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이 되고 우리 정부가 서기 전 어느 신문에 요즘말로 캠페인을 보면 ㄱㄴ배워서 좋은 나라 세우자였습니다. 이 신문을 따라읽으면 경기도에서만 전체도민의 40%가 글을 깨쳐 전 인구의 65%가 암흑에서 광명을 찾았다고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1948년 5월 이른바 UN 감시 하에 첫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암흑에서 광명을 찾았다해도 2100만 인구가운데 600만 명이 까막눈이었던 그 때. 유세장에서 입후보한 사람들이 손가락으로 외치던 숫자를 따라 투표용지 위에 그려진 막대기를 세서 찍는 도리밖엔 없었습니다. 그 막대기호가 실린 투표용지와 선거포스터는 20년전 까지도 우리 모두를 문맹자로 매도해버렸습니다. 1947년 어느 날 신문은 서울에 국민학교 졸업생 13,000명 가운데 절반인 6500명만 상급학교에 진학했다고 전합니다. 전국적으로 중학교가 380개밖에 없던 그 때. 중학은커녕 국민학교도 다니는 둥 마는 둥 해야 했으므로 그 이듬해 선 정부는 의무교육제도를 실시하기로 하고 초등교육비 그 때 돈 18억 원을 잡아넣으면서 중학교 58개를 더 세울 작정을 해 나갔습니다. 그러나 전쟁은 댓바람에 그 모든 작정과 기대를 앗아갔습니다. 몇자 깨우쳤던 가갸거겨도 전쟁통에 다시 까맣게 보였고 국군이 어디로 진격한다 라는 삐라 조차 읽기조차 들어서 알아야했던 그 때. 피난수도 부산이나 수복지구 도회지에서는 책걸상도 없는 맨 땅 노천교실에서 우리들은 바둑아, 바둑아 영희야 철수야로 시작되는 낡은 교과서로부터 책읽기를 시작해야했습니다. 책이라야 지금의 화장지만도 못한 그 때 얘기로 똥종이였는데 그나마 우리 손으로 책을 찍을 수 없어 책 뒷 표지에는 더러 미합중국정부의 원조 운운하는 글귀가 덧붙여지기도 했습니다. 그런가하면 전쟁 통에 급히 펴낸 탓이라며 책을 각자 제대로 꿰매 써달라는 주문이 있는가하면 책 맨 뒷장에는 우리는 대한민국의 아들딸 죽음으로써 나라를 지키자로 시작되는 세 가지의 우리의 맹세가 어느 책에곤 쪽져 있었습니다. 그것이 이제는 내리막 삶의 길에 들어선 중장년들로 하여금 그 청춘을 지금은 사라진 광화문 네거리 아치탑의 구호처럼 살아오게 한 연원이었죠. 지금 아이들 음악에서는 자리가 없어진 노래 학교종이 땡땡땡. 그 학교종이 수업시작을 알리면 선생님은 언제나 어제 배운 것 다외웠냐 라며 화두를 던집니다. 그러나 꼴매기니 새끼꼬기니 집안 일로 공부를 엄두 못내게 하던 그 때. 그래서 3, 4학년이 돼도 국어책하나 제대로 읽을 수 없었던 그 때. 선생님의 화두는 우리들 가슴을 뜨끔하게 했고 토막분필이 놓인 흑칠판에 구구단을 지우면서 분필가루를 뒤집어 쓴 선생님과 싸리 회초리 그리고 벌서는 우리모습은 알 수 없는 애련에 빠져들곤 했죠. “그 때는 또 가방을 가진 학생들이 한 반에 뭐 몇 명이 안됐습니다. 이렇게 둘러메는 가방이었는데요. 이 저희들 같은 경우는 인제 까만 천에다가 물을 들입니다. 그래서 그걸 책보라 그러죠. 그게 전부 인제 등에다 둘러메고 이 책보를 그렇게 해서 책을 싸가지고 다녔었구요. 그 때는 옷 한 벌 가지고 4.5년씩 입었어요. 그러다보니까 옷을 맞는 옷을 입히면은 금방 이렇게 몸이 크니까 그래 이제 어머니가 시장에 가서 옷을 사주시면 두루마기처럼 큰 걸 찾으십니다. 그래야만 이제 4.5년 또 입을 수 있고 또 그 옷이 떨어지면 또 기워서 입을 수도 있고 해서 그 때 보면은 뭐 등이 나온 학생들 그 다음에 너무 큰 옷을 입은 학생들. 사진 보면 지금 참 재미있는 그러한 풍경이 아니었던가 생각을 합니다.” 지금은 세계에서 교육열이 가장 높고 문맹률이 가장 낮다는 나라로 꼽히는 우리라고들 합니다만은 정부통계를 보면 1960년 우리나라의 문맹률이 28%였다니 네 사람에 한명이 넘는 사람들이 까막눈이었으니 그 전에야 한 동네에 글을 제대로 쓰는 사람은 10손가락에 꼽을 정도였죠. 전쟁은 끝났다곤 하지만은 군에 간 아들을 둔 늙은 어머니는 아들에게서 온 편지를 들고 혹 무슨 탈이라도 난 것이 아닌가하며 온 동네를 다니며 고등과학생을 찾아다녔습니다. 그 고등과학생은 반갑지 않은 내용은 그저 속으로 삼키고 무사하다는 얘기를 만들어 전해주면은 그 어머니는 이내 편지를 대신 쓰게 했습니다. 에미는 한시도 네 걱정을 놓을수가 없다로 시작되는 편지글을 읽어주는 늙은 어머니와 대신 쓰는 학생이 알 수 없는 설움으로 적어가던 편지들. 정부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금년 4월까지 다섯 달 동안을 문맹교육기간으로 설정 본격적인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지난 13일에는 문맹교육 봉사단 결성대회가 열렸습니다. 그 불치라던 문맹의 퇴치운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서였습니다. 대갓집 대청이나 빈 창고에 멍석을 깔고 최영신의 상록수식 한글 깨치기 운동이 벌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