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기타 부청

조선총독부는 지방행정조직을 1910년, 1914년, 1930년 세 차례 개편하였다. 먼저, 강점 직후인 1910년 10월 1일, 이전의 1수부 13도제가 폐지되고, 도(道), 부(府)·군(郡), 면(面)의 체계로 개편되었다. 이 때 부와 군은 지방행정단위로서의 수준은 같았으나, 일본인 거류민단이 있거나 일본인 거주자가 많은 지역이 부로 지정되었다. 1910년 12개 부가 지정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동안 10개의 부가 추가되어 1944년 흥남부의 지정을 마지막으로 22개 부가 운영되었다. 이러한 행정제도의 대대적인 개편과 함께 새로운 부청사가 다수 필요하게 되었으나, 일제강점 초기에는 대부분 기존 건물을 청사로 전용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그 이전까지 일본거류민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던 통감부 산하의 이사청 건물이었다. 이후, 1920년대 후반부터 장소의 협소나 기존 건물의 낙후, 도시화의 진전 등의 이유로 점차 새로운 부청사의 건축이 진행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별도의 해제로 다룬 경성, 군산, 부산, 신의주 부청과 관련된 도면 183매 이외에 대구, 마산, 목포, 원산, 진남포, 평양의 6개 부청과 관련된 도면 12매가 소장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칭 연도 도면수
대구부청 1910-1945 2
마산부청 1910-1945 3
목포부청 1910-1945 2
원산부청 1910-1945 3
진남포부청 1910-1945 1
평양부청 1910-1945 1

이들 12매의 도면은 1920~30년대 새로운 청사를 건축하기 이전의 증축공사의 현황을 보여주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사청 건물의 전용과 증축이 일어났던 초기 부청사 계획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들 증축공사는 대부분 부족한 사무공간을 확장하고, 민원공간인 일반인대기실(公衆溜(공중류) 혹은 人民控所(인민공소))를 계획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구부청

대구부청은 동운정(東雲町)에 있던 대구이사청을 전용하였으며, 부청으로 사용하면서 무덕전, 도서관, 관사 등이 추가되었다. 대구이사청 건물은 1909년 10월에 건축된 양식목조 2층 건물이었다. [도판1]은 청사의 오른쪽으로 사무실을 증축하는 계획을 보여준다. 증축된 사무실은 사무실과 민원공간인 일반인대기실(公衆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도로 본관의 응접실과 도서격납실로 연결되어 있다. 복도에는 보조현관을 설치하였고, 대기실 부분의 출입구는 따로 마련되어 있다. 1924년 잡지의 부청 사진에는 도면에 나타난 증축부분이 함께 나와 있어 이 증축공사가 1924년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건물대장과 대조하여 봤을 때 이 건물은 1914년 8월 신축된 사무실 분실로 추정된다.

마산부청

마산부청은 마산이사청 건물을 전용하였는데, 벽돌조에 몰탈마감을 한 2층건물이었고 지붕구조는 목조트러스, 기단부분은 석조로 계획되었다. 마산부청 증축공사 도면은 두 차례에 걸친 건물의 확장과정을 보여준다. [도판2]는 청사 좌측부분의 1차 증축을 보여주고, [도판3]은 1차 증축부에 직각방향으로 2차 증축을 하는 계획을 보여준다. [도판4]에서 2차 증축공사의 상세한 계획을 살펴볼 수 있다. 평면 계획을 살펴보면, 이때의 증축은 사무실 공간을 확보하고, 민원공간인 대기실(公衆溜) 공간과 연결되는 보조 현관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무공간과 대기실 사이에는 접수대(受付窓(수부창))가 계획되어 이곳이 민원창구의 역할을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건물의 외관은 기존 건물의 외관과 통일감 있게 계획되었다.

