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경성부청

조선총독부는 지방행정조직을 1910년, 1914년, 1930년 세 차례 개편하였다. 먼저, 강점 직후인 1910년 10월 1일, 이전의 1수부 13도제가 폐지되고, 도(道), 부(府)·군(郡), 면(面)의 체계로 개편되었다. 이 때 부와 군은 지방행정단위로서의 수준은 같았으나, 일본인 거류민단이 있거나 일본인 거주자가 많은 지역이 부로 지정되었다. 1910년 12개 부가 지정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동안 10개의 부가 추가되어 1944년 흥남부의 지정을 마지막으로 22개 부가 운영되었다. 이러한 행정제도의 대대적인 개편과 함께 새로운 부청사가 다수 필요하게 되었으나, 일제강점 초기에는 대부분 기존 건물을 청사로 전용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그 이전까지 일본거류민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던 통감부 산하의 이사청 건물이었다. 이후, 1920년대 후반부터 장소의 협소나 기존 건물의 낙후, 도시화의 진전 등의 이유로 점차 새로운 부청사의 건축이 진행되었다.

경성부청의 경우를 살펴보면, 1886년 현재의 충무로1가(본정통) 신세계백화점 자리에 일본영사관(日本領事館) 건물로 지어진 것을 1906년 경성이사청(京城理事廳)으로 전용(轉用)하였으나, 1910년 경성부 지정과 함께 경성부청(京城府廳)이 되었다. 1945년 이후에는 2012년까지 서울시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는 서울도서관으로 전용된 경성부청 신청사(新廳舍)는 1925년 3월 기공을 시작하여 1926년 9월에 준공되었다. 정면 및 좌우는 4층, 정면 중앙부 옥탑은 6층, 후방회의실은 3층으로 계획된 건물로 총면적(總面積)은 2천5백평에 달하였다. 설계는 조선총독부 건축과 영선계에서 담당하였는데, 건축과장인 이와이 쵸사부로(岩井長三郞)가 설계 지도를 하였고 직접적인 설계는 건축기사인 사사 케이이치(笹慶一)가 맡았다. 또 그 밑에서 이와츠키 요시유키(岩槻善之)가 현장 설계 담당을 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경성부청 및 산하의 서부출장소에 관련된 도면 93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성부청 관련 정보안내
명칭 연도 도면수
경성부청 1910-1926(기존) 11
1926-1945(신축) 80
경성부청 서부출장소 1914-1915 2

현재 소장되어 있는 경성부청 관련 도면중 11매는 1915년 기존의 이사청 청사 뒤편에 새로운 청사를 계획한 도면으로 추정된다. [도판1][도판2]의 배치도를 통해 청사의 증축 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도판2]에는 작성연도가 1915년으로 기재되어 있다. 두 도면은 연속적인 증축과정을 보여주는데, [도판1]과 같이 원래 청사 후면에 복도로 연결된 청사를 장방형의 청사를 계획하였는데, 곧이어 [도판2]와 같이 보다 대규모로 증축을 계획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판3]에서는 [도판1]에서 계획되었던 증축 청사의 평면과 입면 계획를 확인할 수 있다. 건물은 단층의 양식목조 건물로 청사의 창문 위쪽과 건물 옆면은 영국식 비늘판벽으로 계획되었고, 변소 부분은 일본식의 누름대 비늘판벽으로 계획되었다. 이 건물의 왼편에 추가로 증축된 청사의 구체적인 계획은 [도판4][도판5]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영국식 비늘판벽으로 마감된 2층 양식목조 건물이며 지붕은 쌍대공 트러스로 계획되었다. 두 증축 건물 모두 내부 실에는 대부분에 ‘사무실(事務室)’이라 기재되어 있어, 당시 업무 폭증으로 인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1920년경부터는 경성부청의 신축 논의가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1923년부터는 신축청사의 부지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1925년 10월에 작성된 [도판6]은 경성부청의 신축 부지가 현재의 서울시청 위치로 결정된 이후의 도면으로 보이는데, 부지의 형태에 맞추어 건물이 ‘山’자 형태로 계획되었음을 볼 수 있다. 신축 청사의 전체적인 평면계획은 2층, 3층, 4층, 옥탑의 평면도인 [도판7], [도판8], [도판9], [도판10]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청사의 입구를 들어서면 넓은 홀(hall)과 2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정면에 배치되었으며, 계단에 올라서면 2층의 각 실과 연결되는 홀(廣間)이 계획되었다. 2층 홀의 좌우에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근대식 설비를 비롯한 계단실, 변소 등의 부속시설이 위치하였고, 청사의 좌우로 길게 뻗은 편복도와 청사 후면으로 이어진 중복도가 연결되도록 계획하였다. 태평로 쪽으로 뻗은 청사의 2층에는 응접실(應接室), 재무계(財務係), 3층에는 부윤실(府尹室), 비서실(秘書室), 권업계실(勸業係室), 위생계실(衛生係室), 조사계(調査係), 내무계(內務係), 신문기자실(新聞記者室), 응접실, 4층에는 의원공실(議員空室), 위원회실(委員會室), 통역속기자실(通譯速記者室), 위원회실, 예비실(豫備室), 부속실(附屬室), 식당 겸 도서관람실(食堂兼圖書觀覽室)이 계획되었고, 을지로와 무교로가 있는 청사 동쪽편 2층에는 회계실(會計室), 수도계(水道係), 3층에는 응접실, 예비실, 토목계(土木係), 귀빈응접실(貴賓應接室), 귀빈실(貴賓室), 예비실이 계획되었다. 청사의 정면 3층에는 부윤응접실, 4층에는 정청(正廳)이 계획되었으며, 청사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의 2층에는 영선계(營繕係), 학무계(學務係), 문서계(文書係), 응접실(應接室), 3층에는 의원대기실(議員扣室)과 의장(議場)이, 5층에는 창고, 기계실(曻降棧棧械室), 6층에는 예비실이 계획되었다.

