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 총설 > 일제강점기 건축도면의 의의와 가치

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일제강점기 건축도면의 의의와 가치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 도면들은 사라져버린 우리의 과거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중 하나이다. 특히 19세기 말 이후 급격하게 서구의 근대 문명과 건축의 이식을 경험했던 역사적 사실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 주는 자료이며, 해방이후 전쟁과 급격한 도시의 발달을 거치면서 지금은 사라진 당시 건축물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근대 건축물은 비록 급격한 이식의 산물이었고, 한국인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서구인이나 일본인에 의해 주도되긴 하였지만, 이 또한 한국의 현대 건축과 도시의 원풍경을 만들어내 하나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때, 아직 남아 있는 근대 건축물 뿐 아니라, 이미 사라져버린 근대 건축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근대 건축물과 관련된 근대 건축기술과 근대 건축계획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당시의 건축물 및 도시의 상황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일제강점기의 건축 도면은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일제강점기 건축 도면들을 통해 근대 초기 건축물의 건립 당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여러 매로 이루어져 있는 건축 도면의 분석을 통해 건물의 원래 계획 의도부터 구조방식, 내부 공간의 활용 방법, 증축의 과정 등을 알아낼 수 있다. 특히 1900년대 초반의 건물들은 건립된 후 100여년이 지난 현재, 멸실되었거나 많은 변화로 초기의 건물 내외부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제 시기 건축 도면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이미 멸실된 건축물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의 건물이나 도시 풍경을 재구성할 수 있다.

행정시설 도면들은 각 지역 중심부에 세워졌던 식민지 통치기관의 입지와 건축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제강점기 도시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제 초기의 행정 시설은 기존의 청사건물이나 관아건물을 전용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한 시설을 변경하거나 증축한 도면에서 전통시대 관아건축의 변화와 멸실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일부 도시의 경우 근대 시설물들이 기존의 대형필지나 작은 필지들을 합필(合筆)한 대지에 신설되는 것이 확인되어 전통도시가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하며, 일제강점기 신시가지의 원형을 추적할 수 있는 자료로서도 건축도면이 갖는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그림1. 광화문외제관아실측평면도, 1907-1909년 추정 상세보기
  • 그림2. 경성광화문통관유지일람도, 1917-1922년 추정 상세보기
  • 그림3. 경상남도청사증축급실내모양체공사설계도 / 1, 1910년대 초중반 추정 상세보기

일제강점기 당시의 건축물에 대한 양상과 도시의 모습 이외에도 건축도면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근대기 신건축 기술의 도입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 시대의 주요 건축 재료는 흙과 나무였으나, 근대 문물이 수용되면서 건축 재료 또한 근대적인 재료, 즉 벽돌, 콘크리트 등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또한 행정시설에서는 20년대 후반부터 모더니즘 디자인의 수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행정체계와 통치방식을 반영한 행정시설, 기존에 없었던 기능적 시설인 관측소 등이 제도적으로 도입되면서, 사용된 새로운 공간 구성뿐 아니라 건축 기술과 건축 재료의 사용방식을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관련 도면을 통해 근대적 설비의 도입과 사용 양상도 살펴볼 수 있어, 관련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그림4. 벽돌조 구법 - 경성측후소풍력계대신축공사설계도, 1923 상세보기
  • 그림5. 철근콘크리트 구법 - 인천부청사신축공사설계도 / 9 / 철근상세기타도, 1932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