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변화 펴보기

인구정책 연표
내 용
1946. 8 미군정청, 남한 인구조사 실시(19,369,270명으로 집계)
1948. 9 서울 인구, 170만 명으로 증가
1948.12 제1회 총인구조사 시행령(대통령령 제39호) 공포
1949. 1 인구조사법(법률 제18호) 공포
1949. 5 인구조사 실시(남한 인구 2,016만 명)
1949. 5 제1회 총인구조사 결과 서울시 인구 140만 명으로 집계
1949. 7 보건부 신설
1949. 8 한국, 세계 보건기구에 65번째로 가입
1949.12 인구동태 조사령(대통령령 제252호) 공포
1950. 8 피난민 구호에 관한 임시조치법(법률 제145호) 공포
1950.12 사회부, 각지에 피난민을 위한 수용소 설치계획 발표
1950.12 거제도에 피난민수용소 건축
1950.12 부산시 인구조사
1951. 1 사회부, 남한 각 도의 피난민 통계 발표
1951. 4 공보처, 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 통계 발표
1951.11 전시생활개선법(법률 제225호) 공포
1952. 4 사회부, 피난민 통계 발표
1952. 5 사회부, 전란 고아 통계 발표
1952.12 0시를 기해 전국 일제히 인구조사
1953. 8 사회부, 전쟁미망인 30만 명으로 발표
1953. 9 전국 호구조사 실시
1954.12 서울 인구, 124만 명으로 조사
1955. 2 보건부와 사회부 통합, 보건사회부로 개편
1955. 9 간이 총인구조사 실시(총인구 2,152만 명)
1956. 9 전쟁고아 20명 미국으로 출발
1956.12 국회, 보건소법안 통과
1957. 5 정부, 어린이헌장 공포
1957.12 전국 인구조사 실시
1958. 8 내무부, 1957년 말 총인구 2,132만 명으로 집계
1959.10 정부, 중남미 이민계획 수립
1959.12 서울 인구, 200만 명 돌파
인구정책 연표
내 용
1960.11 국제 가족계획총연맹(IPPF) 총무 캐드브리 방한
1960.12 인구주택 국세조사 실시
1961. 4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 설립
1961. 4 제2회 국세조사 결과 발표(총인구 2,499만 명, 과거 5년 인구성장률 2.88%)
1961. 6 대한가족계획협회, 국제 가족계획연맹(IPPF) 가입
1961. 7 재건국민운동본부, 모자보건과 가정안정사업을 운동 목표에 추가
1961.11 국가재건최고회의, 가족계획 사업을 국가시책으로 채택
1961.11 보건사회부, 의사·조산원·간호원 등 대상 가족계획 지도자강습회 실시
1961.12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가족계획지원 담화발표
1962. 1 정부, 제1차 경제발전 5개년계획 발표
1962. 1 정부, 가족계획심의위원회 규정(각령 제377호) 공포
1962. 3 정부, 전국 183개 보건소에 가족계획 상담실 설치
1962. 3 정부, 해외이주법(법률 제1030호) 제정·공포
1962. 4 보건사회부, 가족계획 지도요원 183명 선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배치
1962. 5 정부, 주민등록법(법률 제1067호) 제정·공포
1962. 7 재건국민운동본부, 가족계획상담소 설치하고 가족계획 운동 착수
1962. 9 국가재건최고회의, 보건소법 개정법률(법률 제1160호) 공포
1962.10 대한가족계획협회, 각 시도지부 설립
1962.12 브라질 이민단, 부산항 출발
1963. 1 보건사회부, 무의촌 일소에 한의(韓醫)도 동원 결정
1963. 4 경제기획원, 가족계획심의회 개최하고 인공임신중절 권장
1963. 5 보건사회부, 지방 농어촌 주민대상 가족계획 계몽운동 전개
1963. 6 보건사회부, 내규 제3호로 보건국에 모자보건반 설치(가족계획 주관)
1963. 6 대한가족계획협회, 제1차 전국 가족계획대회 개최
1963. 7 국제가족계획연맹, 서태평양지역 제1차 총회 개최(동경)
1963. 8 대한가족계획협회, 인구문제분과위원회 신설하여 6개 분과위원회 구성
1963.10 한국부인회 창립
