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01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개관,
조선왕조실록 110년 만에 오대산으로

문화재청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이하 ‘의궤’)의 오대산사고본 원본을 원 소장처였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으로 돌려보내기로하고 11월 12일 실록과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개관하였다.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로부터 제25대 왕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973년, 2007년, 2019년에 국보 지정.

*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조선 왕실 행사의 준비 및 시행, 사후 처리과정에 대한 기록. 2016년에 보물 지정.

조선시대 지방 외사고 중 하나인 오대산사고에 보관 중이던 실록과 의궤는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 전부와 의궤 일부가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민간과 불교계,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2006년과 2017년에 실록이, 2011년에 의궤가 국내로 환수되었다. 현재 오대산사고본 실록은 75책, 환수된 의궤는 82책이 전해진다.

* 오대산사고본 실록: 1932년(강점기), 2006년, 2017년에 나눠서 국내로 돌아옴.

국내로 돌아온 이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 보관되어 오다가 기존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운영하였던 왕조·실록의궤박물관을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으로 새 단장해 사용하게 되었으며, 총 면적은 3,537㎡로, 지상 2층 규모이다.

* 왕조·실록의궤박물관: 오대산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운영하였으며, 실록과 의궤의 영인본(복사본) 등을 전시해옴.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전경 >

실록박물관은 실록 원본을 상시로 직접 볼 수 있는 곳으로, 실록과 함께 오대산사고본 의궤 원본도 전시된다. 박물관은 관련 유물 1,207여 점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수장고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실감형 영상관 등 다양한 공간들로 구성되었다.

이번에 우선 개관하는 공간은 상설전시실이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대산사고에 보관했던 실록과 의궤의 편찬과 분상(分上)부터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 반출된 후 110년 만에 본래의 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살펴보면서, 국외 반출 문화유산 환수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 분상: 조선시대 국가와 왕실의 중요한 기록물을 여러 부 제작하여 사고와 관청 등에 나누어 보관함

(좌)오대산사고본 성종실록, 조선(1606년), 국보 / (우)오대산사고본 중종실록, 조선(1606년), 국보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좌)영조묘호도감의궤 '반차도' 부분, 1890년, 보물 / (우)보인소의궤 '조선왕보 도설' 부분, 1878년, 보물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박물관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화요일은 휴관일이다. 자세한 정보는 문화재청 누리집(https://cha.go.kr) 및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누리집(https://sillok.gogung.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02

「다시, 기록관리 전문성을 말하다」
제15회 전국기록인대회 경남에서 개최

경상남도기록원은 지난 11월 3일에서 4일까지 창원대학교 및 경상남도기록원에서 전국 기록관리 단체·학계·실무자 등 약 4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제15회 전국기록인대회를 진행했다.

전국기록인대회는 매년 전국 기록관리 단체·학계·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록관리와 관련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소통하는 기록학계의 가장 큰 행사이다. 지난 2020 ~ 2022년까지는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지만, 이번 대회는 3년만에 현장에서 개최하였다.

첫날, 창원대학교에서 ▲설문원 부산대학교 교수의 기조발제(신뢰는 어디에서 오는가?, 다시 전문성을 생각한다), ▲한성대 박지영 교수(기록관리전문가 교육과정&기록관리전문요원 제도), ▲경상남도기록원 전가희 연구사(우리가 사실을 보살핀다면, 신의 섭리가 역사의 의미를 보살필 것), ▲백기완 노마메기재단 윤지현 선생(민간분야 기록전문가의 전문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둘째 날, 경남기록원 및 창원대학교에서 12개의 세션이 진행되었는데, 경남기록원에서는 경남기록원-서울기록원 공동 주관으로 “지방기록물 관리기관의 현황 및 전문성 강화”라는 주제로 지방기록물관리의 발전을 위한 전략을 논의했으며,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경남기록원의 전시실, 소독·탈산실, 문서보존실 등을 관람하는 시간을 가져 많은 호응을 받았다.

경상남도기록원은 ’18. 5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개원하였으며, 경남의 공공 및 민간의 중요기록물을 수집·관리·서비스를 하고 있다.

