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총설 > 의료시설 본관 계획의 공통도면 활용

의료.세관

의료시설 본관 계획의 공통도면 활용

일제강점기 관립 의료시설들은 두 단계에 걸쳐서 보급되었다. 1906년 이후 근대적 관립 의료시설은 경성에 대한의원(1910년 이후 총독부의원)만이 존재하였으나, 1909년 8월 21일 대한제국 칙령 제75호 「자혜의원관제(慈惠醫院官制)」가 공포되면서 전국에 근대적 의료시설이 건립되게 되었다. 1909년 12월 전주와 청주에 건립된 것을 시작으로 1910년 9월까지 전국 13개도에 하나씩의 자혜의원이 운영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증가하여 1925년 4월 1일자로 칙령 제75호로 「조선도립의원관제(朝鮮道立醫院官制)」를 공포하고, 동일 조선총독부령 제29호로 「도립의원규정(道立醫院規程)」이 공포되기 이전까지 모두 28개의 자혜의원이 운영되었다.

조선총독부 건축기구가 설계한 자혜의원의 본관 계획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공통도면에 기초한 표준설계개념이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의료시설 도면에서는 28개의 자혜의원 중 1909년부터 1910년대 초반에 계획된 10개의 본관 계획과 1919년부터 1923년 사이에 계획된 15개의 본관 계획이 확인되며, 그 내역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자혜의원의 시기별 청사계획
번호 명칭 개원일 1909~1910년대 초반의 청사 계획 1919~1923년의 청사 계획
1 전주자혜의원 1909.12 1922.1923 독자형
2 청주자혜의원 1909.12 단층 목조 -
3 함흥자혜의원 1910.1 1919 부분2층형
4 공주자혜의원 1910.9 단층 목조
5 광주자혜의원 1910.9 단층 목조 1922 독자형
6 나남자혜의원 1910.9 1919 부분2층형
7 대구자혜의원 1910.9 이층 목조 -
8 수원자혜의원 1910.9 1923 장방형
9 의주자혜의원 1910.9 단층 목조
10 진주자혜의원 1910.9 1922~23 일자형
11 춘천자혜의원 1910.9 단층 목조 1923 일자형(좌우바뀜)(ㄷ자형검토)
12 평양자혜의원 1910.9 풍경궁 개축
13 해주자혜의원 1910.9 1923 일자형(장방형검토)
14 안동자혜의원 1912.1 단층 목조-공통계획(좌우바뀜)
15 제주자혜의원 1912.1 단층 목조-공통계획
16 초산자혜의원 1912.1 단층 목조-공통계획  
17 강릉자혜의원 1912.8 단층 목조-공통계획
18 회령자혜의원 1912.8 1919 독자형
19 소록도자혜의원 1916.2
20 진남포자혜의원 1921.8
21 군산자혜의원 1922.2 1922 일자형
22 남원자혜의원 1922.2 1923 독자형
23 순천자혜의원 1922.2 1921 ㄷ자형
24 마산자혜의원 1922.9
25 강계자혜의원 1922.12 1922~23 ㄷ자형
26 김천자혜의원 1923.1
27 성진자혜의원 1923.8 1922~23 ㄷ자형
28 혜산진자혜의원 1923.11 1922~23 ㄷ자형

먼저, 1910년을 전후하여 계획된 10개 본관 계획을 살펴보면, 1909년에서 1910년에 개원한 청주, 공주, 광주, 대구, 의주, 춘천자혜의원 등 6개 본관은 모두 다른 형태로 계획되었다. 본관 입면에 의장 요소를 부가하는 방식에서도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1909년의 청주자혜의원 본관([도판1] 참조)이나 1910년의 광주와 대구자혜의원 본관에는 비늘판벽을 사용하면서 많은 장식이 계획되었다. 반면에 공주, 의주, 춘천자혜의원의 본관 입면은 누름대비늘판벽으로 매우 단순하게 계획되어 있다. 즉, 1910년 8월 강점 직전이나 직후에는 본관 계획에 상당한 신경을 썼으나, 그 이후에는 시설의 설립과 운영 자체를 중시하고 최대한 단순하게 건물을 계획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도판1. 충청북도자혜의원신축설계도/제1호, 1909년 추정상세보기

