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내 고장 역사찾기 본문 내용

내 고장 역사찾기란? : 내 고장 역사를 온라인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 고장 역사찾기란?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에 대하여

1. 사업 개요

‘지방에 산재한 기록유산을 찾아라!’ 이것이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의 중요한 미션이었다. 그리고 이 사업은 2009년 희망근로사업의 일환인 기록물조사를 시작으로, 국가기록원과 지방자치단체·조사참여자가 함께 기록물 중심의 지방 역사와 문화를 찾아 나서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1) 추진목표 및 기본방향
국가기록원에서는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하여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는 지방에 있는 민간기록물 중 가치 있는 기록물을 발굴하여 온 국민이 기록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고, 둘째는 일자리 창출과 기록관리 인적 네트워크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기록원에서는 각종 사업 지침을 제공하였고, 지자체의 적극적인 동참과 자율적 추진이라는 기본방향을 세웠다. 또 소요인력은 향토연구가, 퇴직공무원, 퇴직교사 및 고학력실업자 등으로 구성하고, 인건비는 희망근로 프로젝트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지원하였다.
(2) 사업기간 및 참여기관
사업은 2009년 6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1년 단위로 실시하였으며, 서울 송파구, 부산 수영구, 대전 동구, 제주, 경북 상주 등 총 54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였다.
내 고장역사찾기 참여 기관
내 고장 역사찾기 참여기관
시/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2009 1 1 1 1 3 5 0 4
2010 1 3 0 0 0 4 0 2
시/도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09 2 0 3 1 7 14 5 1
2010 0 0 3 0 0 4 0 1
* 총 54개 지방자치단체(2009년 49개, 2010년 18개) 중 경북 최다 참여
(3)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조사대상 시기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았으나 가급적 근현대 기록물에 초점을 맞추었고, 유형은 문서·책자·지도류·시청각류·박물류 등으로 구분하여 예시를 들었으며, 접촉대상은 개인사가·문중·향교·사찰·교회 등을 망라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가급적 기록물 소유자를 설득하여 원본 기증을 유도하였고, 기증이 어려운 경우에는 원본을 대여한 후 복사·사진촬영·스캐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록물의 소유자 또는 보관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기록물의 맥락과 내용정보도 풍부하게 확보하였다.
국가기록원에서는 조사의 효율성을 위하여 표준목록관리 소프트웨어를 제작, 배포하기도 하였는데, 참여기관에서 수집한 기록물의 목록정보를 직접 입력하면 국가기록원에서 이를 취합하여 통합검색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내 고장 역사찾기 표준목록관리 프로그램 화면 예시

2. 사업 결과

2년여에 걸친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의 주요 성과는 54개 지방자치단체의 참여로 총 42,438권의 기록물을 발굴하였다는 것과 연 4만여 명의 고용효과를 창출하였다는 것이다.
(1) 기록물 발굴현황
기록물 유형별 현황을 보면 주로 문서류(36.5%)와 시청각류(37.5%)가 많았고, 일부 박물류(옛날 물건) 및 고문서류도 있었다.
기록물 유형별 구분
기록물 유형별 구분
유형 문서류 고문서류 시청각류 박물류 간행물 도면/지도류 합계
수량 15,529 751 15,981 8,718 1,335 124 42,438
비율 36.5% 1.7% 37.5% 20.5% 3.5% 0.3% 100%

기록물 유형별 구분 비율 파이챠트

그러나 기관 자체가 보유한 기록물이 대부분(65%)이었고, 새로 발굴되어 기증(19%) 또는 기타 방법으로 수집된 물량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기록물 수집별 구분
기록물 수집별 구분
수집 기증 위탁 구입 사본 보유기록
수량 6,739 1,935 1,947 1,693 22,570
비율 19% 5.5% 5.5% 5% 65%
주제별 현황을 보면, 행사 관련 기록이 31.3%, 지역특성을 표현한 기록이 18.9%를 차지하였으며, 이밖에도 지역발전·문화/민속·인물·사건/사고 등의 다양한 내용이 있다.
기록물 주제별 구분
기록물 주제별 구분
주제 문화/민속 인물기록 행사기록 사건/사고 지역발전 지방연혁 지역특화주제 기타
수량 2,928 2,614 10,913 133 5,673 2,170 6,594 3,859
비율 8.4% 7.5% 31.3% 0.4% 16.3% 6.2% 18.9% 11.0%


