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뉴스2

디지털시대, 지능형 서비스 등 기록관리체계 재편 필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모델 공유의 장 마련

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부의 업무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비롯한 전자기록의 수집대상 확대와 지능형 기록서비스 도입, 정부의 기록관리기관 역할 재정립, 기록관리 법·제도 재편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3차 워크숍(11.28.)

이 같은 내용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 관련기관 기록관리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8일 서울기록관에서 개최한 국가기록원 R&D 과제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3차 워크숍」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이번 국가기록원 R&D 과제는 ICT 기술 발전과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 도입에 따라 변화될 정부의 업무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법·제도 개편, 시스템 재설계, 지능형 기록 서비스 도입 등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모델 재설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지난 4월부터 수행해 왔다.

각 분야별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진행된 이날 제3차 워크숍에서는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기본방향이 제시되었다. 첫째, 디지털시대 각 기관의 기록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법·제도를 재편하고, 소셜미디어 등 전자기록 대상 확대, 기록관리기관 간 역할과 기능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표준전자문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미흡했던 행정정보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를 위해 중요 행정정보시스템 조사·분석을 통해 도출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기준과 처리절차에 대해 논의되었다. 셋째,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관련,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과 함께 기록관리 기능 개선과 신기술 적용이 용이한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의 모듈화 전략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 분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엑소브레인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록물 분류 자동화, LOD 활용 검색 등 서비스 지능화 전략이 소개되었다.

이번 행사는 공공과 민간 기록관리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기록관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당면한 문제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 자리였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R&D 연구과제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의 정부업무 환경 도입에 따른 기록관리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에서 적절한 시점에 수행된 의미 있는 연구였다.”면서, “도출된 내용들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구체화하여 향후 국가기록관리 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