경성부청은 철근콘크리트조 주량(柱梁)구조를 바탕으로 기둥 사이에 벽돌을 채우는 방식으로 계획되었으며, 청사 중앙의 옥탑과 후면의 회의실은 철골콘크리트 구조로 계획되었음을 [도판11]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특히 회의실의 무주공간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부를 철골 트러스로 계획한 것을 [도판12]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다양한 형태의 트러스를 중첩하여 계획하고 있다. [도판13][도판14]에서는 청사의 내부 공간과 입면을 살펴볼 수 있는데, 입구부의 계단과 정면의 옥탑을 통하여 비대칭 형태의 청사에 중심성을 부여하고, 건물 1층과 2층에는 약 2.88m(9.5척) 간격으로 모던한 형태의 원주(圓柱)를 배치하여 간결한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다. 외부입면 상세도의 대표적인 사례도면은 [도판15], [도판16]과 같은 도면들이다. [도판15]에서 외부마감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데, 1층부와 나머지 층에 대한 석재를 다듬는 방식이 다르게 적용하여 안정감을 주고자 했음이 확인된다. 1층 부분의 석재는 모서리 아랫부분을 파내어 청사 입면에 가로방향의 줄눈 효과를 주었지만, 2층 이상의 석재는 모서리를 파내지 않고 쌓도록 계획되었다. 청사 정문과 창 주변의 입면은 층층이 안으로 들어가는 모양을 내어 깊이감을 주었다. [도판17]은 내부의 천정 상세도로 전체적인 건물의 입면이 많은 장식 없이 계획된 것에 반하여 현관 및 홀에 계획된 천정 세부는 매우 화려하게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경성부는 1914년 4월 1일자로 용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성밖 지역의 대부분을 고양군으로 이관하고, 9월 27일부터 동부, 서부, 북부, 용산의 4개 출장소를 설치하고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1915년 6월 17일 용산출장소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폐지되었다. [도판18]은 1915년에 작성된 ‘경성부청 서대문출장소 표문 기타 신설공사 설계도(京城府廳西大門出張所表門其他新設工事設計圖)’로 당시 서부출장소를 통칭하여 서대문출장소라 쓴 것으로 보인다. 도면에는 ‘서부출장소(西部出張所)’의 부지 약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황토현광장(지금의 광화문사거리)와 의주가도(義州街道, 지금의 서대문역을 경유하는 남북도로) 사이의 남쪽에 위치했던 것이 확인되지만, 주변에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위치는 파악하기 힘들다. 배치도에 기재된 건물의 윤곽선으로 볼 때, 기존의 한옥 건물을 전용하여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도판]

  • 도판1. 경성부청청사증축기타공사배치도/13, 1915년 추정 (Q00400015) 상세보기
  • 도판2. 경성부청청사증축기타공사배치도/16, 1915 (Q00400016) 상세보기
  • 도판3. 경성부청청사기타증축공사설계도/12, 1915년 추정 (Q00400010) 상세보기
  • 도판4. 경성부청사증축기타공사설계도/19, 1915 (Q00400003) 상세보기
  • 도판5. 경성부청사증축기타공사설계도/17, 1915 (Q00400002) 상세보기
  • 도판6. 경성부청사난방기관용연돌배치도/159, 1925 (Q04800023) 상세보기
  • 도판7.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이계평면도/3, 1922-26년 추정 (Q04800011) 상세보기
  • 도판8.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삼계평면도/4, 1922-26년 추정 (Q04800012) 상세보기
  • 도판9.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사계평면도/5, 1922-26년 추정 (Q04800013) 상세보기
  • 도판10.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탑옥평면도/6, 1922-26년 추정 (Q04800014) 상세보기
  • 도판11.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이층량급주배치도/52, 1922-26년 추정 (Q03100001) 상세보기
  • 도판12.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의장철골배치도/77, 1922-26년 추정 (Q03100007) 상세보기
  • 도판13.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횡단면도/12, 1922-26년 추정 (Q04800001) 상세보기
  • 도판14.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동측면급단면도/10, 1922-26년 추정 (Q04800010) 상세보기
  • 도판15.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일반구계도/17, 1922-26년 추정 (Q04800026) 상세보기
  • 도판16.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현관상세도/27, 1922-26년 추정 (Q04800027) 상세보기
  • 도판17. 경성부청사신축설계도/현관급광간상복도/천정중심식급사복상세도/38, 1922-26년 추정 (Q04800005) 상세보기
  • 도판18. 경성부청서대문출장소표문기타신설공사설계도/20/15, 1915 (Q0040001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