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으로 도시와 농촌 상생
충청북도는 2022년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도시와 농촌의 상생을 위하여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도시의 유휴 인력(은퇴자, 주부, 청년 등)을 도시농부로 육성하여 농촌에 인력을 보충하는 동시에 도시민에게 부담 없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충청북도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도시농부’ 사업은 농촌 일자리를 통해 도시와 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우수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농촌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인력난이 심각하지만, 도시는 일자리 부족으로 유휴 인력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에 충청북도는 2022년 9월부터 농업인과 도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자문을 거쳐 ‘충북형 도시농부’ 시범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후 2023년부터는 충청북도 내 11개 시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하였다.
본 사업은 하루 8시간 동안 근무하는 기존의 농촌 일자리에서 벗어나 도시농부가 작업 현장에서 하루에 4시간 동안 집중근무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충청북도는 농작업이 생소한 도시민을 농부로 육성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데 필요한 교통비(거리에 따라 최대 25,000원)와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농작업 상해보험 등을 지원한다. 한편, 도시농부를 고용하는 농가에는 인건비의 40%를 지원하고 있다.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은 단비와 같은 정책이다. 충청북도는 도시농부를 통해 ① 농촌 일손 부족 문제 해결, ② 도시민 일자리 부족 문제 해결, ③ 하루 4시간 근무하는 일자리 틈새시장 개척, ④ 도시민에게 귀농 및 귀촌 정보 제공, ⑤ 농업 노동력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의존도 감소, ⑥ 도시와 농촌의 일자리 순환 체계 마련 등 여러 성과를 거두었고,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게다가 본 사업은 ‘도-농 상생형 농촌 일자리 사업’의 우수사례로 인정받고 있으며, 2023년 지방자치 경영대전 대상(대통령상)을 거머쥐며 우수한 지방자치 정책 사례로도 선정된 바 있다. ‘충북형 도시농부’는 단순한 일자리 사업을 넘어 농촌에는 지속 가능한 농업환경을 조성하고, 도시민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도-농 상생형 지방자치 혁신 사례’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