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국내 기록소식

2019년 4월 국내 기록소식

01 조선시대 한글서체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소장 류근식)는 4월 30일부터 6월 30일까지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기획전시실에서 「조선시대 한글서체의 아름다움」 상반기 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세종대왕 탄신 622돌(5.15.)을 기념하여 기획한 것으로, 한글 서체의 변화를 볼 수 있도록 조선 전기·중기·후기로 나누어 시기별 대표 유물을 선보인다.

조선 전기 서체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틀 속에서 동일한 두께와 각진 획의 모습을 보이며, 필기보다는 인쇄를 전제한 것으로 흔히 판본체(板本體) 혹은 판각체(板刻體)라고 부른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당시 한글 서체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창제 당시 한글의 형태는 당시 일반적인 필기도구인 붓으로 쉽게 쓰기 어려운 기하학적 모양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중기 한글 서체의 특징은 보물 제1947호 「숙명신한첩」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한글 서체는 궁체(宮體)를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된다. 조선 초기 판본이나 활자의 기본 형태에 붓으로 쓴 느낌이 가미된 것으로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 전형(典型)이 만들어지게 된다. 궁체는 주로 왕실의 필사본 서적에서 빼어난 모습을 볼 수 있고, 붓의 꺾임과 부드러운 흐름을 조화롭게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한글 서체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국문학의 융성으로 필사가 늘어나던 영·정조대를 거치며 정제되었고, 이후 순조부터 고종 대에 이르기까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순조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의 글씨와 명성황후의 편지글은 조선왕실의 한글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들이다. 이 밖에도 사대부가 아내에게 보낸 편지와 궁체로 거침없이 쓴 글, 그리고 민간에서 베껴 쓴 필사본 소설들에서 획의 변화와 강하고 약한 기운이 교차하는 선들을 볼 수 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전시를 찾는 사람들이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원류를 찾아보고 현대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의미를 되새겨 보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 용비어천가(규장각 한국연구원)
02 영화의 과거에서 영화를 미래를 만난다!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에서는 4월 30일(화)부터 5월 16일(목)까지 ‘2019 필름아카이브 특별전’을 개최한다.

‘필름아카이브’는 영화필름을 수집, 보관하는 ‘영화 창고’를 의미하며, 2007년부터 ‘부산아시아필름아카이브(Busan Asia Film Archive)’를 설립하여, 국내외 고전영화 및 독립영화들을 수집해오고 있다. 이렇게 보관중인 필름들을 공개 상영하는 자리가 ‘필름아카이브 특별전’이다.

영화사의 위대한 순간들이 다시 한 번 스크린에서 빛을 발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필름아카이브 특별전’은 무성영화의 전성기인 1926년 작품부터 2012년 작품까지 걸쳐 있으며, 미국과 유럽, 아시아 거장들의 작품이 포함되어있다. 영화사의 기억을 떠올림과 동시에 영화의 오늘과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영화의전당 아카이브 소장작과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의 소장작들 중 14편을 선정해 상영한다.

  • 무성영화 후기부터 유성영화 초기까지 쉼 없이 활약한 거장 킹 비더의 무성영화 ‘라 보엠’(1926)과 ‘팻시’(1928), 강렬한 표현주의적 영상미와 폭발적인 정념의 멜로드라마로 20세기 영화를 빛낸 거장 조셉 폰 스턴버그의 ‘불명예’(1931), ‘상하이 제스처’(1941), 서스펜스와 스릴러의 대가 알프레드 히치콕의 ‘서스피션’(1941) 등 세 미국 거장의 걸작을 만나볼 수 있다.

    아시아 영화의 위대한 시대를 이끈 세 일본 거장과 차세대 아시아 거장의 작품도 상영된다. 일본 멜로드라마 거장 나루세 미키오의 초기 걸작 ‘아내여 장미처럼’(1935)과 현대적인 느낌의 세련된 연출력을 유감없이 과시한 유작 ‘흐트러진 구름’(1967), 영화사상 가장 우아하고 유려한 롱테이크의 영상 시인 미조구치 겐지의 작품으로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구조를 비판한 ‘마지막 국화이야기’(1939)와 죽음에 맞선 두 연인의 숭고한 사랑을 그린 ‘치카마츠 이야기’(1954), 독창적인 영상미학을 구축하며 영화 예술의 최고 경지를 보여준 오즈 야스지로의 ‘맥추’(1951)와 ‘피안화’(1958) 등 일본 영화사의 보석 6편을 재조명한다.

    그리고 태국 영화의 현재이자 새로운 미래로 불리며 명실공히 아시아의 스타 감독으로 떠오른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문제작 ‘메콩호텔’(2012)을 상영한다.

    두 유럽 거장의 작품도 기다리고 있다. 프랑스 누벨바그에 심원한 영감을 준 시네아스트 로베르 브레송의 영혼과 구원에 관한 깊은 성찰이 담긴 ‘당나귀 발타자르’(1966), 무관심과 권태와 고독을 다룬 이탈리아 거장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일식’(1962)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