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리스트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1 연구개발의 개요
  • 1.2 연구개발의 현황과 필요성
  • 1.2.1 국내외 연구기술현황
  • 1.2.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3 연구개발 목표 및 범위
  • 1.3.1 1단계 목표 및 범위
  • 1.3.1.1 해저지형변화 모니터링 연구
  • 1.3.1.2 퇴적환경 및 퇴적물 특성변화 연구
  • 1.3.1.3 갯벌지질 연구
  • 1.3.2 1차년도 목표 및 범위
  • 2.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1 해저지형
  • 2.1.1 해저지형
  • 2.1.1.1 조사내용 및 방법
  • 2.1.1.2 결과
  • 2.1.1.2.1 광역 해저지형
  • 2.1.1.2.2 방조제 인접지역의 정밀 해저지형
  • 2.1.1.2.3 1998년 해저지형과의 비교
  • 2.1.2 퇴적물 이동 벡터
  • 2.1.2.1 조사내용 및 방법
  • 2.1.2.2 결과
  • 2.1.3 제3, 4 공구 전면 해역의 퇴적물 입도특성
  • 2.1.3.1 표층퇴적상 분포
  • 2.1.3.2 모래층의 분류
  • 2.1.3.3 현생모래층의 침식/이동
  • 2.1.3.4 뻘질 모래/모래질 뻘의 분류
  • 2.1.3.5 방조제 외측 입도의 계절변화(5월 -9월, 2002)
  • 2.1.3.6 방조제 내측 입도의 연변화(1998~2002)
  • 2.1.4 결론
  • 2.2 퇴적환경 및 퇴적물 특성변화
  • 2.2.1 서론
  • 2.2.2 현장 조사 및 실험분석
  • 2.2.2.1 현장조사
  • 2.2.2.1.1 2002년 5월 공간감시 정점
  • 2.2.2.1.2 2002년 5월 정밀조사해역
  • 2.2.2.1.3 2002년 8월 부유퇴적물 출입량 조사
  • 2.2.2.1.4 2002년 11월 공간감시 정점
  • 2.2.2.1.5 2002년 11월 정밀조사해역
  • 2.2.2.2 실험분석
  • 2.2.2.2.1 해저퇴적물
  • 2.2.2.2.2 부유퇴적물
  • 2.2.2.2.3 부유퇴적물의 유출입량
  • 2.2.3 연구결과 및 토의
  • 2.2.3.1 공간감시 정점의 해저퇴적물분포특성
  • 2.2.3.2 공간감시 정점의 부유퇴적물분포특성
  • 2.2.3.3 정밀조사해역의 해저퇴적물 분포특성
  • 2.2.3.4 정밀조사해역의 부유퇴적물 분포특성
  • 2.2.3.5 부유퇴적물 출입량
  • 2.2.3.5.1 부유퇴적물 특성
  • 2.2.3.5.2 부유퇴적물 이동
  • 2.2.4 요약
  • 2.3 갯벌지질
  • 2.3.1 조사내용 및 방법
  • 2.3.1.1 갯벌퇴적환경
  • 2.3.1.1.1 조사개요
  • 2.3.1.1.2 분석방법
  • 2.3.1.1.2.1 퇴적물 입도 분석
  • 2.3.1.1.2.2 퇴적상 분석
  • 2.3.1.1.2.3 유기물 함량 분석
  • 2.3.1.1.2.4 퇴적률 측정
  • 2.3.1.2 원격탐사에 의한 지형 및 특성변화
  • 2.3.1.2.1 원격탐사의 기초이론 및 전처리
  • 2.3.1.2.1.1 원격탐사의 개요
  • 2.3.1.2.1.2 전자기파 에너지 및 스펙트럼
  • 2.3.1.2.1.3 기하보정
  • 2.3.1.2.2 위성자료 및 현장시료
  • 2.3.1.2.2.1 위성 자료
  • 2.3.1.2.2.2 현장조사 자료
  • 2.3.1.2.3 Waterline 추출과 지형고도모델 계산
  • 2.3.1.2.3.1 해안선 추출
