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리스트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1 연구개발의 개요
  • 1.2 연구개발의 현황과 필요성
  • 1.2.1 국내외 연구기술현황
  • 1.2.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3 연구개발 목표 및 범위
  • 1.3.1 1단계 목표 및 범위
  • 1.3.2 1차년도 목표 및 범위
  • 2.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1 부유생태계 모니터링
  • 2.1.1 서언
  • 2.1.2 재료 및 방법
  • 2.1.2.1 식물플랑크톤 모니터링
  • 2.1.2.1.1 정성분석
  • 2.1.2.1.2 정량분석
  • 2.1.2.1.3 생태지수
  • 2.1.2.2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일차생산력 모니터링
  • 2.1.2.2.1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일차생산력 모니터링
  • 2.1.2.2.2 중,소형동물플랑크톤 모니터링
  • 2.1.2.3 적조발생잠재력 및 독성조사
  • 2.1.2.3.1 적조발생 잠재력 파악을 위한 휴면포자 조사
  • 2.1.2.3.2 독성조사를 위한 패류채집과 적조생물 분리주 확보
  • 2.1.3 연구결과 및 고찰
  • 2.1.3.1 식물플랑크톤 모니터링
  • 2.1.3.1.1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 2.1.3.1.2 식물플랑크톤 계적적 변화
  • 2.1.3.1.3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 2.1.3.1.4 종다양성 지수 및 균등도의 시공간적 분포
  • 2.1.3.1.5 식물수문학적 수역구분
  • 2.1.3.2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일차생산력 모니터링
  • 2.1.3.2.1 식물플랑크톤 색소 분포
  • 2.1.3.2.2 일차생산력
  • 2.1.3.2.3 고찰
  • 2.1.3.3 중, 소형동물플랑크톤 모니터링
  • 2.1.3.3.1 소형동물플랑크톤
  • 2.1.3.3.2 중형동물플랑크톤
  • 2.1.3.4 적조발생 잠재력 및 독성조사
  • 2.1.3.4.1 적조발생 잠재력
  • 2.1.3.4.2 독성
  • 2.2 저서생태계 모니터링
  • 2.2.1 서언
  • 2.2.2 재료 및 방법
  • 2.2.2.1 저서환경 조사
  • 2.2.2.2 대형저서동물 채집기의 선택
  • 2.2.2.2.1 현장 조사
  • 2.2.2.2.2 실험실 분석
  • 2.2.2.2.3 자료 분석
  • 2.2.2.3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 2.2.2.3.1 현장 조사
  • 2.2.2.3.2 자료 분석
  • 2.2.2.4 중형저서동물 조사
  • 2.2.2.5 초대형저서동물 조사
  • 2.2.2.6 저서퇴적환경 조사
  • 2.2.3 결과 및 고찰
  • 2.2.3.1 저서환경
  • 2.2.3.2 대형저서동물 채집기의 선택
  • 2.2.3.2.1 채집기별 총 출현종수와 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의 비교
  • 2.2.3.2.2 정량 채집기의 정밀도 비교
  • 2.2.3.2.3 채집기간 다양도의 경향성 비교
  • 2.2.3.2.4 채집기간 우점종의 비교
  • 2.2.3.2.5 채집기간 생물상에 따른 정점 구분 결과의 비교
  • 2.2.3.3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 2.2.3.3.1 대형저서동물의 동물군 특성
  • 2.2.3.3.2 대형저서동물의 biological parameters
  • 2.2.3.3.3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
  • 2.2.3.3.4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 2.2.2.3.5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분포와 환경 요인
  • 2.2.2.3.6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환경질 모니터링 index
  • 2.2.2.4 중형저서동물
  • 2.2.2.4.1 군집조성 및 주요 생물군
