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 총설 > 지방행정시설의 종류와 계획 방식

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지방행정시설의 종류와 계획 방식

일제 강점기의 지방 행정시설로는 총독부 산하의 직속기관과 출장소, 각 지방 청사 등이 있으며, 이 중 현재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도면으로서 그 시설 내역과 건축계획을 파악 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도면은 다음과 같다.

<표1> 총독부 산하의 직속기관과 출장소, 각 지방 청사
번호 구분 시설명 세부시설 도면수
1 지방청사 경기도청 - 7
경상남도청 - 7
함경북도청 - 38
인천부청 - 36
청진부청 - 3
구성군청 - 4
2 세무감독국 및 세무서 경성세무감독국 - 22
광주세무감독국 - 21
대구세무감독국 - 24
함흥세무감독국 - 27
세무서 공통도면 - 9
3 기타 조선총독부 개척민지원자훈련소 - 50
조선총독부 동경출장소 - 78
평양광업소 - 60
공장시설 마포연와제조소 11
마포연와공장 4
영등포토관공장 26

지방청사 (도청사, 부청사, 군청사)

1920-30년대 지방행정조직의 시설로 건설된 도·부 청사의 평면 유형은 대부분 대칭형에 중앙을 강조하였으며, 크게 山자형, E자형, 凸자형, 一자형으로 나누어진다. (<표2> 참조)

<표2> 지방 청사 본관의 계획
No. 명칭 장소 도면계획년도 평면형 층수 구조 비고
1 경기도청 경성 (추정)1910 2층 벽돌조 대한제국 내부 청사
2 경상남도청 진주 (추정)1910 단층 목조 진주부 관찰부 건물 증축 
부산 (추정)1910-25 2층 벽돌조
3 함경북도청 경성 1915 단층 목조
나남 (추정)1919 2층 벽돌조
4 인천부청 인천 (추정)1932-33 2층 벽돌·콘크리트조
5 청진부청 청진 (추정)1929 2층 미상
6 구성군청 구성 (추정)1929 미상 미상

함경북도청의 경우, 1896년 경성(鏡城)에 목조건물로 건립되었다가 1920년 나남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함경북도청 관련 도면 38매로, 경성 소재 당시의 3차례에 걸친 증축과정과 나남 이전 이후의 건축계획을 파악할 수 있다. 경성 소재 당시에는 목조건물로 건립되었던 반면, 나남으로 이전한 후에는 벽돌조로 계획되었다. 일제강점기 지방의 근대 관립시설에서 벽돌조 구법은 1920년 이후에 주로 등장하는데, 1919년으로 추정되는 함경북도청 건축계획에서 벽돌조 구법이 사용된 것은 이 지역의 정치적 중요성을 반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평면은 초기에는 E자형이었다가, 山자형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부속시설의 연결함에 따라 日자의 대칭형 평면이 되었다. 단면 계획을 살펴보면, 각 층의 천정고는 12척(약 3.6m)으로 상당한 높이로 계획되었으며, 천장 속 높이까지 고려하면 1,2층간의 높이차는 15.1척(약 4.5m)에 달한다. ([도판1], [도판2], [도판3] 참조)

  • 도판1. 함경북도청사신축설계도 / 입면도 / 3, 1919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2. 함경북도청사신축설계도 / 계상평면 / 2, 1919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3. 함경북도청사신축설계도 / 입면급단면 / 4, 1919년 추정 상세보기

지방 부청의 경우, 인천부청과 청진부청의 도면이 남아있으며, 이중 인천부청 건립 관련 도면 36매에는 청사의 신축과 설계변경, 설비 관련 내역이 남아있어 당시의 건축계획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인천부청은 1933년 준공되었으며, 주요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로 계획되었고 외벽마감은 벽돌로, 내부의 일부벽체는 목골철망(木骨鐵網)벽체로 구성되었다. 평면계획은 凸자형 평면형으로, 평면상의 공간적 특징으로는 청사의 내부에 대형의 무주(無柱)공간이 계획된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철근콘크리트조의 구성에 따라 가능해진 평면계획상의 변화로 간주할 수 있다. 입면 계획은 1930년대 유행한 모더니즘의 국제주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창호를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건물의 수평성을 강조하였고, 지붕부도 특별한 장식없이 마감되었다. 반면, 건물의 중앙부에는 다양한 의장 요소가 계획되어 있는데, 중앙현관에 포치(車寄せ)를 설치하고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건물의 상부 중앙에 일본제국 문장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계를 변경한 내역도 확인할 수 있다. ([도판4], [도판5] 참조)

