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01

조선 외교문서 담당하는 관청 (사자관청) 기록물
국역해 최초 공개

국립고궁박물관, 고문헌 국역총서 제11책「국역 사자관청등록」발간

  • < 고문헌 국역총서 「국역 사자관청등록」 >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그동안 관련 사료가 부족해 전체의 내용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사자관청(寫字官廳)* 운영과 사자관(寫字官)**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는 사자관청등록(寫字官廳謄錄)***을 최초로 번역한 「국역 사자관청등록」을 발간하였다.

    * 사자관청(寫字官廳): 조선시대에 외교문서를 담당한 승문원(承文院) 소속 관청

    ** 사자관(寫字官): 사자관청에 소속되어 외교문서와 왕실 기록물 작성을 담당한 관원

    *** 등록(謄錄): 관청에서 조치하여 행한 일이나 사실 가운데 중요한 것을 그대로 기록하여 만든 책

사자관청등록은 국립고궁박물관이 2021년 입수한 국내 유일본으로, 1877년(고종14)부터 1882년(고종19)까지 외교문서 작성을 맡았던 사자관청의 업무와 사자관의 활동을 담은 기초 사료이다. 이 등록(謄錄)에는 조선 말기 6년 동안 사자관청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일들이 날짜별로 생생하게 담겨 있다.

총 671개 기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내용은 ▲사자관의 직제, 수련 과정, 임명과 평가, 징벌 사항 등 사자관의 운영과 관련된 내용, ▲외교문서 및 왕실 기록물의 작성 등 사자관의 활동과 관련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기사들에는 사자관의 생도방(生徒房)* 입속(入屬)**부터 사망까지 기록되어 있어 개별 사자관에 대한 인물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기술직 중인과 마찬가지로 대대로 관직을 이어나가며 친족으로 얽혀있던 사자관청의 조직 문화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생도방(生徒房): 조선 시대 임관 전에 소속 관아의 학문과 기술을 익히던 사람들의 수련 공간

** 입속(入屬): 어떤 부류나 기관의 구성원으로 들어가 속함

조선시대에 외교문서를 담당했던 사자관청과 왕실의 중요한 관원이었던 사자관에 대한 기록을 최초로 번역·공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으며, 향후 사자관청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간된 책자는 국공립 도서관과 관련 연구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과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www.gogung.go.kr)에 공개할 예정이다.

02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의용소방대 근무일지 발견

6.25전쟁 당시 화성군 남양면 의용소방대가 작성

70년 전 기록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의용소방대 근무일지가 발견됐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1953년 5월 1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약 5개월 10일 동안 당시 화성군 남양면 의용소방대가 작성한 근무일지철 1권을 발견했다고 1월 16일 밝혔다.

이 근무일지는 인쇄된 규정 서식에 의해 매일 1장 분량으로 작성한 것으로 근무일자, 날씨, 지시사항, 특기사항, 근무사항, 인계품명 등이 기록돼 있다. 기록은 모두 한자로 수기돼 있으며, 기입자는 친필 서명을 하고 결재자는 날인을 했다. 일지의 크기는 가로 183㎜, 세로 258㎜로 B5 용지 정도 크기다.

당시에는 한국전쟁 중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의용소방대가 방공단으로 개편돼 활동하던 시기라서 작성자는 ‘남양면 방공단(南陽面 防空團)’으로 게재돼 있다.

기록을 살펴보면 당시 의용소방대가 현대의 소방관서와 같이 매우 체계적으로 활동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야간은 물론 휴일에도 근무하는 365일 24시간 근무체제로 운영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근무일지철은 의용소방대가 방공단으로 개편됐던 역사적 사실의 증거물인 것은 물론 70년 전의 유일한 기록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소방대 근무일지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호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에 발견된 근무일지는 어려웠던 시절에 주민자치로 지역사회 안전을 지키려 했던 노력의 산물”이라며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매우 소중한 기록물이기 때문에 문화재로 등록하는 방안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이 자료를 모든 국민이 관람할 수 있도록 오는 2025년 광명시에 개관 예정으로 건립 중인 국립소방박물관에 기증하기로 했다. 나아가 경기도소방 역사에 대한 연구도 확대할 계획이다.

03

조선통신사 역사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로 전시관 재개관

부산문화재단은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홍보 지원 공모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어 조선통신사 역사관을 개편, 두 달여 만에 재개관했다. 2021년도 2층 미디어 갤러리 ‘通(통)’에 이은 두 번째 개편이다.

지난 2011년 4월 개관한 조선통신사 역사관은 국내외 많은 관람객들에게 조선통신사의 보편적 가치 및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의의를 알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재개관은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실감 콘텐츠 구축을 통해 누구나 쉽게 조선통신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조선통신사의 여정 및 행렬의 구성 등 참여형 요소를 적용해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관람객의 흥미를 이끌도록 했다. 또한 2022년 5월부터 문화관광해설사가 배치되어 상시적으로 해설도 제공 중이다.

조선통신사 역사관은 화요일 ~ 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관람은 무료다. (문의전화 051-631-0858)

04

국립산림과학원,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태지」발간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일반인들이 쉽게 한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와 「태지」를 발간했다.

    한지는 닥나무를 재료로 하는 전통 임산물로 과거에는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물품이었으나 근대화 이후 용도 및 시장이 축소되면서 사람들의 생활에서 멀어졌으며, 심지어 한지 문화 계승 단절 위기에도 처해있다.

    하지만 한지는 세계적인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면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 추진 등 문화유산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간행물은 전통한지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에 대한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와 닥나무 섬유에 녹조식물인 해캄을 넣어 만든 한지 종류인 「태지」에 대한 것이다.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에서는 닥나무 베기부터 도침 등 후가공까지의 전통한지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태지」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약 284종의 전통한지 중 제조법이 전수되지 않았던 ‘태지’에 대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제조법 복원 연구 결과와 제조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번에 발간된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태지」는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http://know.nifos.go.kr)에서 전자파일로 받아볼 수 있다.

05

ICA 아부다비 총회 논문 및 제안서 공모

2023년 10월 9일부터 13일까지 아부다비(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는 ICA 총회 제안서와 논문 제출 기한이 2월 16일까지로 얼마 남지 않았다.

이번 아부다비 총회의 주제는 ‘지식사회를 풍요롭게 하기’로 21세기 정보사회가 직면한 도전과제는 아카이브와 기록 전문가들만의 고민이 아닌 우리 모두의 것으로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식사회를 풍요롭게 할 필요가 있다.

ICA 아부다비 정기총회 ‘지식사회를 풍요롭게 하기(Enriching Knowledge Societies)’는 전 세계 기록관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연구를 소개하고, 다양한 의견을 서로 주고받는 기회가 될 것이다. 발표 초록은 아카이브 관계자뿐 아니라 사서, 박물관 전문가, 데이터 관리자, 언론인 또는 시민 단체에서도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다. ICA 사무국은 특히 신규 전문가, 학생들의 기록 공동체에서의 첫 발표 제안을 기다리고 있다.

제안서는 ica.org/en/ica-2023-abu-dhabi-congress로 제출하고 논문은 프랑스어, 영어, 아랍어 또는 스페인어로 제출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ica.org/en/ica-2023-abu-dhabi-call-for-pape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ICA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