  • 2.2.2.4.2 출현 개체수
  • 2.2.2.4.3 수평,수직 분포
  • 2.2.2.4.4 선충류(nematodes)/저서성요각류(harpacticoids) 비
  • 2.2.2.5 초대형저서동물
  • 2.2.2.5.1 초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
  • 2.2.2.5.2 초대형저서동물의 월 변화
  • 2.2.2.5.3 초대형저서동물의 공간적 분포
  • 2.2.2.5.4 초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
  • 2.2.2.6 저서퇴적환경의 시각적 감시
  • 2.3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 2.3.1 새만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군집 연구
  • 2.3.1.1 저서동물 채집 및 분석
  • 2.3.1.1.1 저서동물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 및 시료처리
  • 2.3.1.1.2 자료분석
  • 2.3.1.2 결과 및 고찰
  • 2.3.1.2.1 새만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조성
  • 2.3.1.2.2 새만금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공간적인 분포와 환경요인과의 관계
  • 2.3.1.2.3 새만금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변동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 2.3.2 새만금 갯벌의 미생물 정화력 연구
  • 2.3.2.1 채집 및 분석
  • 2.3.2.1.1 시료 채취 및 전처리
  • 2.3.2.1.2 배양가능세균수 분포
  • 2.3.2.1.3 고분자유기물 분해력
  • 2.3.2.1.4 총 유기물분해력
  • 2.3.2.2 결과 및 고찰
  • 2.3.2.2.1 배양가능 세균수 분포
  • 2.3.2.2.2 고분자유기물 분해력
  • 2.3.2.2.3 총 유기물분해력
  • 2.3.2.2.4 종합토의
  • 2.3.3 대형저서동물 개체군 연구
  • 2.3.3.1 표충채집 및 자료처리
  • 2.3.3.1.1 두 갯벌(산동, 거전 갯벌)에서 초대형 저서동물의 공간분포(현존량 조사)
  • 2.3.3.1.2 대상 생물의 개체군의 생장 및 생산량 변동
  • 2.3.3.2 결과 및 고찰
  • 2.3.3.2.1 두 갯벌(산동, 거전 갯벌)에서 초대형 저서동물의 공간분포(현존량 조사)
  • 2.3.3.2.2 대상 생물의 개체군 동태
  • 2.4 수산자원 모니터링
  • 2.4.1 서언
  • 2.4.2 재료 및 방법
  • 2.4.2.1 어장환경기초조사
  • 2.4.2.2 서식생물상 조사
  • 2.4.2.2.1 부어 자원조사
  • 2.4.2.2.2 저어 자원조사
  • 2.4.2.2.3 낭장망 자원조사
  • 2.4.2.2.4 패류 자원조사
  • 2.4.2.2.5 왕복성어류 자원조사
  • 2.4.2.3 난자치어 군집조사
  • 2.4.2.4 먹이생물 조사
  • 2.4.3 연구결과 및 고찰
  • 2.4.3.1 어장환경특성
  • 2.4.3.1.1 수심
  • 2.4.3.1.2 수온
  • 2.4.3.1.3 염분
  • 2.4.3.1.4 투명도
  • 2.4.3.1.5 부유물질
  • 2.4.3.1.6 용존산소
  • 2.4.3.2 서식생물상 조사
  • 2.4.3.2.1 트롤 자원조사
  • 2.4.3.2.2 삼중자망 자원조사
  • 2.4.3.2.3 낭장망 자원조사
  • 2.4.3.2.4 패류 자원조사
  • 2.4.3.2.5 왕복성어류 자원조사
  • 2.4.3.3 난자치어 군집조사
  • 2.4.3.3.1 종조성
  • 2.4.3.3.2 밀도분포
  • 2.4.3.3.3 종다양성
  • 2.4.3.3.4 주요 자치어 출현변동
  • 2.4.3.4 먹이생물 조사
  • 3. 연구개발결과의 목표달성도와 활용방안
  • 3.1 목표달성도
  • 3.1.1 중과제 목표달성도
  • 3.1.2 세부과제별 목표달성도
  • 3.2 기여도 및 활용방안
  • 3.3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향후조치에 대한 의견
  • 4.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 및 참고문헌
  • 4.1 관련 과학기술 정보
  • 4.2 참고문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