03

창원교육지원청,대자유치원 일제강점기 기록물
수집·전시

창원교육지원청은 대자유치원에서 소장해오던 일제강점기 기록물을 발굴하고, 내용으로 2023. 11. 1.(수) ~ 2023. 11. 30.(목)까지 경상남도교육청 본관1층에서 전시회를 개최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대자유치원은 1927년 민족운동가들의 뜻을 모아 ‘배달유치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하였다. ‘배달’이라는 이름은 단군의 자손, 배달의 민족 등 우리의 뿌리를 찾는 항일 민족 의식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이번 전시 기록물은 1927년 배달유치원으로 문을 연 대자유치원의 시작부터 일제강점기의 유치원 교육 모습을 보여주는 역사 자료로 구성되었다.

  • 1942년 대자유치원 운동장 활동사진을 보면, 아이들이 ‘대자’라는 단어의 형태를 따라 앉아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 1940년대 민족말살정책으로 우리말 사용을 할수 없는 시대에도 불구하고, ‘대자’라는 우리말을 사용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 1939년 운동장 체조 사진과 등교 모습 사진에서는,당시 대자유치원의 풍경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 연도 미상의 일제강점기 기록물에서는 블록 쌓기 놀이를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지금의 유치원 교육과정, 교구와 비교해 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창원교육지원청과 대자유치원은 대자유치원의 1960년대 이전 역사기록물을 계속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출신 교사와 졸업생을 찾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창원교육지원청 기록관(☎055-210-0525)또는 대자유치원(☎055-245-0108)으로 문의하면 된다.

04

조선의 타임캡슐 ‘이재난고’,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조선시대 과학기술의 보물창고로 인정

이재 황윤석(頤齋 黃胤錫, 1729~1791)의 친필 일기로서 문집의 초고본이자, 과학자의 연구노트인 ‘이재난고(頤齋亂藁)’가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됐다.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과학기술에 관한 역사적‧교육적 가치가 높고, 후대에 계승할 필요가 있는 자료를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등록‧보존‧관리하기 위해 시행중인 제도(2019년)로, 총 42건이 등록되어 있으며, 올해 등록자료는 16건으로, ‘이재난고’는 과학기술사 분야에 등록되었다.

이재 황윤석은 조선 영·정조대 전라도 흥덕현(현 고창군 성내면)에서 출생하여 10세부터 53년 동안 ‘난고’라는 제목의 일기를 썼다.

그는 성리학자이자 실학자로 수학, 천문학, 지리학, 역사학, 언어학, 기술사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500여만 자에 달하는 ‘이재난고’에는 수많은 과학기술 자료가 담겨있다. 그 가운데 산학(算學), 천문학(天文學)등은 일찍부터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주목되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돼 왔으나, 조선의 온천, 제련법(製鍊法), 구리의 분류와 배합 비율의 변화, 광물과 광산, 식물의 명칭 연구, 학이나 물산 등 방대한 자료는 아직까지 정리와 연구가 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다산 정약용보다도 100년 정도 앞서며 훨씬 정교하고 그 양도 많다. 후대 서유구(徐有榘: 1764~1845) 등의 실학자가 대부분 외국자료를 인용했던 바와 달리 이재난고에는 인용 기록과 더불어 당시 상황까지 파악해 기록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사의 보물창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윤종기(輪鐘記)’에서는 자신이 관찰한 자명종(自鳴鐘)을 상세히 서술하고 기어비*나 작동원리를 방대한 도표로 기록하여 최근국립중앙과학관에서 홍대용의 혼천시계를 복원할 때 ‘이재난고’에 담긴 정보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기어비: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기어에서 큰 기어 톱니 수를 작은 기어 톱니 수로 나눈 값

‘이재난고’는 2023년 4월 고창군에서 신청하고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서류 검토 및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되었으며, 향후 국립중앙과학관의 유물 보존관련 지원과 순회 전시 및 스토리텔링 개발 등을 통해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고창군은 그동안 ‘이재난고’의 학술적 가치 규명과 보존·활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학술대회와 번역사업을 지원해 왔고, 최근 기록화사업, 디지털 이미지 구축사업을 완료하고 올해 문화재청에 보물 승격을 신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