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도는 50년 20월부터 이듬해 1월 20일 사이 유엔군의 후퇴상항을 표시한 것이다. 중공군의 기세는 오산 제천 삼척을 잇는 선에서 꺾였다. 유엔군은 최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러 나 땅이 얼어서 참호도 파기 어려웠다. 서울 남반까지 진격했던 중공군은 이때 유엔군과의 접전을 피하고 일단 후퇴했다. 이는 후방으로부터 전쟁수해 물자의 공급이 모자랐기 때문이었다. 후퇴하는 중공군을 찾아 강타하는 유엔공군 이때부터 미 공군 로케트의 위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유엔군은 다시 북진했다. 가까이의 중공군이 후퇴했기 때문에 혹시 함정에 빠지지 않을까 조심하며 진격했다. 수원 팔달 문을 통과하는 유엔군 탱크 팔달문은 이 민족의 상처인양 지붕이 부서져 있었다. 2월에 접어들자 해동이 되기 시작하면서 비가 오기 시작했다. 한강상류에 도착한 유엔군은 부교를 만들어 강을 건넜다. 유엔군이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노량진에 도착한 것은 2월 20일 경이었다. 중공군도 지쳐 투항자가 많았다. 한강 인도교로 진격하는 한국군 한국군과 유엔군이 한강을 건너 서울을 다시 찾은 것은 3월 14일이었다. 70여일 만에 찾은 서울은 텅 비어있었다. 인적 없는 유령도시 같은 서울 간혹 중공군만이 저항 없이 유엔군에 투항할 뿐이었다. 그때 세종로 일대 국군은 두 번째로 중앙청에 태극기를 걸었다. 서울을 탈환하면서 유엔군은 문산 지구에 낙하산 투하작전을 펼쳤다. 한꺼번에 중장비까지 낙하산으로 투하한 이 작전에서 유엔군은 우수한 화력과 기동력을 과시했다. 피난 못간 국민들은 몇 차례씩 밀고 밀리는 전쟁터에서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어떤 노인은 한 깃대에 태극기와 북괴기를 같이 걸고 국군을 맞이했다. 임진강 투하 작전은 한국군이 맡았다. 탱크부대의 진격 중공군은 3월 18일부터 유엔군과의 접촉을 의식적으로 끊고 후퇴하면서 75만 명의 대군으로 새로운 봄철 대 공세 작전을 착착 진행을 하고 있었다. 아군은 3월 하순 또다시 3.8선을 넘을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