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대국민 기록정보 서비스 및 기록문화 확산을 위해 매월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된 기록을 소개합니다.
- 01월국산 자동차, 세계로 진출하다.
- 02월민족의 대명절, 설날 풍경
- 03월한민족의 땀과 눈물, 세계를 적시다.
- 04월과학기술 진흥, 대한민국의 초석을 다지다!
- 05월활동사진이 붙은 라디오를 아시나요? TV 방송史
- 06월누가 이 사람을 아시나요? 아직도 마르지 않은 눈물
- 07월땅 속의 문화재, 세상에 빛을 보다.
- 08월국민의 발, 지하철 역사 기록으로 보다.
- 09월서울올림픽의 감동과 열정, 기록으로 만나다.
- 10월자연과 인간의 조화, 댐 건설의 기록.
- 11월모두가 하나 되어 만든 기적, 새마을운동
- 12월사랑의 열매가 영그는 연말연시, 이웃과 함께한 그 시절
국민의 발, 지하철 역사 기록으로 보다.
2015년 8월 ‘이달의 기록’은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일(‘74.8.15.)을 맞아, “국민의 발, 지하철 건설 기록으로 보다.”를 주제로 서비스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기록물은 총 31건(동영상 14, 사진 17)으로, 1970~2000년대 서울 및 광역시의 지하철 건설과정, 개통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서울지하철공사 측량작업(‘70), 수도권 전기철도(‘74), 지하철 2호선 완전 개통(’84), 대구지하철 1호선 기공 및 부산지하철 2호선 착공(‘91) 등 동영상 14건
- 박정희 대통령 서울지하철 기공식 참석(‘71), 서울지하철 개통식(’74), 지하철 7호선 개통식(‘00), 광주지하철 1호선·대구지하철 2호선·대전지하철 1호선 기공식(’96) 등 사진 17건
2015년 8월 ‘이달의 기록’은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일(‘74.8.15.)을 맞아, “국민의 발, 지하철 건설 기록으로 보다.”를 주제로 서비스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기록물은 총 31건(동영상 14, 사진 17)으로, 1970~2000년대 서울 및 광역시의 지하철 건설과정, 개통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서울지하철공사 측량작업(‘70), 수도권 전기철도(‘74), 지하철 2호선 완전 개통(’84), 대구지하철 1호선 기공 및 부산지하철 2호선 착공(‘91) 등 동영상 14건
- 박정희 대통령 서울지하철 기공식 참석(‘71), 서울지하철 개통식(’74), 지하철 7호선 개통식(‘00), 광주지하철 1호선·대구지하철 2호선·대전지하철 1호선 기공식(’96) 등 사진 17건
1974년 서울지하철이 처음 개통되었을 당시 1.1%에 불과하던 수송 분담률이 1997년 30.8%로 급증하면서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버스를 앞질렀다(2013년 38.8%). 개통한 지 불과 20여 년 만에 지하철은 서울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 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시에 부산, 대구, 인천 등 광역시에도 지하철이 건설되면서 국민의 발로 거듭났다.
6.25전쟁 직후 베이비붐, 탈(脫)농촌화, 도시화로 서울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1960년대 서울의 교통난은 날로 심각해졌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된 것이 지하철이었다.
1974년 8월 15일, 3년 3개월의 공사 끝에 우리나라에 지하철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는데, 첫 선을 보인 전동차량의 냉·난방시설이라고는 천장에 붙은 선풍기(‘74년 사진)가 전부였다. 또한 개통 전 지하철 역내를 찾은 꼬마(‘73년 사진)들이 신기한 듯 선로에 바짝 붙어 구경하는 모습도 이채롭다.
10여 년이 지난 1984년 서울의 강남과 강북을 한 바퀴 도는 2호선이 개통되었다. 당초 이 노선은 서울시의 ‘지하철건설 및 수도권 전철화사업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서울 도심의 기능이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전동차량에 냉·난방시설을 갖추게 된 것도 이때였다.
서울의 지하철은 세계 주요 도시들 보다 늦게 건설되었지만, 현재는 총 연장 327km로 런던, 뉴욕, 도쿄에 이어 세계 4위**의 시설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노선은 꾸준히 늘어 1985년에 서울의 강남과 강북을 관통하는 3·4호선이, 1996년에 서울의 동서를 관통하는 5호선이 개통되었다. 2000년대에 서울과 주변 도시를 잇는 노선도 속속 개통되어 지하철은 서울권역의 기간교통망으로 자리잡았다.
늘어나는 인구와 자동차로 인한 교통난 해소가 큰 문제로 대두되면서 지방의 대도시에서도 지하철 건설에 대한 요구는 커져갔다.
1985년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부산에서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역무(驛務)의 자동화가 이루어져 자동으로 개찰·승차하는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4호선까지 개통되어 부산과 인근 도시민의 발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지하철을 보유하게 된 도시는 대구이다. 1991년 착공한 1호선이 1998년 완전 개통된 이후, 현재 3호선까지 운행되고 있다.
또한 광주지하철은 1994년 계획 당시 5호선으로 계획되었다가 2002년 3호선으로 축소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는데, 2004년 1호선 1구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첫발을 내딛었다. 2007년 개통한 대전지하철은 개통 이후 일(日) 평균 11만여 명(‘15년 6월 기준)의 승객을 수송하고 있다.
관련기록물
-
수도권전기철도
CEN0000915
원문보기 -
지하철2호선완전개통
CEN0001387
원문보기 -
지하철3,4호선개통
CEN0001529
원문보기 -
부산지하철개통
CEN0001507
원문보기 -
지하철개통식참석자테이프절단
CET0034074
원문보기 -
지하철개통식참석관계자2
CET0034074
원문보기 -
지하철내부
CET0038556
원문보기 -
부산지하철1호선1단계개통1
CET0002025
원문보기
관리번호 | 기록물제목 | 생산년도 | 유형 | 참조 |
---|---|---|---|---|
CEN0000719 |
|
1970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0740 |
|
1971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0830 |
|
1973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4723 |
|
1979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1141 |
|
1980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1216 |
|
1982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1777 |
|
1990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1947 |
|
1993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N0001853 |
|
1991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Q0000800 |
|
1993 | 녹음/동영상류 | 원문보기 |
CET0021261 |
|
1971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29031 |
|
1971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34006 |
|
1971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34039 |
|
1973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34103 |
|
1975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34164 |
|
1979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08492 |
|
1990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DET0027564 |
|
2000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02167 |
|
1991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77820 |
|
1996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DET0024988 |
|
1996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CET0077822 |
|
1996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
DET0026987 |
|
1999 | 사진/필름류 | 원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