목포부청

목포부청은 목포이사청 청사를 전용하였다. 목포부청의 본관은 1899년 지어진 것이며, 1915년 10월 사무분실이 신축되고 숙직실 및 소사실, 변소가 개축되었다. 담은 1911년에, 물치는 1913년에 신축되었다. [도판5], [도판6]은 1915년에 계획된 부청사의 증축계획을 보여준다. [도판5]를 보면, 청사 본관 서쪽에 있던 제3호 부속가를 본관 북쪽의 대지로 이전하여 제2호 부속가와 연결하고, 빈자리에 새로운 부속가를 짓는 공사의 계획이 나타나 있다. 석탄치장(石炭置場)도 동편으로 옮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변소와 탕비소가 갖추어진 소사실(小使室)로 사용되던 제2호 부속가는 개축되어 변소와 탕비실(湯備室)로만 사용되고, 기존에 숙직실과 취사장으로 이용되던 제3호 부속가는 뒤편으로 이전되고 제2호 부속가와 복도로 연결되면서 소사실을 수용하게 되었다. [도판6]에는 본관 서쪽에 신축되는 사무실 공간의 확장 계획이 기재되어 있다. 확장된 사무실은 단층의 목조건물로, 벽체와 외벽에는 서양식의 경량목조를 사용하고 있으나, 지붕부에는 일본식 보-도리 구조를 사용하였다. 지붕에는 작은 박공 형태의 통기구를 두었다.

원산부청

원산부청은 원산이사청 청사를 전용하였다. [도판7], [도판8]은 청사의 1층 동쪽 단부를 확장하는 공사와 관련된 것이다. [도판7]에는 증축부의 평면과 입면이 나타나 있는데, 이를 원산이사청의 계획도와 비교해 보면, 1층 동쪽에 사무실을 두고 사무실 북쪽으로 접수대(受付口窓)와 일반인대기실(人民控所)을 두는 계획이 확인된다. 즉, 민원업무 공간을 청사의 후면에 두던 상황에서 사무실을 확장하고, 일반인대기실과 출입구를 건물 정면 쪽에 계획하고 있다. 증축부에는 아치형 개구부를 두어 기존 사무실과 연결하였으며, 대기실과 사무소 사이의 벽에는 창구(窓口)를 계획하였다. ( [도판8] 참조)

진남포부청

진남포부청은 1908년 건립된 진남포이사청 청사를 전용하였다. [도판9]에는 기존 부청사의 왼편으로 사무실 공간을 확장하는 계획이 기재되어 있다. 내부를 재무계(財務係)와 일반인대기실(公衆溜)로 계획하고 그 사이에 민원창구를 설치하였다. 증축부분은 단층 목조로 지붕부에 트러스를 사용하였으며, 외벽은 영국식 비늘판벽으로 마감되었다. 이 건물은 건물대장에 기재된 1914년 10월 신축된 31평의 부속청사(재무계실)인 것으로 추정된다.

평양부청

평양부청은 다른 지역의 부청이 해당 이사청을 전용한 것과 달리, 평양에 소재하고 있었던 평양재무감독국 청사를 전용하였다. 이 건물은 1908년 12월 건립되었으며, 2층의 양식목조로 지붕에는 아연판과 기와를 덮었다. 이 건물은 남아있는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좌우가 앞으로 돌출된 ㄷ자형 형태였다. 평양부청의 증축공사 도면인 [도판10]는 청사 후면의 오른쪽에 목조 단층건물을 짓고, 이를 기존의 청사 및 청사 뒤편 왼쪽의 부속가와 각각 복도로 연결하는 계획을 보여준다. 추가로 지어지는 건물은 재무계(財務係) 및 청결계(淸潔係)의 사무공간과 서고로 구성되었다. 이 건물은 건물대장에 기재된 1914년 10월 신축된 50평의 부속청사(재무계실)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도판]

  • 도판1. 대구부청부속사무실기타증축공사설계도/2, 1914년 추정 (Q02900003) 상세보기
  • 도판2. 마산부청사증축공사설계도/15, 1910-36년 추정 (Q014800002) 상세보기
  • 도판3. 마산부청사증축공사배치도/16, 1910-36년 추정 (Q014800001) 상세보기
  • 도판4. 마산부청사증축공사설계도/17, 1910-36년 추정 (Q014800009) 상세보기
  • 도판5. 목포부청사증축급부속가이축모양체기타설계도/1, 1915 (Q017600002) 상세보기
  • 도판6. 목포부청사증축설계도/2, 1915 (Q017600001) 상세보기
  • 도판7. 원산부청청사증축설계도, 1910-30년 추정 (Q02300006) 상세보기
  • 도판8. 원산부청청사증축설계도, 1910-30년 추정 (Q02300008) 상세보기
  • 도판9. 진남포부청사증축공사설계도/9, 1914년 추정 (Q014100002) 상세보기
  • 도판10. 평양부청증축공사설계도, 1914년 추정 (Q0610000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