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온수난방)(3책내 3)
1931년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에서 작성한 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온수난방공사 관련 서류, 설계도서 등 관련 문건들의 편철이다. 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에 대해서는 모두 세 건의 기록물이 있는데, 나머지 두 건의 기록물은 이 기록물과 연결되어 편철된《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 3책내 1(CJA0012782)》과《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 3책내 2(CJA0012783)》이다. 이 기록물철은《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 3책내 1·2》의 내용과 이어지고 있으며, 주로 설비 부분을 위주로 편철되어 있다. 이 기록물철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경성제국대학 총장관사 온수난방 및 학생 대기실 증기난방공사 시행에 관련한 문건들이며, 두 번째는 동 공사의 전등 기타공사 관련, 세 번째는 동 공사의 급수장치공사 관련, 네 번째는 동 공사의 가스관 부설공사, 다섯 번째는 동 공사 내 총장관사 욕실 물끓이기 장치 신설공사, 여섯 번째는 동 공사내 관사 응접실 서재 커튼 및 깔개 기타 신설공사와 일부 설계변경에 관련한 문건들이다. 기록물의 편철은 관방회계과의 최종 승인 문건을 중심으로 해서, 회계과에서 작성한 부속 관련 문건, 현장감독 또는 검사관리가 회계과장 등에 제출한 문건과 공사 청부인 및 해당 관청이 제출한 각종 서류들의 편철이 부속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기록물에는 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중 주로 온수와 난방공사를 위주로 한 설비공사의 문건이 수록되어 있어《경성제국대학 관사 신축공사 - 3책내1·3》의 편철과 함께 경성제국대학 관사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수록되어 있는 제반의 관련 문건을 통하여 이 건물의 원형적 복원 고찰 및 공사의 방법, 사용재료, 근대식 기법의 도입과정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건축의 근대적 모습의 이식과정에 관한 발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시의 설비공사에 대한 내용과 전통 건축에서 행해지던 기존의 방법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