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시대 이래 국가의 최고 행정기관이었으나, 갑오개혁(甲午改革, 1894년)의 시행 이후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는 <의정부관제(議政府官制)>를 공포하여 정부의 행정조직을 궁내부(宮內府)와 의정부로 분리하고, 8아문(衙門)을 구성하였다. 그해 군국기무처와 의정부가 폐지되고 내각제(內閣制)가 신설되면서 내각이 새로운 권력기구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을미사변(乙未事變) 등 국내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1896년 2월 아관파천(俄館播遷)이 단행되고 같은 해 9월 내각이 폐지되면서 의정부가 복설(復設)되었다. 그러나 1907년 6월에는 칙령 제35호로 <내각관제(內閣官制)>가 반포되어 의정부를 다시 내각(內閣)으로 변경하였다. 이때의 변화는 내각체제를 통하여 대한제국 군주의 권한을 쇠퇴시키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점에서 1895년의 경우와 차이가 있었다. 이후, 1910년에는 한일합방으로 내각의 모든 기능이 조선총독부에 이관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의정부 및 내각과 관련된 도면 28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의정부 안내
명칭 연도 도면수
의정부(내각) 1894-1910 28

의정부 청사는 1907년 4월부터 12월까지 8개월에 걸쳐 서소문 38번지(현재 서울특별시청 서소문별관 자리)에 완공되었던 당시 대한제국 최고 행정시설로 연건평 435.2평의 2층 벽돌조, 공비 81,034원(圓)의 건물이었다. 본 청사는 고종의 양위(讓位) 전에 의정부 청사로 설계된 것으로, 당시 덕수궁에 임어한 고종황제를 고려하여 덕수궁 남쪽에 바로 면하는 부지에 들어서게 되었으나, 결국은 탁지부(度支部)가 사용하게 되었다. [도판1]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의정부 청사는 정동길(貞洞通)을 사이에 두고 신왕성(新王城), 즉 덕수궁 맞은편에 구(舊) 의정부청사 및 그 주변 일대를 정리한 부지에 북향으로 계획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건물의 형태는 장방형을 기본으로 네 모서리가 들고나오는 형태였지만, 곧 건물 중앙에 중정을 두고 전면을 더욱 강조한 형태로 변경되었음을 [도판2][도판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부속시설인 차부대합소(車夫待合所), 헌병힐소(憲兵詰所), 마차치장(馬車置場), 마계장(馬契場), 변소(便所)는 도로면으로 계획되었으나 이후 청사부지를 더욱 확장함에 따라 차부대합소와 헌병힐소를 제외한 시설은 청사 뒤편에 배치되거나 삭제되었다. [도판4]는 이러한 빈번한 계획 변경이 모두 반영되어 작성된 도면으로, 정문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 있고, 부지 내의 도로도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어, 당시 부지의 활용 계획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의정부청사의 구체적인 평면계획은 확인할 수 없지만 [도판5]를 통하여 전체적인 평면계획을 살펴볼 수 있다. 청사는 대체적으로는 중앙 중정을 가진 방형으로 좌우대칭이며, 네 모서리 부분이 사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계획되었다. 입구는 정면과 측면의 세 곳에 계획되었으며, 정면의 현관에는 포치(porch)가 구성되었다. 현관을 들어서면 홀(hall)과 좌우로 뻗은 복도를 마주하게 된다. 홀 정면으로는 중정으로 나갈 수 있는 계단이 계획되었다. 좌우의 복도를 통해 마루바닥의 실들이 배치되었다. 복도는 중정을 둘러싸고 있으며, 중정 후면에 배치된 대형 실을 다시 한 번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8’자로 계획되었다. 건물의 양 측면 부분에는 소형 실이 계획되었다.

청사의 입면 계획을 살펴보면, 포치와 함께 중앙부를 전면으로 돌출시키고 첨탑과 돔을 세워 정면성을 강조하였고, 좌우대칭의 구성을 하면서 중앙부를 강조하였다. 또, 후면의 1층에는 베란다(veranda) 열주랑을 만들어 2층에서 테라스(terrace)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 [도판6], [도판7], [도판8], [도판9] 참조) 즉, 돔이 있는 ‘잉글리쉬 르네상스 양식에 세제션식을 가미한’ 고전적인 외관으로 계획되었다. 청사의 외벽은 구조가 벽돌조였음에도 당시 치장벽돌(化裝煉瓦) 수급의 문제로 회반죽으로 마감되었다. 다만, 회반죽 마감으로 석조건물을 모방하여 시공한 것이 특이하다. 지붕은 쌍대공 트러스 구조로 일본식 기와가 사용되었으며 중앙부 첨탑은 동판으로 마감하고 정상부에는 피뢰침을 설치하였다. ( [도판10] 참조)

[참고도판]

  • 도판1. 의정부배치도/35, 1906-07년 추정 (Q00300022) 상세보기
  • 도판2. 의정부배치도/1, 1906-07년 추정 (Q00300024) 상세보기
  • 도판3. 의정부부지취확설계도/24, 1906-07년 추정 (Q00300006) 상세보기
  • 도판4. 내각표문신축급부지지균기타배치도/23, 1907년 추정 (Q00300009) 상세보기
  • 도판5. 의정부지형급상복도/6, 1906-07년 추정 (Q00300013) 상세보기
  • 도판6. 의정부정면도/3, 1906-07년 추정 (B17000042) 상세보기
  • 도판7. 의정부배면도/5, 1906-07년 추정 (Q00300020) 상세보기
  • 도판8. 의정부우측면도/4, 1906-07년 추정 (Q00300027) 상세보기
  • 도판9. 의정부단면도/7, 1906-07년 추정 (Q00300026) 상세보기
  • 도판10. 의정부배면상세도/15, 1906-07년 추정 (Q00300008)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