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총설 > 조선총독부 청사·치안시설·전매시설 > 전매시설 > 조선총독부 전매국 기타 출장소 2 : 1930년대

조선총독부 청사(광화문)치안시설·전매시설

조선총독부 전매국 기타 출장소 2 : 1930년대

1930년대에 설치된 출장소에 관한 도면은 29매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30년대에 설치된 출장소 도면
명칭 연도 지역 도면수
조선총독부 전매국 거창출장소 1936~1945 경상남도 9
조선총독부 전매국 장수출장소 1931~1945 전라북도 5
조선총독부 전매국 청도출장소 1938~1945 경상북도 9
조선총독부 전매국 함흥출장소 1933~1945 함경남도 5
조선총독부 전매국 홍릉출장소 1937 경기도 1

* 연도는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 1910~1941’을 참고로 조사하였다. 다만, 직원록이 1941년까지만 확인 가능하므로, 그 이후는 유지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홍릉출장소의 경우 직원록에서 그 내용이 확인되지는 않으나, 도면 작성시기가 1937년으로 계획만 되었던 시설로 추정된다.

1930년대 전매국 출장소 청사에 관한 도면이 1920년대의 것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각 시설마다 청사의 계획도가 모두 작성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1910~20년대 공통도면 계획에 의해 지어지던 청사가 점차 개별적으로 계획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1920년대의 도면과 달리 대부분의 도면에 분류표와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도면 관리가 더 체계화되었음도 엿볼 수 있다.

설치된 순서대로 각 출장소의 도면을 살펴보면, 먼저 1931년 설치된 장수출장소에 대해서는 1934년 작성된 도면들이 확인된다. 장수출장소의 배치는 [도판 1]에서 볼 수 있다. 부지의 중앙에 동쪽으로 청사가 배치되었으며, 후면에 창고가 계획되었다. 청사의 상세는 [도판 2]에서 볼 수 있는데, 넓은 단일 공간의 사무실 전면으로 대기실이 계획되었고, 청사 후면으로는 부속가가 구성되었다. 청사의 입면은 별다른 장식 없이 모르타르 바름 방식으로 마감되었고, 현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었다. 청사의 전체적인 계획은 1920년대 청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1933년 설치된 함흥출장소 관련 도면은 1935년 작성된 것들이다. [도판 3]은 급수설비 공사를 위해 작성된 배치도로 부지 안에는 청사, 창고, 관사가 계획되어 있다. 청사의 상세는 [도판 4]에서 확인된다. 함흥출장소 청사의 전체적인 형태는 1년 전에 계획된 장수출장소 청사([도판2] 참조)와 유사하게 계획되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크기는 조금 다른데, 장수출장소 청사의 사무실 부분은 63X31.5척(尺)(약 19.1X9.5m)로 계획된 반면, 함흥출창소 청사는 그보다 작은 48X30척(尺)(약 14.5X9.1m)으로 계획되었다. 입면은 동일하게 중앙이 강조되는 좌우대칭의 형태에 모르타르 바름 방식으로 마감되었다. 거창출장소는 1936~37년에 계획되었다. 전체적인 배치는 [도판 5]에서 볼 수 있는데, 부지의 중앙에 청사와 부속가가 배치되고 한쪽으로 창고가 계획되었다. 그 청사의 계획은 [도판6]에서 확인되는데, 전체적인 형태는 앞서의 장수 및 함흥출장소 청사와 유사하며, 부속가가 청사의 후면이 아닌 측면에 계획되었다는 점이 다르다. 사무실 부분의 크기와 계획은 함흥출장소의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청사의 지붕은 우진각에서 맞배지붕 형태로 바뀌었다. [도판 7]은 홍릉출장소에 대한 도면으로 1937년 작성된 창호 및 출입문(建具) 상세도이다. 하지만, 『조선총독부 및 소속관서 직원록(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에서는 홍릉출장소 관련 내용이 파악되지 않으며 다른 도면도 존재하지 않아,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청도출장소는 1938년부터 운영되었으며, 소장되어 있는 도면은 1937년에 작성된 것이다. 청도출장소의 배치 계획은 [도판 8]에서 확인되는데, 다른 출장소와 달리, 부지의 모서리에 청사의 전면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다. 이는 청사의 전면을 정남향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로 인해 부지의 활용이 더 복잡해지게 되었다. 이외에 청사의 동쪽에는 관사가, 북쪽에는 창고가 계획되었는데, 이 두 건물은 대지 경계선과 비슷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계획된 청사의 상세는 [도판 9]에서 볼 수 있는데, 전체적인 형태는 이전의 출장소 청사와 유사하지만, 부속가의 연결부가 청사의 왼쪽 후면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외에도 청사의 지붕이 거창출장소의 경우에서처럼 맞배지붕으로 계획되어 있어, 1936년을 기점으로 출장소 청사 지붕 계획 개념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도판]

  • 도판1. 전매국장수출장소청사신축기타공사배치도 / 배치도 / 1, 1934 상세보기
  • 도판2. 전매국장수출장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건도급평면각복도 / 2, 1934 상세보기
  • 도판3. 전매국함흥출장소청사급관사급수설비공사설계도 / 급수설비배관도 / 14, 1935 상세보기
  • 도판4. 전매국함흥출장소청사급관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건면급평면각복현관상세기타도 / 2, 1935 상세보기
  • 도판5. 조선총독부전매국거창출장소청사기타신축공사일부설계변경도 / 청사일부변경도 / 12, 1937 상세보기
  • 도판6. 조선총독부전매국거창출장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건면급평면각복기타도 / 2, 1936 상세보기
  • 도판7. 전매국홍릉출장소청사신축기타공사건구상세도 / 청사부속가숙사분 / 건구상세도 /10, 1937 상세보기
  • 도판8. 전매국청도출장소기타신축공사배치도 / 배치변경도 / 1, 1937 상세보기
  • 도판9. 전매국청도출장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평면급건면 / 2 , 1937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