반면, 1912년에 설립된 안동, 제주, 초산, 강릉 자혜의원의 본관은 누름대비늘판벽의 단층 목조 건물로 계획되었음에도 그 형태가 모두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계획 비용과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하나의 공통계획안을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도판2], [도판3] 참조) 다만, 안동자혜의원 본관의 경우 부지의 조건으로 인해 계획이 좌우로 바뀌어 있다. 이들 공통계획안에서 보이는 계획 내용은 이전의 자혜의원 본관 계획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특히, 십자 중복도를 둔 내부 공간이나 수술실과 변소의 좌우에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은 1909년의 청주자혜의원 본관 계획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청주자혜의원 본관의 입면이 비늘판벽과 다양한 의장 요소로 계획되어 있는 반면, 1912년의 공통계획안은 누름대비늘판벽을 사용하여 훨씬 단순하고 저렴하게 계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도판2. 안동자혜원본관기타신축공사설계도/3, 1912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3. 강릉자혜의원본관급기타부속수술실신축공사설계도/3, 1912년 추정상세보기

마찬가지로, 1919년에서 1923년 사이에 계획된 15개 본관의 계획 중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계획이 다수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이전에 계획된 도면을 적극적으로 참고하여 새로운 본관의 계획에 활용하거나, 부지의 조건에 맞추어 일부만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식도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확인되는 15개의 본관 계획 중에서 다른 자혜의원의 본관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계획된 본관은 5개에 불과하다. 나머지 10개의 본관 계획 중에서는 일자형 4개(군산, 진주, 춘천, 해주), ㄷ자형 4개(순천, 강계, 성진, 해산진), 부분2층형 2개(나남, 함흥)가 확인되고 있다.

먼저, 일자형의 본관 계획은 1922년 군산자혜의원에 본관을 신축하면서 최초로 설계된 것으로 보이는데, 3층의 벽돌조 일자 형태의 건물로 계획되었다. 좌우대칭 형태로 내부에는 중복도가 계획되었다. 이 계획은 1922년에서 1923년에 개축된 진주, 춘천, 해주자혜의원 본관에도 적용되었다. 반면, ㄷ자형 계획안의 경우에는 특정한 자혜의원의 본관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통계획안으로 설계된 후에, 각 자혜의원 본관의 신축에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21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자혜의원계획설계도/번외1’이나 ‘자혜의원증기난방장치도’ 등에서 확인된다. ([도판4] 참조) 이 계획안은 일자형 계획안과 같이 3층 벽돌조 건물로 설계되었지만, 중복도가 아닌 편복도 방식으로 계획되었으며, 실질적으로는 1층과 2층만이 의료 공간으로 구성되어 일자형 계획보다 그 규모는 작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19년에 계획된 나남과 함흥의 자혜의원 본관에서도 동일한 계획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사례는 두 자혜의원에서만 확인되고 있지만, 나남자혜의원 본관의 계획도의 제목이 지명이 없이 ‘자혜의원청사기타신축설계도’로 되어 있고, 수기로 ‘나남(羅南)’이라 기재되어 있어 공통계획안이 마련된 후, 나남과 함흥자혜의원 본관에 적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판5] 참조) 이 계획안은 전술한 두 공통계획안과는 달리 시료(施療) 공간이 한쪽으로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앙부에만 2층부를 계획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 도판4. 자혜의원계획설계도/번외1, 1921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5. 자혜의원청사기타신축설계도/2, 1919상세보기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1920년대 자혜의원 본관의 신축 계획 과정에서 여러 공통계획안을 검토하고 해당 부지의 조건에 맞추어 변형하는 과정이 확인된다는 점이다.

춘천자혜의원의 경우를 살펴보면, 1923년 본관을 신축하면서 초기에는 ㄷ자형의 공통계획안을 준용하여 본관을 계획하였으나, ([도판6] 참조) 부지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군산의 본관과 동일한 일자형의 계획을 따르는 것으로 바뀌었다. 뿐만 아니라, 축소된 부지가 군산의 본관 계획을 그대로 적용하기 곤란한 형태로 정리되어 일자형의 공통계획안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그 형태를 좌우대칭으로 바꾸어 계획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도판7] 참조) 해주자혜의원의 경우에도 1923년 본관을 신축하면서 초기에는 같은 해 계획된 수원자혜의원의 본관계획을 그대로 적용하고자 하였음을 초기 배치도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도판8] 참조) 이후 군산자혜의원 본관 신축에 사용되었던 일자형 공통계획안에 기반하여 본관을 신축하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음이 확인된다.([도판9] 참조)

  • 도판6. (무제)/춘천의원/참고/20, 1922상세보기
  • 도판7. 춘천자혜의원신축공사본관설계변경평면도/5, 1923상세보기
  • 도판8. 해주자혜의원본관신축설계도/1, 1923상세보기
  • 도판9. 해주자혜의원부지평면도/44, 1923-25년 추정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