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 설계

함께하는 지방자치 지방자치 설계

청년마을바로가기

2021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사례집
2021년 청년마을 사례집
2022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사례집
2022년 청년마을 사례집
2023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사례집
2023년 청년마을 사례집
2024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사례집
2024년 청년마을 사례집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지방 인구 감소와 청년 유출 위기에 대응하여 지역에 특색 있는 청년 공동체 거점을 조성함으로써 지방 소멸의 위기를 완화하고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2018년 전라남도 목포시의 ‘괜찮아마을’을 시작으로, 충청남도 서천군의 ‘삶기술학교’, 경상북도 문경시의 ‘달빛탐사대’를 시범 운영하여 외지 청년의 장단기 체류, 지역자원 재발견, 주민과의 상호 교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휴공간 활용, 마을 브랜딩, 청년 창업 실험 등 다양한 지역혁신 모델을 발굴하기도 하였다.

2021년부터 행정안전부는 이 사업을 전국 공모 형식으로 전환하여 2024년을 제외하고 매년 1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2025년을 기준으로 전국 51개 청년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선정된 마을에는 최대 3년간 총 6억 원을 지원하며, 운영단체는 지역 유휴공간을 공유 숙소, 사무공간, 커뮤니티 등 청년 거점으로 활용하며 외지 청년의 장단기 체류를 돕는다. 또한 지역의 농어촌, 문화, 관광 자원을 활용한 로컬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청년, 주민,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함께하는 교류 행사를 열어서 지역 협력망을 구축한다.

시작 이후 지금까지 약 1만 명의 청년이 지역에서 새로운 삶의 기회를 경험하였고, 지역사회의 공동체가 회복되고, 청년이 유입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특히 그간 저평가되던 지역자원과 공간을 재조명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지역 특산품, 관광상품, 문화콘텐츠 등이 등장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마을 맞춤형 현장 자문을 제공하는 전문 컨설팅을 운영하고, 청년마을 관계자 워크숍 및 성과공유회 등 지역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또한, 홍보 콘텐츠 제작이나 팝업스토어 운영 등 대국민 홍보를 추진하여 청년마을의 성과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2022년부터는 ‘청년마을 공유주거 조성사업’을 추진하여, 11개 지역의 주거와 커뮤니티 기능을 갖춘 거점 공간을 조성하도록 지원하여 청년들의 주거 안정성과 공동체 활동 기반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청년마을 사업은 단순한 지역 체류 지원사업이 아닌, 청년 주도형 지역혁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여, 청년의 지역 유입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공동체 회복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대표적인 지방 소멸 대응 정책이다. 특히 지역의 산업, 문화, 자연 자원과 결합한 창의적 사업 모델이 확산되면서 마을별 차별성이 강화되고 있으며, 민간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와 협력하면서 그 파급효과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도 청년마을 사업은 청년 인구 유입과 지역 활성화의 핵심 모델이자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정책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