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뉴스화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대한뉴스 산실인 국립영화 제작소.



대한뉴스가 1984년 8월로써 1500호 40년의 연륜을 피어지게 됐습니다. 그동안 대한뉴스 카메라에 담겨진 우리 생활 40년의 변천사 일부를 당시의 화면들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1945년 8월15일 해방과 광복의 새역사를 시작한 그날 그 감격. 해외망명했던 민족지도자들의 귀환을 최초의 대한뉴스인 조선시보가 수록해 놓았습니다. 그러나 해방전 조국에는 38선이 그어지고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한 미군과 소련군이 남북한에 각각 진주했습니다. 그 무렵의 서울거리와 농촌의 풍경.



1946년과 47년. 우리 단계 문제를 보류하기 위해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렸으나 상하없이 결렬됐습니다. 1948년 5월10일 남한지역에서만 UN감시하에 총선거가 실시돼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세계만방에 선포했습니다. 이때부터 대한뉴스는 대한전진보란 제명으로 매달 한편씩 제작 상영했습니다. 신생 대한민국의 국군은 병력과 장비등 모든 면에서 보잘것 없었지만 내 조국을 지킨다는 긍지만은 대단했습니다. 38선을 지키는 웅진반도들의 죽창부대. 총대신 죽창으로 국토를 지켰습니다.



정부수립 2년이 채 못된 1950년 6월25일. 공산북한괴리는 남침을 해왔습니다. 미리 계획하고 남침이였던 까닭에 북한괴뢰군은 침략사흘후에 서울을 유린했습니다. 낙동강 지역까지 후퇴했던 아군은 9월15일 마침내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했습니다. 928서울수복으로 태극기를 꽂고 12월에는 평양까지 진격, 우리 정부가 북녘 동포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습니다. 내친김에 압록강까지 북진한 국군은 그러나 한많은 흥남철도를 다녀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중공군의 개입으로 또다시 피난살이를 하게 됐습니다. 북한괴뢰의 남침으로 폐허가 된 서울은 유령의 도시처럼 암울했습니다. 1953년 여름 당시 대통령 내외분의 구호물자 전달 장면입니다. 전쟁으로 중단됐던 대한 전진보 대신 1953년 초에는 마침내 대한뉴스라는 제명으로 매달한편씩 극장을 통해 상영했습니다. 폐허가 되어버린 경복궁의 잡초를 뽑아 청소하던 남녀학생들. 지금은 50대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대한뉴스는 1953년 7월27일에 판문점 휴전협정 조일소식을 담고 있습니다. 당시 수많은 반공포로들 중 대전전투에서 실종됐던 딘소장의 모습도 보입니다. 이른바 육체파 미국배우 마릴린 먼로양이 주한미군을 위문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다녀가기도 했습니다. 대한뉴스는 1956년 겨울에 서울시민 빙상대회를 수록하고 있는데 넥타이에 중절모를 쓴 신사차림의 선수까지 보입니다. 시대 변천상을 실감할 수 있는 장면입니다. 자전거 하이킹. 사실 이 당시에는 하이킹이라는 말과 노래가 크게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50년대 후반 서울의 교통. 인구 170여만의 서울주요 간선도로에는 전차길이 있었고, 노량진에서 종로를 거쳐 청량리까지, 호남도에서 을지로4가를 거치는, 서대문 영편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전차길이 60년대 중반까지 있었습니다. 전후에 폐허를 딛고 비록 드럼통에 철판을 오려 입혔을망정, 우리 손으로 버스도 제작해서 타고 다녔습니다. 그리고 6.25직후부터 등장했던 관광버스. 당시로써는 명물이였고 유랑객을 많이 태워 날랐습니다. 국산제작 세단이 등장한것이 57년 무렵이였습니다.



자동 가마니틀을 고안해낸 사람이 제1회 발명상, 대통령상을 받았습니다. 요즘과 같은 첨단과학이 각광을 받는 오늘의 과학수준과 비교해보면 좋은 대조가 됩니다. 나일론 옷이 한참 유행하던 때, 우리도 처음으로 나일론 옷감을 짜내기 시작했습니다. 필터가 달른 담배 아리랑이 처음으로 선을 보였습니다. 이때가 1958년. 대한뉴스는 월 한편 제작해서 주간단위 뉴스영화로 발전했고 필름도 35밀리 표준형으로 바뀌어 매주 백두벌씩 배포했습니다. 같은 무렵 국내에서 최초로 라디오를 조립, 생산해 라디오 연속극이 인기를 누렸습니다.



50년대 말, 정부수립 이후 처음으로 동전이 나왔습니다. 50년대 후반, 추억속의 종로 야시장 거리입니다. 1957년도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미인의 기준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여서 당시의 미인과 현대의 미인을 비교해 볼때 세월의 흐름을 실감하게 됩니다. 여성의 아름다움은 신의 창조물 중 뛰어난 걸작으로 예로부터 찬미의 대상이 돼왔고 유행또한 끊임없이 변천해 왔습니다. 또 당시의 여름, 한강과 광나루. 광명계곡을 찾은 서울시민들의 더위를 이기는 풍경입니다.



요즘과 같은 장사씨름의 열기가 오르지 않은 이때만 해도 씨름은 지방민속의 테두리 안에 있었습니다. 1958년 추석날 남쪽에 상륙한 태풍 사라는 불과 이틀동안에 살인적인 폭우와 폭풍으로 해안지방은 물론 내륙과 도서지방까지 물바다로 만들었고 엄청난 사상자와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태풍과 함께 50년대가 가고, 1960년대를 맞이했습니다. 정치,경제는 모든 분야에서 60년대는 새로운 의미를 갖는 시기였습니다. 4.19이후 과도정부시절 아이젠하워 미국대통령이 우리나라를 방문해서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습니다. 1960년대 가을, 평화로운 시골 장날입니다.



