 나아가 면치 상 나쁜 결과를 주게 된다. 그러므로 표준호수 이하라도 어쩔 수 없이 독립토록 하였다.
(3) 도면
별지와 같다.

onclick="window.open(this.href ,'originViewNew','width=400,height=400,resizable=yes'); return false;" target="_blank" title="새창에서 열림">남하면약도 상세보기

기록물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