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학교건축도면 컬렉션
HOME                        검색 상세검색
컬렉션 소개 3D 복원 기록물 검색
학교검색
도면검색
가나다검색
상세검색
해제검색
경성공립농업학교
경성공립농업학교


조선총독부가 1911년 8월에 공포한 제1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이전 대한제국기 시절부터 존재하였던 실업학교, 농림학교, 상업학교 등은 수업연한 2-3년의 실업학교로 개편되었다. 실업학교에는 농업학교, 상업학교, 공업학교, 수산학교 등이 있었으며, 이외에 간이실업학교, 실업보습학교 등을 두었다. 이러한 실업학교들은 1922년 제2차 교육령 이후 수업 연한이 3-5년으로 늘어나면서, 보통학교를 잇는 주요한 중등교육기관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실업보습학교 또한 제2차 교육령으로 수업 연한이 2년으로 늘어났고, 1938년의 제3차 교육령에 의해서는 그 연한이 3년까지 늘어나게 되었다.

경성공립농업학교는 1918년 5월 고양군 숭인면의 경기도 종묘장을 가교사로 사용하여 개교하였으나, 7월 경기도 숭인면 청량리(현 청량리중학교 자리)에 신축교사를 건립하여 이전하였다. 개교 당시의 교사는 목조의 단층 박공지붕 건물로, 2년제의 농업과 2학급으로 출발하였다. 1920년에 수업연한을 3년으로 늘리고, 3학급으로 편성하였으며, 1924년에는 수업연한이 5년으로 대폭 늘어나고 양잠과를 신설하여 총 8개 학급이 되었다. 1928년에는 10개 학급으로 확장되었으며, 1937년에는 현재 서울시립대학교가 위치한 전농동 교사로 학교가 이전하였고,(이후 청량리의 부지는 1938년부터 경성법학전문학교가 사용하게 된다.) 양잠과를 폐지하고 농업토목전수과를 개설하였다. 1939년에는 농업과, 수의축산과, 농업토목과 등 15개 학급으로 성장하였다. 해방 이후, 서울농업중ㆍ고등학교, 서울농업대학, 서울산업대학을 거쳐, 1981년 서울시립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경성공립농업학교 관련 도면은 총 7매이다. 이중 6매는 1926년에 숭인면 청량리 교사에 신축된 2층 교사 도면이며, 나머지 1매는 1928년 같은 청량리 교사에 신축된 강당 도면이다.
신축된 2층 교사는 기본 좌우대칭의 一자형 평면에 전면으로는 포치가 돌출하고, 양측면 뒤쪽으로는 계단실이 돌출하는 형태로 계획되었다. 우측에는 학생들의 출입구가 별도로 계획되어 있다. 교사의 전면으로 사무실, 교실 등이 위치하며, 뒤쪽은 편복도로 계획되었다. ([도판1] 참조)
정면의 입면은 중앙의 포치와 그 상부의 박공(페디먼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은 경사지붕을 사용하면서, 박공창을 설치하였다. 건물이 경사지에 건립됨에 따라 건물 전면부 아래쪽에 석축을 쌓아 수평을 맞추었음을 볼 수 있다. ([도판2] 참조)
강당은 단층의 벽돌조 건물에 목조로 트러스를 올려 경사지붕을 채용하였다. ([도판3] 참조)


참고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80년사, 1999



도판1. 경성공립농업학교신축공사설계도, 1926년경


1926년에 숭인면 청량리 교사에 신축된 2층 교사의 평면도이다. 도면 작성 시기는 1926년경으로 추정된다.
신축된 2층 교사는 기본 좌우대칭의 一자형 평면에 전면으로는 포치가 돌출하고, 양측면 뒤쪽으로는 계단실이 돌출하는 형태로 계획되었다. 우측에는 학생들의 출입구가 별도로 계획되어 있다. 교사의 전면으로 사무실, 교실 등이 위치하며, 뒤쪽은 편복도로 계획되었다.


도판2. 경성공립농업학교신축설계도, 1926년경


1926년에 숭인면 청량리 교사에 신축된 2층 교사의 입면도와 구조평면도이다. 도면 작성 시기는 1926년경으로 추정된다.
정면의 입면은 중앙의 포치와 그 상부의 박공(페디먼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은 경사지붕을 사용하면서, 박공창을 설치하였다. 건물이 경사지에 건립됨에 따라 건물 전면부 아래쪽에 석축을 쌓아 수평을 맞추었음을 볼 수 있다.


도판3. 경성공립농업학교강당신축설계도, 1926년경


1928년 청량리 교사에 신축된 강당 도면이다. 도면은 1926-28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강당은 단층의 벽돌조 건물에 목조로 트러스를 올려 경사지붕을 채용하였다.


도판4. 공주고등보통학교본교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1923

 
본교사동 평면도이다. 본교사동 목조 2층 건물이었다. 본교사 건물의 1층에는 교원실, 응접실, 숙직실, 휴게실, 사무실, 교장실, 회의실이 있었다. 2층에는 4실의 교실과 중앙의 준비실이 있었고, 각 실에는 난방을 위한 굴뚝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2층을 기준으로 1층도 같은 위치에 설치하였다.


도판5. 공주고등보통학교본교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1923


본교사의 입면도이다. 입면은 세로로 긴 격자창을 가진 박공지붕의 형태였는데, 중앙의 주출입에 돌출된 현관에 박공을 두어 중앙을 강조하는 당시의 전형적인 입면이었다. 특히 2층의 코니스장식과 반원형아치 창문, 중앙부 박공의 격자우물 무늬는, 의장적 요소로 서양석조건축에서 차용한 것이었다. 즉, 1층 기단부는 석재로 조적을 사용하고 그 위는 목구조를 사용하면서, 서양의 석조건축의 양식를 목조로 구현하였다.


도판6. 공주고등보통학교교사일부평면도, 1923년경


교사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본교사 후면의 교사는 2층 건물이었으며, 1층에는 표본실, 준비실, 박물실과 3실의 교실이 있었고 2층에는 5실의 교실과 준비실이 있었다. 특별교실은 단층 건물이었으며 기계실, 준비실, 물리화학교실, 교실 및 계단이 있었는데, 이 계단은 교실 안에 있는 것으로 보아 교실의 다락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판7. 공주고등보통학교생도공소기타신축공사설계도, 1923년경


생도공사 평면, 입면 등을 보여는 도면이다. 교사의 서쪽에 위치하여 본교사와 회랑으로 연결된 생도공소는, 목구조의 1층 건물이었다. 이 건물은 장변에 굴뚝이 두 개씩 설치되어 있는 대공간이었다. 출입은 교사동과 연결되는 회랑으로 가능하였고 양 단변쪽에서도 출입할 수 있었다. 창문은 격자창의 형식을 가졌으며, 입면의 마감재료는 장와(張瓦)모르타르였다.

위로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