1963.12 보건사회부, 모자보건반을 과(課)로 승격하고 가족계획계를 신설
1963.12 첫 노동 수출, 서독에 광부 1진 123명 파송
1963.12 보건사회부, 각 시도에 가족계획 전담직원 배치
1964. 1 정부, 전국 보건소에 가족계획요원 1명씩 추가 배치
1964. 1 대한가족계획협회, 모자보건 지도자 세미나 및 인구통계학 세미나 개최
1964. 4 대한가족계획협회, 정관절제 수술의사 훈련 실시
1964. 4 보건사회부, 5월을 ‘가족계획의 달’로 지정
1964. 5 대한가족계획협회, 미국인구협회 지원으로 이동시술차량 및 영사기 도입
1964. 5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의 노래 ‘사랑의 열매’ 보급 시작
1964. 6 정부, 전국 시도 보건과에 가족계획계 신설
1964. 9 대한가족계획협회, 이동시술반 처음 가동하여 시술사업 착수
1964. 9 경제기획원, 인구센서스 시행규칙 제정・공포
1964.10 체신부, 가족계획 기념우표 발행
1964.12 보건사회부, 처음으로 가족계획 실태 조사
1965. 1 보건사회부, 모자보건과에 가족계획 조사평가반 상설
1965. 1 한국인구학회 창립
1965. 4 인구문제연구소 설립
1965. 4 대한가족계획협회, 제1차 가족계획 평가 세미나 개최
1965. 5 국제가족계획연맹, 제1차 서태평양지역회의 개최
1965. 8 대한가족계획협회, IPPF 지원으로 서울클리닉 설립 개원
1965.11 미국 인구협회, 유솜(USOM)과 합동으로 가족계획 이동시술반사업 지원
1965.11 보건사회부, 가족계획심의위원회에 조사평가분과위원회 설치
1965.11 대한가족계획협회, IPPF 지원으로 이동순시용 오토바이 지방지부에 배치
1966. 1 보건사회부, 공의제 철폐 및 각 보건소 이동진료반 제도 신설
1966. 1 대한가족계획협회, 이동시술지도반에서 봉사할 의사 및 간호원 교육 실시
1966. 1 보건사회부, 가족계획 조사평가반 설치 및 운영요령 내규 제정
1966. 1 독일파견 간호원 제1진 128명 출발
1966. 5 대한가족계획협회, 국제어린이 친선 노래잔치 개최(시민회관)
1966. 7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 교육기재 제작하여 각급기관에 보급
1966. 7 보건사회부, 피임수술 사후관리위원회 구성하고 사후관리 사업에 착수
1966.10 인구센서스 실시(총인구 2,920만 명)
1966.10 IPPF 서태평양지역 의사훈련 세미나 개최
1966.10 총인구조사 결과, 서울 인구 377만 명으로 집계
1966.10 대한가족계획협회, 조산원 대상 3주간 가족계획 재교육 실시
1966.11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지도자 및 조산원 교육 수료식 거행
1966.12 국제연합, 인구선언문 채택
1966.12 가족계획사업 평가분석 결과 인구증가율 2.7%로 저하
1967. 1 정부, 피임시술사업과 병행하여 먹는 피임약 보급 추진키로 결정
1967. 2 대한가족계획협회, 시도단위의 가족계획 촉진대회 개최
1967. 4 대한가족계획협회, 7개 도시지역에 시범진료소 신설
1967. 4 보건사회부, 전국 가족계획 실태 및 출산율 조사
1967. 5 대한가족계획협회, 언론인 대상 가족계획 세미나 개최
1967.10 경제기획원, 남한인구 3,000만 명(서울 인구 400만) 돌파 발표
1967.10 스웨덴 국제개발처(SIDA), 피임기구와 가족계획용 물자 등 지원
1967.11 경제기획원, 한국인 평균 수명 60세 돌파 발표
1967.11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 어머니회 조직계획 마련
1967.12 IPPF와 SIDA에서 기증한 이동시술용 차량 130대 인수하여 전국보건소 배치
1968. 5 가족계획 어머니회 조직
1968. 5 정부, 인구 및 전략 문제 연구를 위한 수도권심의위원회 설치 결정
1968. 6 보건사회부, 스웨덴에서 지원한 먹는 피임약 지방에 공급
1968. 7 한국・스웨덴, 가족계획사업에 관한 기술협력 협정 체결
1968. 8 대한가족계획협회, 월간『가정의 벗』창간
1968.10 대한가족계획협회, IPPF 서태평양지역 지도자 및 의사훈련 세미나 개최