(2) 기록물 발굴사례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던 공공기록물뿐만 아니라 개인 및 단체의 기록물들도 많이 발굴되었는데, 그중 주요 기록물 내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록물 발굴 사례
기록물 발굴사례
자치단체명 주요 기록물
서울 송파구 - 송파문화원 소장 송파 옛 모습의 사진류
- 구청 소장 김수환 추기경 내방, 풍납토성, 잠실벌 등 시청각
- 신천교회 소장 신천교회 앞, 예배모습, 여름성경학교 등 시청각
광주 북구 - 건국동 주민센터의 유물자료 목록, 아름다운마을 문서류
- 광주비엔날레의 제1회~최근까지 비엔날레 관련 시청각류
- 문병란 시인의 육필원고, 조선시대 영제현판, 이순신 서찰문 등
경기 김포시 - 권오익의 영농일지(1950), 유만종의 영농일지(1960)
- 윤자일 소장 고문서류(1749 진사시험 제출 답안지)
- 신식청년척독, 상환기일 예고장 등 민경태 소장 고문서류
- 맷돌, 호롱, 마패, 호패, 바람개비 등 개인 소장 옛날 물품류
강원 철원군 - 수복지구 지방행정 정착자료
- 민통선 북방지역 개척자료
충남 논산시 - 역대 시장 군수의 사진, 축사, 격려사 모음
- 1905년 개교한 강경중앙초교, 스승의 날 발원지인 강경고교 사진
- 논산시 이모저모, 70년대 생활상을 나타낸 사진류
경북 상주시 - 면사무소 소장 독립선언서, 국민교육헌장
- 상주박물관 소장 동학가사목판, 동학취지서, 필원잡기(1487 목판본)
- 자전거박물관 소장 콘벤트리형 삼륜자전거
경남 고성군 - 김동관 소장 대한민력(1967), 완문 등 고문서(1593)
- 거류면사무소 소장 독립선언문
- 고성향교의 고성향교유생안(1879)
- 이영국 소장 당동 공룡발자국 사진(1991)
제주 - 이은상의 수필집(1936)
- 도내 초·중·고 학교 배지(1970년대)
- 북한 고위직 제주방문 사진
- 오렌지 수입 반대 시위 사진


(3) 기록물 활용사례
발굴된 기록물은 주로 사진집, 백서 등 책자 발간이나 콘텐츠 제작 및 전시 등에 활용되었는데, 주요 활용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기록물 활용 사례
기록물 활용 사례
자치단체명 주요 활동사례
서울 송파구 사진집 발간 및 인터넷 기록관(3D) 운영
충남 논산시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 결과보고서 발간
제주 수집 기록물 영인본 제작, 제주지방자치사료관 개관(2011. 7)


3. 활용 및 홍보

(1) 기록물 목록 웹서비스
국가기록원에서는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을 통해 발굴된 기록물 목록을 종합관리하고 사업성과에 대한 정보공유를 위하여 홈페이지 내 [내 고장 역사찾기] 코너를 구축하였고, 곧 웹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코너에서는 지역별·유형별로 기록물 목록을 조회해 볼 수 있고, 특히 내 고장의 옛모습, 내 고장 발전, 내 고장 축제, 내 고장 명소·명물, 내 고장 사건·사고 등으로 구성된 사진 갤러리에서 지역별 이모저모를 시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지역별 기록물 검색 화면

테마별 사진 갤러리 화면

(2) 우수사례 홍보
이 사업을 통하여 많은 지자체에서 기록물 발굴 및 수집 경험을 축적하였고, 이 수집보존 활동을 꾸준히 지속하여 사료관을 개관한 우수사례도 있다. 국가기록원에서는 이러한 우수사례를 널리 홍보하고 확산하기 위해 「우수사례집」을 제작·배포하고, 이를 홈페이지에도 게시하였다.
4. 향후 발전방향

어제처럼 오늘도 개인의 삶은 지속되고 있고, 그 개인이 속한 지역과 국가 또한 역사적 흐름에 놓여 있다. 개인과 지역의 기록물은 낱개로 흩어져 있지만 이를 컬렉션화하고 여기에 세월의 가치까지 더해진다면, 이 기록물에는 특별한 보존가치가 생긴다.
내 고장 역사찾기 사업은 ‘기록물을 통하여 역사를 찾으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사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기록물 발굴을 위해 국가적 보존가치가 있는 지역 소재 민간기록물 조사를 계속 할 것이고, 기록문화 홍보를 담당할 민간기록조사위원 운영을 통하여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