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검색

조선총독부의 말기는 내선일체화, 일본식 성명 강요, 한민족의 황국신민화라는 명분 아래 한민족의 전통, 풍습, 언어 등을 말살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 상세검색

기록물 상세내용

인쇄

실업조사철(후생국노무과)

기록물 이미지를 준비 중입니다.

분류
: 노무
생산년도
: 소화10년 ~ 소화15년(1935년 ~ 1940년)
생산부서
: 내무국 사회과
관리번호
: CJA0016567
문서번호
: 7
M/F번호
: 88-832
총쪽수
: 0면

확대 축소

이 기록물철은 1935년부터 1940년까지 6년간 매년 실시한 조선인에 대한 실업조사내용을 담은 자료이다. 색인목록에 의하면 6개의 기록물철이 편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실제는 8건이다. 또한 기록물철의 앞면에는 후생국 노무과가 생산기관으로 명기되어 있으나 기록물의 내용을 보면, 여전히 내무국 사회과가 생산기관임을 알 수 있다. 일제시기에 실업자에 대한 조사는 사회복지의 관점보다는 노동력의 수급 및 이동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수집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당국의 입장에서 볼 때, 실업자 문제는 사회 불안의 요인이기도 하였지만, 북선(北鮮)개척과 만주(滿洲)개척이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문제였다. 실업자 조사의 결과에 따라 중일전쟁이전부터 시행된 노무수급 조정정책 추진이 가능했던 것이다.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도 지역간 노무수급조정 정책을 추진했다. 1920년대까지 조선총독부는 남부지방의 과잉 노동력을 북부지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동상에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는 등 이동을 촉진하는 정책에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노동정책을 통해 저임금을 유지하고 노동력 부족상태를 충족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사현장이 확대되면서 임금등귀 현상이 나타나자 새로운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것은 바로 조선총독부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다량의 남부지방 노동자들을 이곳으로 이주시키는 것이었다. 1933년부터 함경도 지방을 중심으로 각종 공장·발전소·철도건설공사에 대한 노동력수요가 급증하게 되자 조선총독부가 마련한 지역간 노무수급 조정책은 더욱 본격화되었다. 1934년 2월에는「남선노동자단체 이민안」을 마련하고 1937년에는 도항보호사무소를 설치하여 남부와 중부지역의 유휴 노동력이 일본으로 이출하는 것을 막고 북부지역으로 이동시키고자 노력했다. 또한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한 탈주를 막기 위해 노동자를 20명 단위로 하여 집단 이주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당국은 제도적인 조처 외에 낮은 임금조건과 열악한 노동조건을 감추고 행정력과 언론기관을 총동원한 홍보활동으로 인원을 모집하였으나 노동자의 탈주는 막을 수 없었다. 노무수급정책 추진상의 이러한 어려움은 1938년 국가총동원법의 공포로 해소될 수 있었다. 이 기록물철의 내용을 중심으로 1930년대 후반에 이루어진 실업조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업조사의 시기는 매년 10월 1일이고, 대상지역은 각 부군면에 이른다. 조사대상은 고용주·자영업자·월수 200엔 이상의 급료생활자·외국인·여자·학생·기타 무직자를 제외한 자로서, 취업의 능력과 의사를 가진 자로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이(在朝日本人)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규정에 따른 1935년 조사인원은 조선인 1,002,847명과 일본인 97,510명 등 총 1,100,357명이다. 조사대상자는 급료생활자와 고용노동자 기타 노동자로 대별된다. 1935년 조사결과 나타난 실업자수와 실업율은 각각 81,784명과 7.4%로 전년 대비 1.6% 낮아진 비율이다. 내선인별(內鮮人別)로 살펴보면, 일본인의 실업율이 2.6%인데 비해 조선인은 7.9%이다. 6년간의 조사내용을 살펴보면, 내선인(內鮮人) 모두 해마다 실업자수와 실업율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선(南鮮)의 유휴노동력이 북선(北鮮)이나 중국관내·만주·남양군도 등 외지로 대량 이동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1936~940년간 외지로 이동한 숫자는 일본이 249,916명, 만주가 255,991명, 중국이 66,491명 등 총 572,398명이다. 실업조사는 평균 40여 쪽에 달하는 분량의 조사보고서를 통해 각 지역별·직종별 실업상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조사보고서의 보고 형식은 매년마다 동일하지 않으나 담고 있는 내용(실업자수와 실업율에 대한 각종 통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1938년 보고서에는 청진시와 나진시·성진군 등 실제 조사방법을 알 수 있는 실업자표가 첨부되어 있다. 이러한 실업자표는 이후 보고서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조사 담당자가 읍의 서기나 사업장의 고원(雇員)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지역당 조사일시는 5~6일 정도였다. 1939년부터 실업조사에 대한 당국의 관심은 높아졌다. 이는 북선지역에 대한 노동력 이동과 관련된다. 내무국장은 평북도지사에게 보낸 공문(1939년 3월 22일자, 4월 27일자)을 통해 관내 특정 읍에 대한 조사내용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이 기록물철은 1935년부터 1940년까지 6년간 조선에서 실시된 실업조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가 각 지역별, 직종별로 실업상황을 조사하여 정책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30년대 초반이 북선개척에 주력한 시기였다면, 1937년 이후부터는 만주개척과 중국관내 및 남양군도로 조선인을 이동시킨 시기였다. 그러나 조선인의 이동에는 상세한 노동력 상황에 대한 조사자료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에 해당되는 자료는 바로 ≪실업조사철≫이다. 그러므로 ≪실업조사철≫은 조선총독부의 노동력수급조정정책 수행과 일제 말기 노동력 동원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이자 필수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목록

번호 기록물건명 생산년도 생산부서 쪽수 공개구분 원문보기
8 색인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1 공개가능 원문보기
7 소화12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44 공개가능 원문보기
6 표지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1 공개가능 원문보기
5 소화10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45 공개가능 원문보기
4 소화11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19 공개가능 원문보기
3 소화14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20 공개가능 원문보기
2 소화13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116 공개가능 원문보기
1 소화15년 10월 1일 조선에 있어서 실업조사(사회과)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5 내무국 사회과 39 공개가능 원문보기

처음 1 마지막
키워드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