1968.11 외국 가족계획요원 훈련수료식 거행
1969. 1 보건사회부, 루우프 시술 및 정관절제시술을 무료 시술제로 전환
1969. 4 전국 시·군 단위로 가족계획 촉진대회 개최
1969. 4 보건사회부, 스웨덴 SIDA와 가족계획연구소 설치운영에 관한 협정 체결
1969.12 경제기획원, 한국인 평균수명 64세로 집계(남자 60세, 여자 67세)
1969.12 보건사회부, 국산 루우프 30만 개 전국에 공급
인구정책 연표
내 용
1970. 2 보건사회부 모자보건과를 ‘모자보건담당관실’로 개편하고 ‘가족계획과’ 신설
1970. 2 동아일보 주최, 인구계획 경제개발 국제 세미나 개최
1970. 3 정부, 연 성장률 8.5%, 인구증가율 1.5% 발표
1970. 4 정부, 수도권 인구과밀화 억제 기본방침 발표
1970. 6 서울시 인구 500만 명 돌파
1970. 6 국립 가족계획연구소 준공
1970. 9 전국 여성대회 개최
1970.10 총인구 및 주택조사 실시(총인구 3,146만 명, 인구증가율 1.92%)
1970.12 가족계획연구원법(법률 제2270호) 공포
1971. 7 가족계획연구원 설립
1971. 9 대한통계협회, 인구성장과 경제개발 세미나 개최
1972. 3 국제 가족계획 평가 워크숍 개최
1972. 4 정부, 가족계획사업 장기계획 확정(상속법상 남녀차별 철폐, 임신중절 합법화 등)
1972. 7 예비군 대상 가족계획 계몽 교육
1972. 7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제2차 인구문제 세미나 개최
1972.11 보건사회부, 농어촌 모자보건요원 1973년부터 해마다 200명 증원 발표
1973. 2 모자보건법(법률 제2514호) 제정·공포
1973. 3 국제노동기구(ILO)와 한국경영자협의회 주최, 경제개발과 인구문제 세미나 개최
1973. 5 보건사회부·문교부, 1974년도부터 여고 교과서에 가족계획 교육내용 수록 합의
1973. 7 경제기획원, 한국인 평균수명 1970년 기준 64.9세로 조사
1973.11 국제 인구협의회 창립 총회 개최
1974. 3 국제연합 인구연감, 서울 인구 세계 8위로 집계
1974. 3 보건사회부, 4월 1일부터 출생하는 어린이에게 전염병 예방접종카드제 실시 발표
1974. 3 대한민국 정부와 국제연합 인구활동기금간의 인구계획에 관한 협정 서명·발효
1974. 4 대한민국정부와 세계보건기구와의 기본협정 서명·발효
1974. 7 가족계획연구원, 인구문제 국제 세미나 개최
1974. 8 인구문제연구소, ‘한국의 인구성장과 경제 및 사회발전에 관한’ 세미나 개최
1974.12 대한가족계획협회 등 28개 단체 주최, 한국 인구대회 개최
1975. 2 대한불임시술협회 설립
1975. 4 대한보건협회 창립
1975. 5 대한여성단체협의회, 여성과 인구 세미나 개최
1975. 7 보건사회부, 국제 인구문제 세미나 개최
1975.10 대한가족계획협회, 피임보급사업(CBD) 개시
1975.10 총인구 및 주택조사 실시
1975.11 보건사회부와 AID 후원, 인구 및 가족계획을 주제로 전국 여의사 대회 개최
1975.12 인구센서스 결과, 한국인 평균수명 남자 66세, 여자 70세로 집계
1976. 2 경제기획원, 도시는 증가, 농촌은 감소 등 지역인구 추이 발표
1976. 2 주부클럽연합회, ‘나라사랑 피임으로’ 선포대회 개최
1976. 3 세계 인구 40억 돌파
1976. 3 제1회 인구정책 세미나 개최
1976. 4 한국보건개발연구원 설립
1976. 4 대한가족계획협회, 피임가정보급 촉진대회 개최
1976. 8 국무회의, 인구정책심의원회 설치 규정 의결
1976.11 정부, 인구억제 종합시책 마련
1976.11 대한가족계획협회, 창립 15주년 기념 서울시 새마을 가족계획 촉진대회 개최
1976.12 정부, 인구정책 추진계획 확정(1980년대 인구증가율 1.6% 유지 목표)
1977. 3 정부, 수도권 인구분산 시책으로 반월 신공업도시 건설 착공
1977. 4 정부, 가족계획어머니회를 새마을부인회로 통합방침 수립
1977. 4 농수산부, 1976년 말 농촌인구 전년대비 3.5%감소(원인은 산아제한으로 분석)
1977. 6 보건사회부, 전국가족계획 평가 세미나 개최
1977. 7 제8차 국제 인구문제 세미나 개최
