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75주년 맞아
「6·25전쟁 콘텐츠」 개편·서비스
국가기록원은 6·25전쟁 75주년을 맞아 국가기록포털에서 서비스 중인 6·25전쟁 관련 기록 콘텐츠를 전면 개편하고, 6월 25일(수)부터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이번 개편은 6·25전쟁의 전개 과정과 의미를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국가기록원이 추가 수집한 기록물을 반영해 내용을 강화하고, 콘텐츠의 구조와 시각적 요소를 전면적으로 개선한 점이 특징이다.
개편된 콘텐츠는 전쟁의 흐름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6·25전쟁의 배경, ▲6·25전쟁의 전개 과정, ▲6·25전쟁의 피해,
▲관련 기록물 소개 등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국가기록원은 그간 추가 수집한 납치자 ·포로 명부, 피해사실 조사기록 등 전쟁 과정에서 발생한 인적 피해 관련 기록물과 함께,
미국·영국·러시아 등 해외 주요 기록물관리기관에서 확보한 사진, 영상기록물을 활용해 전쟁의 실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한국의 자주독립을 논의한 ‘국제연합 총회 결의문(’47.11.14.,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북한군 전투명령 1호(’50.6.22., 국립중앙도서관)’ 등 유관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도 함께 수록해, 전쟁의 배경과 발발 과정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의 텍스트 위주로 구성된 콘텐츠를 지도, 그림, 도표 등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반응형 웹 기반*으로 개선해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 반응형 웹: 접속 기기의 화면 크기와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가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제공되는 웹 구현 방식
온라인 접속시 6·25전쟁의 배경은 서술 중심의 구성으로 자칫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책장을 넘기듯 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는 형식을 적용하고, 6·25전쟁 전선의 변화는 단계에 따라 움직이는 지도로 구현하는 등 시각적 몰입감을 높인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했다.
메뉴 | 개편 전 | 개편 후 |
---|---|---|
메인화면 | ![]() |
![]() |
전선의 변화 | ![]() |
![]() |
총설을 집필한 김기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쟁사부장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 땅에서 있었던 6·25전쟁에 대해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사실적 근거를 제시하며 알기 쉽게 구성한 이 콘텐츠는 6·25전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이번 개편에 의미를 더했다.
기록물명 (원 소장처) |
기록물 사진 | 내용 | 수록 메뉴 |
---|---|---|---|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공식회담 (미국 육군 통신단) |
![]() |
서울에서 개최된 미소 공동위원회 제1차 공식 회담 전경(1946년) | 6·25전쟁 발발 배경 - 미·소 군정과 남·북한 분단 |
국제연합총회 결의 112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
![]() |
미국의 제안으로 1947년 11월 14일 유엔총회에 한국독립의 문제라는 의제가 상정되었다. 유엔총회는 소련의 불참 에도 한국의 독립을 위해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을 구성·파견하면서, 1948년 3월 31일 이전 보통선거에 의한 국회와 정부의 구성을 실행하며, 외국 군대의 철수를 방침으로 정했다. | 6·25전쟁 발발 배경 - 남·북한 정부 수립 |
북한군 전투명령 제1호 (국립 |
![]() |
북한군 제4사단장 이권무가 1950년 6월 22일 예하 연대장에게 6월 23일까지 남한을 침략할 태세를 갖추도록 지시한 문서이다. 공격개시 신호 암호명 ‘폭풍’ 등 북한군의 전면 남침계획이 드러나 있다. | 6·25전쟁의 진행 과정 - 전쟁의 시작 (1950.6.25.~ 1950.7.4.) |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미국 국립 |
![]() |
6·25전쟁이 일어난 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한반도 문제 결의안이 채택되는 모습(1950년 6월) | 6·25전쟁의 진행 과정 - 전쟁의 시작 (1950.6.25.~ 1950.7.4.) |
피난민의 모습 (영국 제국전쟁 박물관) |
![]() |
전투지역을 떠나는 피난민 사진 | 6·25전쟁의 진행 과정 - 전쟁의 시작 (1950.6.25.~ 1950.7.4.) |
제6사단 작전경과요도 (국가기록원) |
![]() |
제6사단 작전명령 제31호에 포함되어 있는 지도로, 6·25전쟁 발발 직후부터 1952년 3월까지 일어난 전투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전쟁 중 아군의 진격, 철수 경로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 6·25전쟁의 진행 과정 - 중국의 개입과 유엔군 재반격 (1950.10.19.~ 1951.7.9.) |
유엔군 사진 (미국 국립 기록관리청) |
![]() |
유엔군이 문산리에서 중공군 공격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1951년 3월) | 6·25전쟁의 진행 과정 - 중국의 개입과 유엔군 재반격 (1950.10.19.~ 1951.7.9.) |
유엔군 사진 (미국 국립 기록관리청) |
![]() |
6·25전쟁 시기 미 지상군 최초 참전 부대인 제24보병사단의 상륙정 탑승 모습(1950년 7월) | 전선의 변화 - 북한군 남침기 |
포로관계 서한철 (1954~1958) (국가기록원) |
![]() |
국방부가 미귀환 포로 등에 관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각 기관과 주고 받은 서한철로 ‘6·25동란중 실종자 통계’, ‘미귀환포로추산인원수’, ‘귀환영현명부’, ‘억류 중 사망자 통계표’, ‘미귀환포로명단’, 해병대포로자명단‘ 등 6·25전쟁 당시 인적 피해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6·25전쟁의 더 보기 - 6·25전쟁 그 후 |
폭격 이후 훼손된 거리 (국제적십자위원회) |
![]() |
폭격 후 훼손된 서울의 거리 모습 | 6·25전쟁의 더 보기 - 6·25전쟁 그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