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평안북도청

평안북도청은 1910년 조선총독부의 지방행정조직 개편에 따라 설치된 지방행정기구이다. 일제강점기 초기 평안북도 의주군에 설치되었던 평안북도청은 ‘수백 년의 긴 역사를 가진’ 전통 건물을 전용하여 사용하였는데, 평안북도 관찰부(觀察府)를 전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1923년 4월 평안북도청은 화재로 전소되었고, 1923년 6월부터 7월까지 임시청사(假廳舍)를 신축하여 운영되었다. 곧이어, 평안북도청은 1922년 1월 기공하여 1923년 11월에 완공된 신의주의 신축 청사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후, 1927년 3월의 화재로 청사의 일부가 소실되자 화재 복구를 위한 건물 증개축 계획이 세워지게 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평안북도청과 관련된 도면 93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평안북도청 관련정보안내
명칭 연도 도면수
평안북도청 1910-1923 (기존) 16
1923-1945 (신축) 77

1910년 의주에 설치되었던 평안북도청 청사에 대한 초기의 모습은 국가기록원 소장 도면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1918년에 작성된 [도판1]을 통해 1923년 화재가 발생하기 전의 전체적인 현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평안북도청은 언덕 남사면의 경사진 곳에 석축을 쌓아 만든 여러 단의 부지에서 운영되었다. 배치도에는 건물의 외곽선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주요 건물 5동과 부속 건물들을 외부복도로 연결하여 사용한 것이 확인된다. 이 도면은 부지의 북서쪽의 건물 하나를 철거하고 새로 대형의 청사를 신축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이다. [도판2]는 신축 건물에 대한 설계도이다. 단층의 양식목조 건물로 계획되었으며, 외벽은 모르타르를 발라 마감하였다. 별도의 현관이 설치되지 않고, 오른쪽에 연결된 복도를 통해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으며, 내부에는 토목계, 회계계, 학무계, 일부장실(一部長室)이 전면에 배치되고, 후면에 변소, 상인대기소(商人溜), 창고(物置)가 배치되었다.

나아가, [도판1]에서 확인되는 부지 북쪽 중앙의 건물은 1918년 이전에 먼저 증축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도판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지 동쪽의 회의실 건물도 1918년 이전에 신축되었다가 증축되었음을 [도판4][도판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회의실 건물은 장방형의 양식목조 단층 건물로 높은 석축 위에 신축되었다. 이후에 전면으로 부장실을 덧달아 내는 증축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기존 회의실의 석축 아래쪽에 증축 부분이 계획하면서 하부에 반층의 공간을 만들고 창고로 활용한 점이 흥미로운 부분이다.

한편, 1923년 4월 화재로 인해 청사가 전소된 후, 1개월간의 긴급한 복구 과정 동안 부지 중앙에 임시로 새로운 청사 건물을 계획하였는데, 모르타르 마감의 양식목조 단층 건물로 설계되었다. ( [도판6], [도판7] 참조) 청사는 좌우로 긴 두 동과 그 오른쪽에 건물을 덧붙여 계획되었는데, 임시청사였던 만큼 매우 기능적으로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평안북도청은 청사가 소실되기 1년 전인 1922년부터 신의주에 새로운 청사를 건설하고 있었다. 이 청사는 1923년 11월 완공되었는데, [도판8]은 그 배치도이다. 의주의 부지와는 달리 장방형의 평지에 계획되었는데, 도로로 구획된 장방형 부지 중앙에 山자형 평면의 청사가 계획되었으며, 청사 부지 주변으로 관사와 사택이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청사는 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축면적 약 575평, 연면적 1,150평 규모의 건물로 설계되었다. 내부의 각 실들은 대형 현관 안쪽의 팔각형 중앙 홀에서 분기되는 중앙 후면 돌출부의 중복도와 후면 편복도를 통해 연결되었다. 2층으로의 계단은 중앙홀의 좌우, 중앙 후면 돌출부의 끝, 양단의 끝 등 모두 다섯 군데에 설치되었다. 청사 1층에는 위생과, 보안과, 지방과, 회계과, 권업과, 서무과의 사무실이 칸막이 없는 대형 공간을 배치되었고, 중앙 후면 돌출부에는 토목과의 두 사무실과, 식당 및 응접실이 계획되었다. 2층에는 좌우 끝쪽에 경무과, 고등경찰과, 세무과 등에서 사용하는 넓은 사무실이 배치되었으며, 전면쪽으로는 공간을 잘게 나누어 경찰부장실, 지사관(知事官)실, 참여관(參與官)실, 내무부장실, 재무부장실 등의 개인 사무실이 배치되었다. 중앙 후면 돌출부에는 대회의실, 소회의실, 식당이 계획되었다.( [도판9], [도판10] 참조) 한편, 기관실, 석탄실, 석유창고 등이 배치된 지하 1층은 1층 중앙 후면 돌출부의 양쪽에 계획된 통용문 인근에 설치된 계단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바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도판9]의 지하실평면 참조) 또한, 좌우와 중앙 후면 돌출부 사이에는 변소와 창고, 소사실(小使室) 등을 별동으로 계획하여 배치하였다. ( [도판11] 참조)