1978. 1 건설부, 수도권 내 인구 재배치 계획에 따라 수도권 7개 도시 정비계획 수립
1978.11 서울시, 서울인구 782만 명으로 집계 발표(10월 1일 현재)
1978.12 국내인구 3,760만 명으로 집계(10월 말 현재)
1979. 4 IPPE 사업평가 조사단 내한
1979.12 정부, 세계은행(IBRD)과 인구사업 추진을 위한 차관협정 체결(3,000만 달러)
인구정책 연표
내 용
1980. 1 정부, 국제연합 인구활동기금과 인구계획에 관한 제2차 협정 체결
1980. 2 세계은행 차관으로 가족계획협회 11개 지부 모자보건 클리닉 및 홍보용 스튜디오 건립 확정
1980. 2 농수산부, 1979년 말 현재 농가인구 총인구의 28.9%(1,088만 명)
1980. 2 국제 가족계획연맹(IPPE) 사무총장 칼 와렌 박사 내한
1980. 6 경제기획원, 1979년 말 인구증가율 1.58%로 발표(총인구 3,750만 명)
1980. 6 국제연합 인구조사기금, 1980년 말 서울 인구 850만에 이를 것으로 전망(세계 제15위)
1980.10 보건사회부, 모자보건 건강위험치에 관한 국제 세미나 개최
1980.11 전국 인구 및 주택센서스 실시
1980.11 보건사회부, 예비군 훈련시 1시간 가족계획 교육 실시 군당국과 합의
1981. 3 보건사회부, 농어촌 보건진료소 2천 개 설치 결정
1981. 4 농수산부 농업센서스 결과, 전체 인구 중 농가인구 28%로 집계
1981. 6 한국인구학회, 인구문제와 정책방향 세미나 개최
1981. 6 노인복지법(법률 제3453호) 제정·공포
1981. 6 보건사회부·노동부, 국민 해외이주 확대방안 발표
1981. 7 한국인구보건연구원 개원(한국보건개발연구원과 가족계획연구원 통합)
1981.10 보건사회부, 20년간 공식 이민 71개국에 총 44만 4,310명으로 집계
1981.11 보건사회부, 대한가족계획협회 주도의 가족계획사업을 범국가적 사업으로 전환, 추진 결정
1981.12 대한가족계획협회,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1981.12 정부, 인구증가 억제대책 시행계획 발표
1982. 2 경로우대제(65세 이상 노인) 실시
1982. 4 보건사회부, 24개 모자보건센터 건립후보지 발표
1982. 5 정부, 경로헌장 발표
1982. 6 한국인구보건연구소, 20년 사이 결혼과 첫 아이 출산시기 4년 늦어졌다고 발표
1983. 1 시·군·구 보건소 직제 개정, ‘가족보건계’ 신설
1983. 2 보건사회부, 전국 1,321개 보건지소에 613명의 공중보건의 배치(무의촌 완전해소)
1983. 4 보건사회부, 인구억제를 위해 세 자녀부터 의료보험 추가부담 적용 추진
1983. 7 보건사회부, 2자녀 갖기 운동을 2자녀 이후 갖기 운동으로 변경시행 밝힘
1983. 7 인구 4천만 돌파 인구폭발 방지 범국민궐기대회 및 서명캠페인 실시
1984. 5 정부, 65세 이상 노인에게 지하철 무료승차 허용
1984. 5 제1호 인구시계탑 점등식(창원)
1984. 7 모자보건센터에 공중보건의 배치
1985. 3 인구증가율 1% 달성을 위한 전국 가족계획대회 개최
1985. 6 대한가족계획협회, 청소년 성상담 전화 개통
1985. 7 읍·면의 가족계획, 모자보건, 결핵관리요원을 통합보건요원으로 전환
1985. 7 종합병원 형태의 국내 첫 모자보건센터 개원(순천향대학교)
1985.11 인구 및 주텍센서스 실시
1985.12 보건사회부, 부당의료행위를 통한 태아의 성별 식별금지 결정
1985.12 인구시계탑 전국에 16개소 설치 완료
1986. 3 경제기획원, 인구 및 주택센서스 결과 발표(인구밀도 세계 4위)
1986. 4 대한가족계획협회, 창립 25주년 기념식
1986. 5 모자보건법 개정법률(법률 제3824호) 공포
1986. 5 한자녀 가족회 발기인 총회 개최
1986. 7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관계 시청각자료 시사회 개최
1986. 8 보건사회부, 모자 보건 수첩제도 적극 시행 결정
1987. 6 대한가족계획협회, 청소년 성상담 전화개설 2주년 가두 캠페인
1987. 7 대한가족계획협회, ‘세계 인구 50억의 날’ 위기 홍보 실시