1961년이 마지막 가던 12월31일, 서울 남산에 KBS 텔레비젼 방송국이 개국했습니다. 한명숙씨의 노란셔츠 입은 사나이가 한참 유행하던 때입니다. 5.16이후 재간국민운동이 크게 번지는 가운데 물자절약과 관련해서 대한뉴스는 짧은치마 입기 계몽을 하기로 했습니다. 긴 치마의 불편함과 짧은 치마의 편리함을 영화적으로 표현한 캠페인이였습니다. 공무원을 포함한 직장인 사회에서도 퇴근복이란 이름의 간소복입기 운동이 확산됐습니다.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씨가 스페인에서 잠시 귀국해 서울 국제 음악제를 연 일도 있었습니다. 제6회 아시아 영화제를 서울시민회관에서 개최한 것이 1962년 5월의 일입니다. 63년 4월 광나루 맞은편에 워커힐을 개관하고 관광한국의 꿈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루이 암스트롱 초청공연. 1964년의 도쿄올림픽. 이 대회에 우리나라는 16개종목, 212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레슬링과 권투에서 각각 은메달을 한개씩 따내고 유도에서 동메달 하나를 보탰습니다. 도쿄올림픽은 남쪽의 아버지 신문준씨와 북쪽의 딸 신금단 육상선수가 14년만에 극적으로 만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1966년 6월25일에 서울 장충체육관. 주니어 미들급에 김기수 선수는 이탈리아 벤베누티 선수를 15회 반경으로 물리치고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 챔피언이 됐습니다.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로써는 처음으로 마포아파트가 60년대 건설됐습니다. 제2한강교가 개통된 이후 지금까지 한강다리는 16개가 개통, 또는 시공중에 있으며 제2한강교도 확장됐습니다. 60년대 중반, 월남에 우리 국군을 파견하게 되면서 우리나라는 도움받던 나라에서 도와주는 나라로 발돋움 했습니다.



대한뉴스는 특파원을 준공시켜서 월남전투를 취재해 근황소식을 보도했습니다. 68년 1.21 북한괴리 무장공비침투사건. 31인족 공비중 한명만이 살아남았습니다. 이제 4월 250만 장성 예비군이 창설됐고 11월에 울진삼척지구로 백여명의 공비가 또 침투했으나, 공산당이 싫다며 숨져간 이승복 어린이를 포함한 주민들의 반공정신과 향토예비군의 활약으로 공비들은 소탕됐습니다. 68년 판문점을 통해 귀순을 위장침투해온 이수근은 간첩활동을 제대로 할수없게 되자 69년 1월 서울을 탈출했으나 사이공에서 체포, 압송되어 왔습니다. 69년 2월 어린이들을 입시지옥으로부터 해방시킨 각 중학무시험 입학추첨. 이때 어린이들은 지금 20대후반의 젊은이로 성장해있습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니스커트가 유행했습니다. 월 이천년 서울 인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이어 70년 7월 서울 부산간 전구간이 개통됨으로써 하루 생활권 시대에 접어 들었습니다. 71년 크리스마스 서울 충무로에 있는 23층에 대연각 호텔에서 일어난 불은 167명의 사망자를 낸 엄청난 화재였습니다. 대한뉴스는 70년 초에 천연색으로 전환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한뉴스는 대한적십자사 대표단을 수행해 평양에 들어가 남북대화의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남북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북한괴뢰는 휴전선 땅밑으로 남침용 땅굴을 파내려왔습니다. 근면, 자주, 자립의 새마을 운동. 이 운동은 우리 국민의 의식을 개혁하는데 큰 계기가 됐습니다. 73년부터 대한뉴스는 본격적인 천연색 뉴스영화로 제작됐습니다. 서울시민의 식수문제를 해결해준 팔당댐 준공. 1억불 수출을 달성한지 10여년만에 100억불 고지를 점령한 1970년대는 우리 경제도약을 실감케 해준 시기였습니다. 76년 제21회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패더급에 출전한 양정모 선수. 금메달을 따냄으로써 한국 스포츠의 신기원을 이루었습니다.



격동의 70년대가 저물고 대망의 80년대를 맞이했습니다. 제5공화국의 출범으로 개혁과 개방의 새시대를 맞아 중고등학생들의 복장이 자율에 맡겨졌으며 이 자율과 개방은 모든 계층으로 확대돼 국민의식과 행동이 밝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광복이후 줄곧 계속돼오던 통행금지가 해제돼 우리 생활에 불편을 덜어주었습니다. 사상처음 한자리수로 물가가 정착돼 국민생활은 크게 안정됐습니다. 이밖에 무진포 준비와 부패심리를 추방해나가는 가운데 이 땅에 바르고 떳떳한 정의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모두가 힘쓰고 있습니다. 1974년에 서울 지하철 종로선이 개통된 이래 지하철 10년만에 2호 구만선이 개통됨으로써 본격적인 지하철 시대를 맞았습니다. 대한뉴스 그 5백회를 거치면서 획기적인 소식의 하나로써 88서울 올림픽 유치를 들수있습니다. 올림픽 유치에 있어서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단편기록영화가 바덴바덴 중의회에 참석한 IOC위원들을 감동시켰던 것도 새롭습니다. 번영과 화합의 도로로 상징되는 대구 경주간 88올림픽 고속도로가 금년에 개통됐습니다. 겨레의 염원인 선진조국, 통일조국의 품안에서 우리모두가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릴 그날을 앞당기기 위해 대한뉴스는 맡은 바 임무를 다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