신축된 평안북도청 청사는 철근콘크리트 혼용 벽돌조 건물로 계획되었다. 하지만, 철근콘크리트는 지하실이 있는 1층 중앙 돌출부 바닥의 일부와, 2층 높이로 계획된 팔각형 중앙홀의 보에만 사용되었으며, 그 외 대부분의 보 및 바닥판과 지붕의 트러스는 목조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벽돌조 건물에서 구조 보강을 위해 철근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계획은 1920년대 초반의 관립시설 계획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철근콘크리트가 구조재료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이전의 과도기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도판12], [도판13], [도판14] 참조)

청사의 입면계획은 [도판15]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앙지붕 위의 거대한 돔과, 중앙부 전면의 박공 및 기둥과 아치 장식을 사용하여 중앙부를 강조하는 계획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건물 전면부에도 고전주의 오더(order)를 연상하게 하는 벽기둥 장식이 사용되고, 창호의 위아래를 다양하게 장식하여 도청으로서의 권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한편, 1927년에는 화재로 인해 피해를 입은 중앙의 홀 부분과 후면 중앙 돌출부를 증개축하는 계획이 진행되었음을 [도판1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복구 과정에서 대회의실이 있는 후면 중앙 돌출부의 2층 바닥 전체가 철근콘크리트조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내화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층간 바닥 구조재를 목재에서 철근콘크리트로 변경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판17] 참조) 한편, ‘평안북도청 청사 재해 복구공사 설계도(平安北道廳廳舍災害復舊工事設計圖)’들 중에는 연도가 1926년(昭和元年)으로 표기된 도면, 1926년으로 기재했다가 다시 주기로 1927년으로 표기한 도면, 1827년이라 표기한 도면들이 섞여 있다. 여기서 1926년의 기재는 화재가 1927년 3월에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작성 당시의 오류라 판단된다.

[참고도판]

  • 도판1. 평안북도청사증축공사배치도/9, 1918 (Q14500005) 상세보기
  • 도판2. 평안북도청사증축공사설계도 / 10, 1918 (Q14500089) 상세보기
  • 도판3. 평안북도청증축청사배치도/3, 1910-18년 추정 (Q14500094) 상세보기
  • 도판4. 평안북도청회의실개축공사설계도/각부상세, 1910-18년 추정 (Q14500078) 상세보기
  • 도판5. 평안북도청사일부증축공사설계도/9, 1910-18년 추정 (Q14500099) 상세보기
  • 도판6. 평안북도청재해복구공사배치도/61, 1923년 추정 (Q14500015) 상세보기
  • 도판7. 평안북도청사재해복구공사설계도/63, 1923 (Q14500085) 상세보기
  • 도판8. 평안북도신축도청부지평면도/50, 1922-23년 추정 (Q14500009) 상세보기
  • 도판9.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일계평면/1, 1922-23년 추정 (Q14500069) 상세보기
  • 도판10.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이계평면도/2, 1922-23년 추정 (Q14500070) 상세보기
  • 도판11. 평안북도청창고급부속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34, 1922 (Q14500068) 상세보기
  • 도판12.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홀급A계단상세/15, 1922-23년 추정 (Q14500050) 상세보기
  • 도판13.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회의실상세/16, 1922-23년 추정 (Q14500051) 상세보기
  • 도판14.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지하난방실각부상세/22, 1922-23년 추정 (Q14500053) 상세보기
  • 도판15. 평안북도청청사신축공사설계도/3, 1922-23년 추정 (Q14500062) 상세보기
  • 도판16. 평안북도청배치도/화재복구공사배치도/1, 1927 (Q14500036) 상세보기
  • 도판17. 평안북도청청사재해복구공사설계도/재해복구공사평면소옥복기타도/2, 1927 (Q14500033)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