  • 2.3.1.2.3.2 갯벌 지형고도모델 계산
  • 2.3.2 연구결과
  • 2.3.2.1 갯벌퇴적환경
  • 2.3.2.1.1 표층퇴적물과 지형변화의 계절별 특성변화
  • 2.3.2.1.1.1 산동측선(Line ST)
  • 2.3.2.1.1.2 신당측선(Line SD)
  • 2.3.2.1.1.3 신금측선(Line SG)
  • 2.3.2.1.1.4 화포측선(Line HP)
  • 2.3.2.1.1.5 거전측선(Line GJ)
  • 2.3.2.1.1.6 신광측선(Line SK)
  • 2.3.2.1.1.7 대항측선(Line DH)
  • 2.3.2.1.1.8 곰소상포측선(Line KS)
  • 2.3.2.1.2 표층퇴적물의 일반적 특성
  • 2.3.2.1.3 퇴적상 분석결과
  • 2.3.2.1.3.1 퇴적상 Sm:무구조 모래(massive sand)
  • 2.3.2.1.3.2 퇴적상 Ssh:패각이 우세한 모래(disorganized shelly sand)
  • 2.3.2.1.3.3 퇴적상 Sb:생교란 모래(bioturbated sand)
  • 2.3.2.1.3.4 퇴적상 Sp:평행엽리 모래(parallel-laminated sand)
  • 2.3.2.1.3.5 퇴적상 Scr:연흔사엽층리 모래(ripple cross-laminated sand)
  • 2.3.2.1.3.6 퇴적상 Sch:청어뼈형 사층리 모래(herringbone corss-laminated sand)
  • 2.3.2.1.3.7 퇴적상 Sf:우상층리 모래/펄(flase bedded sand/mud)
  • 2.3.2.1.3.8 퇴적상 Zb:생교란 모래/펄(bioturbated sand/mud)
  • 2.3.2.1.3.9 퇴적상 Zw:파형, 엽리 모래/펄(wavy or parallel bedded sand/mud)
  • 2.3.2.1.3.10 퇴적상 Mh:무구조 펄(homogeneous mud)
  • 2.3.2.1.3.11 퇴적상 Mb:생교란 펄(bioturbated mud)
  • 2.3.2.1.3.12 퇴적상 Mp:엽리 펄(parallel-laminated mud)
  • 2.3.2.1.3.13 퇴적상 Msh:무질서한 패각 펄(disorganized shelly mud)
  • 2.3.2.1.4 유기물함량 분석 결과
  • 2.3.2.1.5 퇴적률과 퇴적상변화
  • 2.3.2.2 원격탐사에 의한 지형 및 특성변화
  • 2.3.2.2.1 새만금 갯벌 지형고도모델
  • 2.3.2.2.2 입도에 따른 광학반사도
  • 3. 연구개발결과의 목표달성도와 활용방안
  • 3.1 목표달성도
  • 3.1.1 중과제 목표달성도
  • 3.1.2 세부과제별 목표달성도
  • 3.2 기여도 및 활용방안
  • 3.2.1 해저지형
  • 3.2.2 퇴적환경 미 퇴적물특성변화
  • 3.2.3 갯벌지질
  • 3.3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향후조치에 대한 의견
  • 3.3.1 해저지형
  • 3.3.2 퇴적환경 및 퇴적물특성변화
  • 3.3.3 갯벌지질
  • 4.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 및 참고문헌
  • 4.1 관련 과학기술 정보
  • 4.1.1 해저지형
  • 4.1.2 갯벌지질
  • 4.2 참고문헌
  • 4.2.1 해저지형
  • 4.2.2 해저환경
  • 4.2.3 갯벌지질
  • 5. 부록
  • 5.1 부록 2-3-1
  • 5.2 부록 2-3-2
  • 5.3 부록 2-3-3
  • 5.4 부록 2-3-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