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 정부3.0 연계 대국민 기록서비스 기능 강화
  • 국가기록원, 본원 축소 현장중심 재배치 조직개편 인사
대전기록관 전경

대전기록관(대전)

서울기록관 전경

서울기록관(성남)

부산기록관 전경

부산기록관(부산)

건물 이미지

국가기록원은 보존서고 기능을 담당해 왔던 기존
기록관에 수집 · 보존 · 활용 기능을 부여하여
나라기록관(성남) → 서울기록관,
대전기록관(대전) → 대전기록관,
역사기록관(부산) → 부산기록관으로 기능과 명칭을 개편하였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정부 3.0과 연계한 대국민 기록서비스 강화와 2015년 전자기록물 본격 이관 등 기록관리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본원을 축소하고 3개 권역 기록관의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조직개편과 인사를 단행했다.

6일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성남과 대전으로 나누어 있던 본원을 정부대전청사로 일원화하는 등 3부 3기록관 17과 1센터이던 조직을 3부 4기록관 17과 체제로 조직을 개편하고, 이에 따른 인사를 실시했다.
이 같은 조직정비와 인력 재배치는 2015년 전자기록 본격이관 등 전자기록관리체계의 전환과 기록관리 전반의 미래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존서고 기능을 수행해 오던 기존의 기록관이 수집·보존·활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과 기능을 강화했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성남 나라기록관에 소재했던 기록관리부를 정부대전청사 내 본원으로 이전하고, 본원 소속 12개과를 10개과로 축소하는 한편, 명칭과 기능이 바뀐 서울기록관에 수집공개과, 보존서비스과 등 2개 과를 설치했다.
보존서고 기능을 담당해 왔던 기존 기록관에 수집·보존·활용기능을 부여하여 나라기록관(성남) → 서울기록관, 대전기록관(대전) → 대전기록관, 역사기록관(부산) → 부산기록관으로 기능과 명칭을 개편하였다.
이에 따라 기록관리부의 수집·정리, 보존매체수록, 서고배치·지정, 기록정보서비스부의 정리기술·공개재분류, 활용 등의 업무가 권역별 기록관으로 이관되었다.
권역별 기록관리체계 구축으로 서울기록관은 서울·경기·강원권, 부산기록관은 영남권, 대전기록관은 충청·호남·제주권역의 기록물을 수집·보존·활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대통령기록관은 지정기록물 제도와 관리 일원화를 위해 기획총괄과, 기록수집과, 기록정리과, 기록보존과, 연구서비스과를 기획지원과, 기록제도과, 기록수집과, 기록콘텐츠과, 보존복원과로 개편했다.
전자기록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기록정보화과는 기록정보기반과로 기능이 확대되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또 본원의 통합·재설계를 통해 정책·조정기능을 강화하고 축소로 발생한 인원을 권역별 기록관리체계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원을 위해 기록관에 배치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조직개편에 따른 업무수행의 안정적 조기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며 "이번 조직개편 및 재배치로 미래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정부 3.0 핵심가치에 기반을 둔 대국민 기록서비스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