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총설 > 조선총독부 청사·치안시설·전매시설 > 전매시설 > 조선총독부 전매국 주안출장소

조선총독부 청사(광화문)치안시설·전매시설

조선총독부 전매국 주안출장소

인천에 위치한 주안출장소는 1910년 전매국 소속으로 설치되었다. 주안의 간석지는 염전의 최적지로 선택되어 총독부의 염전축조사업 초기부터 염전이 설치되었다. 주안은 인구가 많은 경성을 배후지로 하였으며, 경인선을 이용한 신속한 물류가 가능하였고, 항구를 통한 일본으로의 이출에도 유리한 곳이었다. 한일합방 이전 천일염 생산업무는 탁지부의 사세국에서 관장하였으며, 한일합방 후에는 전매국에서 관장하였다. 총독부는 천일 염전이 소재한 경기도 주안과 평안남도 광량만에 별도의 출장소를 설치하여 이곳에서 천일염의 제조와 판매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주안출장소 관련의 도면 43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체 염전 및 청사·제염공장·염고(鹽庫)·염부소옥(鹽夫小屋)·관사 등에 대한 것이다. 이 중 주안염전 지역에 관련해서는 사세국 주안출장소 관련도면이 6매, 전매과 주안출장소 관련도면 10매, 전매국 주안출장소 도면 22매, 총 38매가 있다. 남촌염전 지역과 관련해서는 전매과 주안출장소 남촌염전 관련도면 2매, 전매국 경성지국 주안출장소 남촌염전 관련도면 3매로 총 5매가 있다.

주안 출장소 염전 관련 염전 도면
명칭 연도 도면수
조선총독부 전매국 주안출장소 1910~1912 11
조선총독부 사세국 주안출장소 1912~1915 6
조선총독부 전매과 주안출장소 1915~1921 21
조선총독부 전매과 주안출장소 남촌염전 1915~1921 2
조선총독부 전매국 주안출장소 남촌염전 1921~1945 3

* 연도는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 1910~1941’을 참고로 조사하였다. 다만, 직원록이 1941년까지만 확인 가능하므로, 그 이후는 유지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조선에서의 천일염 제조는 통감부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7년 탁지부는 인천의 주안(朱安)에 천일제염, 부산의 용호(龍湖)에 전오염의 시험염전을 설립하였고, 그 결과 주안의 천일제염 시험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주안에 대만식의 천일제염장을 축조하는 것이 계획되었다. 이 과정은 탁지부에 파견된 일본인 관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천일염을 생산하기 어려운 조건이었던 일본은 식민지에 천일제염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였다. 당시 공업용 소금으로서 천일염의 중요성이 커지고, 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천일염 소비가 늘어나는 상황 속에서 일본에서 가까운 조선은 천일염의 공급지를 건설하기 좋은 곳이었다. 천일염전의 축조 계획은 총 4기로 계획되어 진행되었다. 각 기간별 염전 축조 지역은 다음 표와 같으며, 주안 지역은 초기 염전 축조지로 개발되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초기 염전 축조지역
기간 염전 축조 지역과 면적(町步) 총 면적(町步)
제1기(1909~1914) 경기도 주안(99), 평안남도 광양만(934) 1,033
제2기(1918~1920) 경기도 주안(139), 평안남도 덕동(226) 365
제3기(1920~1924) 경기도 남촌(300), 경기도 군자(575),
평안남도 귀성, 평안북도 남시
1,241
중단기 관동대지진 이후 긴축재정으로 염전축조계획 중단
제4기(1934~) 평안남도 귀성(350), 평안북도 남시(266) 616
1936~1944 경기도 소래(549), 평안남도 귀성(1036),
황해도 연백(1,250)
2,835

*출처 : 조선총독부, 『조선전매사』, 1936 ; 이봉희, 『천일제염공업』, 1957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유승훈, 「20세기 초 인천지역의 소금생사-천일염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3, 2004, 332~333쪽의 내용을 표로 작성하였음.

주안염전의 위치와 전매과 출장소, 관사의 위치는 [도판 1]을 통해 대략적으로 파악 가능하다. 주안염전은 경인선 주안역의 북쪽 일대에 축조되었다. 주안역에서 가까운 구릉지에 출장소와 관사가 위치하였으며 염전의 남쪽, 관사 인근에 감시소가 설치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주안출장소 부지의 배치 계획은 [도판 2]에서 살펴볼 수 있다. 출장소 부지는 주안역에서 염전 방향으로 난 기존 도로의 동편에 위치하였다. 이 도면에는 출장소 부지로 통하는 신설도로가 계획되었다. 남북으로 놓인 2개의 대지 중 북쪽 대지에는 창고와 공장을 두고, 도로를 통해 소금을 운반하도록 하였다. 남쪽 대지는 한단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이곳에 사무실과 청사가 배치되었다. 청사는 우선 기존 주안(朱安)과 용호(龍湖)에 있었던 건물을 이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도면에는 용호의 청사는 이전되었고, 주안의 청사는 이전 예정으로 되어 있다. 두 청사는 ㄱ자 형태로 배치되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청사를 추가로 증축하였는데, 이를 [도판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건물에 연결된 증축청사는 단층 목조의 일자형 건물로, 내부는 주로 사무실로 사용되었다. 뒤쪽의 변소는 외부복도를 통해 연결되었다.

