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부산부청

조선총독부는 지방행정조직을 1910년, 1914년, 1930년 세 차례 개편하였다. 먼저, 강점 직후인 1910년 10월 1일, 이전의 1수부 13도제가 폐지되고, 도(道), 부(府)·군(郡), 면(面)의 체계로 개편되었다. 이 때 부와 군은 지방행정단위로서의 수준은 같았으나, 일본인 거류민단이 있거나 일본인 거주자가 많은 지역이 부로 지정되었다. 1910년 12개 부가 지정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동안 10개의 부가 추가되어 1944년 흥남부의 지정을 마지막으로 22개 부가 운영되었다. 이러한 행정제도의 대대적인 개편과 함께 새로운 부청사가 다수 필요하게 되었으나, 일제강점 초기에는 대부분 기존 건물을 청사로 전용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그 이전까지 일본거류민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던 통감부 산하의 이사청 건물이었다. 이후, 1920년대 후반부터 장소의 협소나 기존 건물의 낙후, 도시화의 진전 등의 이유로 점차 새로운 부청사의 건축이 진행되었다.

부산의 경우를 살펴보면, 일찍이 1407년부터 왜관(倭館)이 설치되었을 뿐 아니라, 1876년에는 <강화도조약>의 체결로 개항장이 되었다. 일본은 초량왜관을 조차지(租借地)로 설정하고, 용두산공원 일대에 전관거류지(專管居留地)를 설치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에는 이사청(理事廳)이 설치되었으며, 1910년 한일병합과 함께 부제(府制)가 실시되면서, 부산 이사청과 동래부의 행정은 부산부로 승계되었다. 부산부청은 초기에는 일본영사관 건물로 지졌던 부산이사청 청사를 전용하였다. 하지만, 행정공간의 부족으로 인한 몇 차례의 증개축을 거치면서 신청사의 건립이 논의되었고, 신청사는 1928년 신축이 결정되었으나, 1932년에야 용미산(龍尾山) 신사(神社) 부근의 부지가 확보되었고 1936년 완공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부산부청과 관련된 도면 59매가 소장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산부청 관련 정보안내
명칭 연도 도면수
부산부청 1910-1936 (기존) 4
1936-1945 (신축) 55

소장 도면 59매 중 4매의 도면은 부산이사청 청사를 전용하여 부산부청 청사로 사용하던 기간 중에 있었던 증축공사와 관련된 도면이다. 청사 본관의 동편 사무공간을 확장하고, 변소의 규모를 확장하는 내용인데, 건물대장을 참조하면 이 공사는 1915년에 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판1], [도판2], [도판3] 참조) 이외의 나머지 55매의 도면은 부산부청 신청사 신축공사와 관련된 것으로서 1934-35년에 제작된 부속시설의 공사 및 전기배선과 관련된 도면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거의 완성되어 가는 단계에서의 부산부청 계획의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부산부청의 계획은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營繕) 1계에서 담당하였으며, 실무담당자는 영선제1계 소속이자 경성부청의 주임설계자였던 사사 케이이치(笹慶一) 기사로 알려져 있다. 부산부청 쪽에서는 오자와 미야타(小澤宮太) 기수가 신청사의 건축을 담당하였다. 부산부청의 전체적인 배치는 [도판4]에서 확인된다. 부채꼴 모양의 대지는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청사의 형태는 모서리가 둥글려진 凸자형이었다. 이 도면에는 청사의 윤곽 이외에도 바깥에 설치되었던 굴뚝(煙突)과 정화조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배치는 남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옮기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 [도판5] 참조) [도판6]의 배치도에서는 청사 주변의 접근로 계획, 정문 및 통용문의 계획, 창고의 설치, 모서리 부분의 기념공간 조성 계획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판7]은 신청사의 정면과 배면 계획도이다. 부산부청의 입면은 장식을 배제한 모더니즘 양식으로 계획되었는데, 중앙현관이 있는 가운데 부분만 3층으로 구성되고, 양쪽 날개와 뒷부분은 2층으로 계획되었다. [도판8]의 단면도에서는 중앙 후면 지하에 작은 지하실이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판9]의 1층 평면도를 보면, 중앙현관을 중심으로 양옆에 일반인이 이용하는 시설이 배치되고, 양 복도를 따라 주요 사무공간이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인 이용공간에는 현관 왼쪽에 전화교환실과 접수처(受付)가 마련되어 있고, 오른쪽에 상인 대기소가 있다. 홀의 오른쪽 계단 뒤편에도 접수처(受付)가 추가로 있다. 사무공간은 왼쪽 복도를 따라 문서계, 금고계, 직세계(直稅係), 징세계(徵稅係), 맨 끝 반원형 공간에, 부세계(府稅係)가 배치되었고, 오른쪽 복도를 따라 회계계, 호적계, 사업계, 수도계, 용지계(用地係)가 배치되어 있다. 각 사무실이 구획되지 않고 넓은 공간에 용도만 기재되어 있어, 1930년대 모더니즘 건축양식의 특징인 범용 공간 구성의 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현관과 홀, 복도에는 타일을 깔았으며, 사무공간에는 리놀륨(linoleum)을 깔았다. 좌우로 놓인 양 복도의 끝에는 보조현관이 설치되었다.