1987. 7 국제연합, 세계인구 50억 돌파 계기 ‘세계인구의 날’ 지정
1987. 8 모자보건심의회 구성
1988. 4 서울시, 가족계획요원 170명을 2-3개 동에 1명씩 배치
1988. 5 보건사회부, 노인복지종합대책 마련
1988. 8 대한가족계획협회, 아시아인구 30억의 날 계기 홍보
1988.11 정부, 인구증가율 1% 조기달성 공식 발표
1989. 1 건설부, 수도권 인구집중 억제 위해 수도권에 신도시 공단건설 억제계획 발표
1989.10 경제기획원, 총인구 4,238만 명으로 추계(7월 1일 현재)
1989.11 경제기획원, 1988년 인구동태 결과 한국인 평균수명 70.1세로 집계
1989.12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보건사업 홍보전략 개발세미나 개최
1989.12 한국인구보건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인구정책 연표
내 용
1990. 7 대한가족계획협회, 유엔인구활동기금 ‘세계인구의 날’ 선포 계기 홍보행사 실시
1990. 9 대한가족계획협회, 21세기를 향한 가족계획 신규시범사업 개발 세미나 개최
1990.11 인구주택 총조사 실시
1991. 4 보건사회부, 1990년 국민 평균수명 남자 66.9세·여자 75세로 집계
1991. 4 통계청, 1990년 11월 1일 총인구 4,352만 199명으로 발표
1991.10 21세기를 향한 가족계획 시범사업 추진단 발족
1992. 5 보건사회부, 한국의 80세 이상 장수인구 38만 명으로 발표
1992. 7 통계청, 0시 현재 한국 인구 세계 23위인 4,367만 명으로 추정 발표
1993. 1 보건사회부, 2000년까지 모유수유율 90% 목표로 모유먹기운동 추진 결정
1993. 3 모자보건수첩 제작·보급
1994. 4 유엔 인구회의 개막
1994.12 보건사회부, 보건복지부로 개편
1995. 2 보건사회부, 제1차 인구정책발전위원회 개최
1995.11 인구주택 총조사 실시
1996. 1 보건복지부,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개정안 발표
1996. 1 보건복지부, ‘신인구정책’ 업무계획 확정, 발표
1996. 4 보건복지부, 태아 성감별 산부인과 의사 자격정지 처분
1996. 5 대한가족계획협회, 아기사랑 후원회 사업 착수
1996. 6 대한가족계획협회, 가족계획사업 산아제한에서 출생성비 바로잡기로 변경
1996. 7 세계 인구현황 보고서 한국판 발간 언론인 간담회(제1회) 개최
1996. 7 보건복지부, 시·도 보건소에 성감별 행위단속 실시해 적발시 의사면허 취소 지시
1997.10 제1회 노인의 날 기념식 개최
1997.12 통계청, 한국 인구 4,599만 명 발표(7월 현재)
1998. 2 보건복지부, 보건소에서 무료제공하던 피임약 공급 중단
1998. 7 보건복지부, 98 세계인구의 날 기념 가족보건사업 평가세미나 개최
1999. 3 대한가족계획협회,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인구정책 연표
내 용
2000.11 인구주택 총조사 실시
2000.11 통계청, 2000 인구주택 총조사 잠정집계 결과 발표(인구 4,612만 명)
2001. 4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창립 40주년 기념행사 실시
2001. 8 정부, 산전후 휴가를 90일로 확대하고 유급 육아휴직 신설 등을 포함한 모성보호 관련법 의결
2001. 8 보건복지부, 2010년까지 공공보육시설을 100% 확충하는 ‘보육사업종합발전계획’ 발표
2001. 9 통계청, 수도권에 인구절반 집중 및 65세 이상 노인층 격증 등 인구통계 발표
2002. 4 보건복지부, 건강하게 사는 나이를 75세로 올리는 국민건강관리계획 발표
2003.10 저출산 미래사회위원회, 대통령 소속 자문기구로 출범
2004. 1 보건복지부, 신생아 전원에 2개의 선천성대사이상 질환 검사비 전액 지원 발표
2004. 9 보건복지부, 자연분만 출산비와 미숙아 진료비 면제 등 출산장려대책 발표
2005. 1 통계청, 65세 이상 고령취업자 124만 명 집계
2005.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내에 ‘신인구정책개발센터’ 설치
