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콘텐츠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국가기록원 이달의 기록

 
년도 및 월별 검색
전체보기

2009

대국민 기록정보 서비스 및 기록문화 확산을 위해 매월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된 기록을 소개합니다.

  1. 01월
    매주 수요일, 토요일을 '분식의 날'로 지정
  2. 02월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경제개발 3개년 계획
  3. 03월
    3월 22일 '물의 날'
  4. 04월
    4월 20일 '장애인의 날'
  5. 05월
    5월 8일 '어버이날' 제정
  6. 06월
    1950년 유네스코 가입
  7. 07월
    1971년 그린벨트 첫 지정
  8. 08월
    1974년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9. 09월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10. 10월
    1957년 10월 9일 '조선말 큰사전' 완간
  11. 11월
    1986년 남극조약 가입
  12. 12월
    1968년 광화문 복원
본 콘텐츠는 2007. 6월 ~ 2017. 12월 개발된 콘텐츠입니다.
2009년 08월

1974년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1974년 8월 15일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새로운 대중교통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3년 4개월 만에 완공된 지하철 1호선은 청량리-서울역간 역사적 첫 운행을 시작으로 지하철시대를 열었다.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교통난의 해결책으로 1964년 서울에 ‘단기적으로 버스 증차, 중기대책으로 전차 철거, 장기적으로 지하철 건설’을 계획했으나 막대한 재정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실행되지는 못했다. 1970년, 정부는 외자 94억, 내자 230억 원을 투입하여 도심에 지하철을 건설하고 근교 철도를 전철로 개량하는 광역 수도권 고속전철사업을 발표했다.

인천과 수원에서 서울역까지, 청량리역에서 의정부까지 기존 철도가 연결됨으로써 의정부-청량리-서울역-인천·수원지하철과 전철이 연결되었다. 이것은 서울의 교통난 해소뿐 아니라 도심의 과밀인구를 주변 위성도시로 분산시켜 인천·수원까지도 수도권에 포함시킨다는 계획이었다.

1974년 8월 15일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새로운 대중교통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3년 4개월 만에 완공된 지하철 1호선은 청량리-서울역간 역사적 첫 운행을 시작으로 지하철시대를 열었다.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교통난의 해결책으로 1964년 서울에 ‘단기적으로 버스 증차, 중기대책으로 전차 철거, 장기적으로 지하철 건설’을 계획했으나 막대한 재정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실행되지는 못했다. 1970년, 정부는 외자 94억, 내자 230억 원을 투입하여 도심에 지하철을 건설하고 근교 철도를 전철로 개량하는 광역 수도권 고속전철사업을 발표했다.

인천과 수원에서 서울역까지, 청량리역에서 의정부까지 기존 철도가 연결됨으로써 의정부-청량리-서울역-인천·수원지하철과 전철이 연결되었다. 이것은 서울의 교통난 해소뿐 아니라 도심의 과밀인구를 주변 위성도시로 분산시켜 인천·수원까지도 수도권에 포함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지하철은 막대한 투자비용이 들었으나 인구 급증에 따른 새로운 주거지역 개발과 대단위 주택단지 건설, 도시기능의 분산 정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데 큰 몫을 담당했다. 지하철은 도시와 주변지역간 동선을 단축시켰고 인구이동을 촉진시켰다.

이에 지방 대도시도 도시가 광역화되면서 주변 도시간 연결수단이 필요했다. 1994년 부산지하철 개통을 시작으로 2000년 들어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주요 대도시에도 지하철이 속속 개통되고 있다. 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 교통량의 4.1%에 불과했던 지하철은 오늘날 교통수요의 50% 이상 흡수를 예상하고 있으며 전국의 지하철을 이용한 승객은 지구촌 인구의 10배에 이르는 645억여 명에 이르고 있다. 지하철로 인해 웬만한 거리는 통근·통학권으로 이해되며 주거공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중교통이 신분과 남녀의 차별없는 개방된 근대사회의 평등성이 실현되는 공간이었듯이 지하철은 변화된 사회문화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터부시되던 지하에 공간이 만들어지고 이 공간은 사람들의 중요한 삶의 터전이 되었다. 지하철역 주변으로 새로운 상업·문화공간이 만들어졌으며 지하철역 주변은 역세권을 형성하여 그 지역의 중심지대로 부상하고 있다.

1호선 개통 당시 에어컨 없이 천장에 선풍기를 단 6량으로 단순히 ‘서민의 발’을 대신하던 지하철은 이제 에어컨은 물론 자연환기 장치, 스크린도어 설치 등 최첨단의 시설을 갖추고, 모유 수유 공간 확충, 시민문고 운영, 휴대전화 배터리 무료 충전 등 시민 중심의 서비스뿐 아니라 노약자나 여성 등 사회적 약자 보호 제도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공개서비스과)

관련기록물

  1.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 설치 조례 제정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 설치 조례 제정

    BA0083973
    원문보기
  2. 수도권전철 및 지하철 여객 운임 제정(안)

    수도권전철 및 지하철 여객 운임 제정(안)

    BA0084751
    원문보기
  3. 서울지하철 종로선 개통2

    서울지하철 종로선 개통2

    CET0034086
    원문보기
  4. 박정희대통령 서울지하철 공사시찰4

    박정희대통령 서울지하철 공사시찰4

    CET0029031
    원문보기
  5. 박정희대통령 서울지하철공사 착공식 참석 기념연설

    박정희대통령 서울지하철공사 착공식 참석 기념연설

    CET0011818
    원문보기
검색결과 목록
관리번호 기록물제목 생산년도 유형 참조
BA0139635
  • 철명경제장관회의 안건(제18-24차)
  • 건명서울특별시 지하철 제1호선 건설 규정안
1974 일반문서류(문서대장) 원문보기
CET0034086
  • 철명서울시지하철종로선및수도권전철개통식
  • 건명"수도권전철 개통1
1974 사진/필름류 원문보기
CEN0000740
  • 철명대한뉴스 제823호
  • 건명우리는 건설한다
1971 녹음/동영상류 원문보기
CEN0000845
  • 철명대한뉴스 제928호
  • 건명서울의 지하철
1973 녹음/동영상류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