현관 홀의 양쪽에는 계단실이 배치되었고, 계단 뒤쪽에는 지원공간이나 직원들의 편의시설이 계획되었다. 뒤쪽으로 쭉 뻗은 복도를 따라 왼쪽에는 변소, 물치, 소사실, 탕비실, 차고 등이 있었고, 오른쪽에는 숙직실, 전지(電池)실, 식당, 조리실 등이 배치되었다. 지하실에는 굴뚝과 연결되었고, 기관실, 석탄실, 화부실 등이 계획되었다. 복도의 맨 끝에는 동현관(東玄關)이 계획되어 있는데, 이것은 2층의 회의실에 마련된 방청석과 연결되었다.

[도판10]에서는 2층의 실배치를 살펴볼 수 있다. 현관의 윗부분에는 ‘정청(正廳)’이라 기재된 실과 응접실이 계획되었다. 좌우로 놓인 편복도를 중심으로 사무공간이 배치되는 것은 1층과 동일하다. 왼쪽 복도를 따라서는 위원회실, 학부계, 부윤실(府尹室), 부윤응접실이 놓이고, 맨 끝 반원형 공간에는 소회의실 겸 식당이 계획되었다. 오른쪽 복도를 따라서는 임해계(臨海係), 토목계, 산업계, 내무과가 있었으며, 1층과 같이 각 계들 사이에 벽을 구획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을 함께 쓰고 있다. 2층의 뒷부분에는 좌우에 변소와 위원회실을 두고 그 뒤쪽의 공간은 모두 대회의실로 계획되었다. 회의실 입구의 홀에는 인조석이 깔려 있다.

[도판11]에서는 중앙부의 3층 부분에 소회의실, 대기실, 예비실 등이 계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날개채와 후면부의 지붕 계획이 기재되어 있다. 3층 소회의실의 대기실 안쪽에는 어진영(御眞影) 봉안실이 계획되었는데, 그 상세한 계획은 [도판12]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앙현관부의 상세입면과 단면을 보여주는 [도판13]을 통해 부산부청 신청사는 철근콘크리트 혼용 벽돌조구법으로 계획되었고, 현관 파라펫과 2,3층 부분은 타일로 마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판14]는 같은 부분의 횡단면을 보여주는데, 1층 현관문 및 금속문틀의 상세와 2층 정청의 실내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도판]

  • 도판1. 부산부청청사증축공사배치도/12, 1915년 추정 (Q05300013) 상세보기
  • 도판2. 부산부청청사증축설계도/10, 1915년 추정 (Q05300006) 상세보기
  • 도판3. 부산부청부속변소증축공사설계도/13, 1915년 추정 (Q05300012) 상세보기
  • 도판4. 부산부청신축기타공사설계도/1, 1934 (Q17800035) 상세보기
  • 도판5. 부산부청사신축공사기초기타일부설계변경도/변경설계배치도/37, 1934 (Q17800034) 상세보기
  • 도판6. 부산부청사부속문급병기타신설공사배치도/문급병신설배치도/46, 1934 (Q17800037) 상세보기
  • 도판7.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정면급배면도/6, 1934 (Q1780017) 상세보기
  • 도판8.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측면급단면도/7, 8, 1934 (Q1780016) 상세보기
  • 도판9.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1층평면도/2, 1934 (Q17800020) 상세보기
  • 도판10.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이층평면도/3, 1934 (Q17800019) 상세보기
  • 도판11.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삼층평면도/4, 5, 1934 (Q17800018) 상세보기
  • 도판12.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어진영실상세도/29, 1934 (Q17800023) 상세보기
  • 도판13.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11, 1934 (Q02200001) 상세보기
  • 도판14. 부산부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현관급정청실횡단면상세도/12, 1934 (Q17800025)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