2005. 3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출산억제에서 출산장려로 기능 전환
2005. 5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법률 제7496호) 제정
2005. 8 통계청, 2004년 출산율 1.16으로 세계 최저 수준 기록 집계
2005. 9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출범
2005. 9 여성가족부, 매달 6일을 육아데이로 지정·캠페인 전개
2005.11 인구주택 총조사 실시
2005.11 통계청, 출생아 수 감소요인 통계자료 발표
2005.12 통계청, 경제활동 참가여성 986만 명(10월 말 현재, 전체 여성의 50.1%)
2005.12 통계청, 한국 여성 평균수명 80.8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돌파 발표
2006. 1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인구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2006. 3 보건복지부, 불임부부 시험관아기 시술비용 지원 결정
2006. 4 보건복지부, 저소득 가구에서 두 명 이상 아기출산 시 열흘간 도우미 서비스 제공 결정
2006. 5 보건복지부, 시험관아기 시술비 지원 가구의 소득기준을 월 소득 419만 원 이하로 확대
2006. 6 저출산·고령화대책연석회의,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
2006. 7 보건복지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 플랜 2010) 확정
2006.10 인구보건복지협회, 제1회 임산부의 날 행사 개최
2006.1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저소득층 노인에 기초노령연금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법 제정안’ 의결
2006.12 고령친화산업진흥법(법률 제8110호) 제정
2007. 2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일과 가정이 함께하는 기업환경 조성 보고대회 개최
2007. 4 노인장기요양보험법(법률 제8403호) 제정(’08.7.1시행)
2007. 6 고령친화산업진흥법 시행령 제정·공포
2007. 7 보건복지부, 저출산 대책 사이버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2007.10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정책본부, 출범 2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2007.12 보건복지부, 2008년부터 기초 노령연금 수령 70세 이상 노인 192만여 명 선정
2008. 1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지정·운영
2008. 4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대통령 직속에서 보건복지가족부 소속으로 출범
2009. 6 아이낳기 좋은세상 운동본부 출범
2010.10 보건복지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 플랜 2015) 확정
2010.11 인구주택 총조사 실시

출처 : 『가협 30년사』(대한가족계획협회, 1991), 『인구정책 30년』(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1), 국가통계포탈(http://kosis.kr/), 국가기록원(http://www.archives.go.kr),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http://dn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