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탈환 작전이 지체없이 진행됐다. 9월 17일에는 김포비행장을 점령하고 인천상륙 나흘후 영등포에 돌입했다. 마침내 서울을 건너다 보며 노량진에 전열을 정비했다. 후퇴한지 85일만인 9월 20일 국군과 유엔군은 한강을 건넜다. 서울은 불타고 있었다. 북괴는 철원과 낙동강 전선에 일부병력까지 투입 서울을 제 2의 스탈린 그라드로 만들려고 완강히 버티고 있었다. 그래서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진 것이다. 특히 세종로 일대에는 적들이 20미터 간격으로 방공호를 파놓고 기관총과 박격포로 최후까지 발악했다. 그러나 이들을 소탕하는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드디어 9월 27일 새벽 6시 우리 해병 용사들이 중앙청에 태극기를 걸었다. 서울역과 남대문 사이의 거리다. 500년 서울을 지킨 문화유산도 포탄에 부서지고 말았다. 수복 이튿날 정부는 재빨리 환도했다. 맥아더 원수가 도쿄에서 날아오고 이승만 대통령이 부산에서 올라와 50여명의 정부각료 유엔군 장성이 참석한 가운데 12시 정각 서울은 대한민국 정부로 인계가 된것이다. 서울이 탈환되고 낙동강 전선이 무너지자 피난민들은 자기 고향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모진 고난을 이기며 100일만에 고향집에 돌아온 피난민들 그러나 그곳에는 불타버린 집과 시체뿐이었다. 북괴의 양민 집단 학살 현장이 여기 있다. 가히 하늘덮은 시체더미 정부 관리와 그 가족 군경 가족 사회 지도급 인사와 그 가족은 반동분자로 몰려 무차별 학살됐다. 적치하에서 학살된 숫자는 무려 13만명에 이른다. 그외에 납치되고 행방불명된 국민까지 합치면 50만명이 된다. 죽었는지 살았는지 죽었으면 시체는 어딨있는지 당황했던 가족들 너무나 엄청난 절망에 수많은 여인들은 기절하고 미쳐버렸다. 여기서 우리는 공산당이 무엇이며 북괴 공산집단의 잔인성을 실감하게 됐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또 살길을 찾아야 했다. 피허를 딛고 일어서야만 했다. 유엔군의 희생도 컸다. 임시로 마련된 유엔묘지와 예를 갖추는 현지 주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