[도판 4][도판 5]에서는 주안염전 전체의 운영 상황을 볼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제2구(區)부터 제5구(區)까지가 확인된다. 각 구(區)에는 저수지를 두었으며, 염전 사이를 연결하는 교통교(交通橋)가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주안 지역에는 총 8구의 염전이 설치되었으며, 그 시기는 다음의 표와 같다.

주안 지역에는 총 8구의 염전
구(區) 제1구 제2구 제3구 제4구 제5구 <소계> 제6구 제7구 제8구 <소계> <총계>
면적
(町步)
1 5.5 10.8 16.3 65.4 99 36 55 48 139 238
준공
시기
1907.8 1909.5 1909.6 1910.5 1911.7 1919.3 1919.3 1919.3
비고 제1기 (1909~1914) 제2기 (1918~1920)

*조선총독부, 『조선전매사』, 1936 ; 유승훈, 「20세기 초 인천지역의 소금생사-천일염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3, 2004, 332쪽의 표를 수정.

염전에는 소금을 저장하는 저장 시설·제염 분쇄 공장·염부가 거처하는 작은 집[鹽夫小屋] 등도 함께 설치되었다. 제5구(區) 염전 지역에 세워졌던 염고는 트러스를 사용한 단순한 일자형 목조 건물에, 흙바닥 마감을 하였고, 출입구는 정면과 배면 양끝에만 두고, 측면에는 2개 혹은 3개의 창을 두었다.([도판 6] 참조) 제염 분쇄 공장과 염치장(鹽置場)의 모습은 [도판 7]에 잘 나타나 있다. 두 건물 모두 일자형의 단층 목조 건물이며, 외벽은 누름대 비늘판벽으로 마감하였다. 제염 분쇄 공장 건물에는 고창이 있으며, 내부는 마루가 깔린 분쇄장과 흙바닥으로 된 기계실 두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분쇄실 안에는 한쪽에 견장실(見張室)을 두었다. [도판 8]의 염부소옥(鹽夫小屋)은 간단히 일본식 목조로 지어진 소옥과는 차이를 보인다. 외양은 한국의 전통 초가와 유사해 보이나, 평면은 한일 절충식으로 계획되었다. 내부는 온돌방이 있는 부분과 다다미방이 있는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출입구도 각각 따로 설치되었다. 온돌방 앞의 토간(土間)은 취사장으로, 다다미방 앞의 토간은 직원휴게소로 계획되었다.

남촌 염전과 관련해서는 많은 도면이 남지 않았으나, 청사 인근의 배치도와 건물에 대한 도면이 있다. [도판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청사는 간석지와 을구(乙區) 염전용지 인근의 구릉지에 창고 및 관사 단지와 함께 계획되었다. 염전에서 가까운 부분에 창고와 염부사(鹽夫舍)·창고 등이 한 구역에 놓이고, 그 뒤쪽에 청사와 부속가·창고가 배치되었다. 청사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관사 단지가 계획되었다. 청사 건물은 본동과 부속가를 나란히 앞뒤로 배치되었고 외부 복도로 연결되었다.([도판 10] 참조) 앞쪽의 본동은 사무실과 응접실·표본실로 사용되고, 뒤쪽의 부속가는 숙직실·소사실·탕비실·변소 등으로 계획되었다. 청사는 양식목조 단층 건물로 계획되었으며, 기초에는 콘크리트가 사용되었고, 외벽은 누름대 비늘판벽으로 마감되었다. 본동의 지붕에는 트러스가, 부속가의 지붕에는 일식 목구조가 사용되었다.

[참고도판]

  • 도판1. 주안염전급부근약도, 191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2. 청사부지급도로신설설계도 / 주안출장소 / 11, 191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3. 주안천일제염장청사이전기타증축설계도 / 10, 191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4. 사세국주안출장소염고급관사배치도 / 18, 1915 상세보기
  • 도판5. 염전교통교가설위치평면도, 191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6. 전매국주안출장소제오구염고신축도 / 6, 1910~1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7. 천일제염분쇄공장급염치장신축설계도 / 5, 191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8. 전매국주안출장소제오구염전내염부소옥/ 병변소신축지도 / 13, 1910~1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9. 전매과주안출장소남촌염전부속건물배치도 / 5, 1912~20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10. 전매국경성지국주안출장소남촌염전청사기타신축설계도 / 1, 1920년대 초반 추정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