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대국민 기록정보 서비스 및 기록문화 확산을 위해 매월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된 기록을 소개합니다.
동북아 허브, 인천국제공항 개항
인류와 물류, 정보와 문화교류의 중심지인 인천국제공항은 Seaport, Teleport, reisureport, Businessport 등을 구비한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05년 이후, 공항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세계공항서비스평가(SAQ)에서 5연패를 기록한 인천국제공항은 싱가폴의 창이공항, 홍콩의 첵랍콕 공항 등을 뛰어넘는 세계 우수공항으로서의 저력을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다.
수도권 신공항건설에 대한 논의는 1987년 4월 김포공항에 새로운 활주로가 건설 · 개통된 이후, 공항주변 주거밀집지역에 대한 항공기소음피해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수도권 지역의 항공수요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 김포공항을 확장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공항을 건설할 것인지가 당대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인류와 물류, 정보와 문화교류의 중심지인 인천국제공항은 Seaport, Teleport, reisureport, Businessport 등을 구비한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05년 이후, 공항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세계공항서비스평가(SAQ)에서 5연패를 기록한 인천국제공항은 싱가폴의 창이공항, 홍콩의 첵랍콕 공항 등을 뛰어넘는 세계 우수공항으로서의 저력을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다.
수도권 신공항건설에 대한 논의는 1987년 4월 김포공항에 새로운 활주로가 건설 · 개통된 이후, 공항주변 주거밀집지역에 대한 항공기소음피해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수도권 지역의 항공수요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 김포공항을 확장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공항을 건설할 것인지가 당대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이에 교통부는 1989년 1월 수도권 신공항 건설계획을 추진하고, 1989년 6월 국내 · 외 전문용역업체(유신코퍼레이션, 대우엔지니어링, 프랑스 파리공항공단(ADP), 네덜란드 공항컨설턴트(NSOO) 등)에 의뢰하여 수도권 신공항건설 입지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전면 실시하였다. 이 조사에서 교통부는 서울도심으로부터 10㎞ 이내의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의 22개 후보지에 대한 예비조사를 시행하고, 이 가운데 7개 후보지를 정밀조사한 후 영종도, 시화 Ⅰ·Ⅱ 지구 등 3개 지역으로 크게 압축, 최종 심사하였다. 그 결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공항위치 선정 시 검토기준으로 권장하고 있는 공역, 장애물, 기상, 소음, 토지이용현황, 접근성과 장래확장성 등에 대한 항목별 세부검토를 마친 후, 활주로, 공항을 뜻하는 ‘긴마루’의 이름을 지닌 영종도가 1990년 6월 14일 수도권 신국제공항의 최적 입지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후 교통부는 1992년 6월 16일 2000년대 수도권지역 항공수요에 대비하는 한편, 동북아 중추(HUB) 공항으로 24시간 운영가능하며, 지구촌 일일생활권 시대에 부응하는 미래형 수도권 신공항건설을 주요 목적으로 한 기본계획을 확정 · 고시하고, 1992년 11월 12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건설공사에 착수하게 되었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건설 기본계획은 이후 몇 차례의 변경이 뒤따랐다. 1993년 8월에는 수도권 신공항 건설사업의 제1단계 사업비가 3조 4,165억원(‘91년)에서 3조 9,865억원(’93년)으로 상향 조정되는가 하면, 공사기간도 1~2년 연장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이어 1995년에는 승객의 편의와 항공사의 효율적인 경영을 고려하여 국내선 전용은 김포공항이, 국제선은 인천국제공항이 각각 전담토록 하여 당초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의 국제선 분담계획을 또 한 차례 변경하였으며, 그 밖에 시설규모, 시설 배치 등에 대한 기본계획도 일부 수정 · 보완하였다.
약 8년 4개월 동안 7조 8,000억원의 총사업비가 투입된 제1단계 건설공사(1992년~2000년)는 1,700만평의 부지조성을 시작으로 여객터미널, 활주로, 고속도로, 공항보안시설, 관제탑 등 공항운영 기반시설을 갖추어 나가는 대규모 건설공사였다. 이와 같은 다년간에 걸친 노력 끝에, 인천국제공항은 연간 2,700명의 여객과 170만t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최첨단 국제공항으로 탄생할 수 있었으며, 2001년 3월 29일 개항을 시작으로 21세기 동북아 공항간의 새로운 질서형성과 동북아 항공 및 물류시장의 통합과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는 실질적인 주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공개서비스과)
관련기록물
-
수도권 신 공항 후보지 선정
CA0001245
원문보기 -
수도권 신 공항 건설 예정지역 지정 및 기본 계획(안)
CA0000915
원문보기 -
인천 국제 공항 개항 준비 철저(제9회)
BG0002191
원문보기 -
수도권 신 공항 기본 계획 변경안검토
CA0001246
원문보기 -
수도권 신 국제 공항 건설계획수정(안)
CA0000913
원문보기
관리번호 | 기록물제목 | 생산년도 | 유형 | 참조 |
---|---|---|---|---|
CEN0001902 |
|
1992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T0007365 |
|
1992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Q0004532 |
|
2001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