  • 도판4. 인천부청사신축공사설계도 / 1 / 평면급건면도, 1932 상세보기
  • 도판5. 인천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변경도 / 5 / 정면문장변경도, 1933 상세보기

세무감독국과 세무서

1934년 4월 28일 칙령 제112호로 제정 공포한 >조선총독부 세무관서 관제(朝鮮總督府稅務官署官制)< 에 의해 중앙의 총독부 재무국 세무과를 정점으로 지방(경성, 평양, 함흥, 대구, 광주)에 5개 세무감독국과 그 산하에 99개 세무서가 설치되었다. 세무감독국에는 서무과와 세무과(직세과, 간세과), 경리부(징수과, 회계과)를 두어 1943년 11월 30일까지 세무업무를 관장하였다. 이때 설치된 세무감독국과 세무서는 종래 지방행정기관에서 장악하고 있던 징세행정을 독립된 세정전담기구인 세무감독국 및 세무서에서 전담토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근대적인 조세행정기반이 마련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당시 설치된 세무서는 오늘날 국세청 하부조직인 세무서의 모체가 되었다. 세무감독국은 1943년 조선총독부령 제370호에 의해 창설 9년 만에 폐지되었으며, 이후에는 각 도에 재무국(財務局)을 설치하여 세무행정을 관장토록 하였다.

우선 각지의 세무감독국의 계획 중 공통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건물의 구조는 벽돌과 철근 콘크리트의 병용구조이고, 2~3층의 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표3> 지방 세무관청 청사 본관의 건축계획
No. 명칭 설치일 도면계획년도 평면형 층수 구조
1 경성세무감독국 1934 1936 3층 벽돌·콘크리트조
2 광주세무감독국 1934 1935 2층 벽돌·콘크리트조
3 대구세무감독국 1934 1934 2층 벽돌·콘크리트조
4 함흥세무감독국 1934 1936 2층 벽돌·콘크리트조
5 세무서 공통도면 1934 1934 단층 목조

경성세무감독국의 경우, 입면상의 특징으로는 1930년대 국제주의 양식이 보편화된 이후 관공서 건물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입면요소를 사용한 점을 들 수 있는데, 현관을 중심으로 하여 입면을 좌우대칭으로 구성하였고, 현관부에 포치(porch, 車寄せ)를 계획하여 정면의 중심성을 강조하였다.([도판6] 참조) 지방의 세무감독국에는 부속가가 설치되기도 하였는데, 부속가는 숙직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계획 방식이 사용되었다. 대구세무감독국 부속가의 소사실과 숙직실은 모두 온돌방으로 개량된 촌강식(村岡式) 온돌이 적용되었던 반면, 광주세무감독국 부속가는 다다미와 장지문 등을 갖추는 등 일본 주택의 계획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도판7], [도판8] 참조)

  • 도판6.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정면급배면좌측면도 / 5, 1936 상세보기
  • 도판7. 대구세무감독국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2, 1934 상세보기
  • 도판8. 광주세무감독국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건도급1,2계평면소옥복도 / 2호, 1935 상세보기

다음으로 세무감독국 산하기관으로 전국 각지에 설치된 세무서 계획을 살펴보면, 공통도면에 기초한 표준설계개념이 활용되고 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1934년에 작성된 세무서 청사에 대한 공통도면 9매가 소장되어 있다. 세무서 청사의 공통도면은 갑(甲)형과 을(乙)형의 타입으로 계획되었는데, 이는 부지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적절히 반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실의 구성과 개수 및 건물의 구조에는 차이가 없다.([도판9], [도판10] 참조) 청사의 평면은 크게 사무실 공간과 부속가로 구분되며, 부속가의 소사실과 숙직실은 온돌과 다다미방을 지역의 기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1934년 <세무관서관제(稅務官署官制)> 제정과 동시에 전국에 99개에 달하는 다수의 세무서 건물을 단기간에 건립하기 위해 공통도면을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단층의 목조건물에 슬레이트 기와를 얹은 단순한 입면으로 계획된 것도 빠른 건립을 위함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속가의 숙직실과 소사실의 경우, 갑‧을형의 계획 모두에서 다다미방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각각의 세무서가 설치되는 지역의 기후에 따라 온돌과 다다미방을 병용하여 설치하였던 것이 부속가 계획에 대한 다른 도면을 통해 확인된다.([도판11] 참조)

  • 도판9. 갑 / 세무서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건도급평면각복기타도 / 1, 1934 상세보기
  • 도판10. 을 / 세무서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건도급평면각복기타도 / 5, 1934 상세보기
  • 도판11. 세무서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청사급부속가상세참고도 / 갑을공통 / 갑을청사급부속가상세참고도 / 9, 193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