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 2월 8일 북한 조선인민군 창설 선포
  • 4월 3일 제주 4.3사건
  • 5월 10일 남한 유엔 한국위원단 감시하 총선거 실시
  •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
  • 8월 16일 국방경비대를 국군으로 명명
  • 9월 9일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10월 19일 여순 10.19사건
  • 11월 2일 대구 반란사건
  • 3월 5일 김일성, 스탈린 회담
  • 3월 17일 북·소 경제·문화(실제 군사력 지원) 협정 체결
  • 4월 28일 김일성, 모택동 회담
  • 6월 27일 북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 6월 29일 주한미군 철수 완료
  • 7월 1일 주한 미 군사고문단 설치
  • 10월 1일 중국인민공화국 수립
  • 12월 16일 모택동-스탈린 회담
  • 1월 12일 미 애치슨 국무장관, 극동방위선 연설
  • 1월 26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체결
  • 4월 10일 김일성-스탈린 비밀회담
  • 5월 13일 김일성-모택동 회담
  • 5월 29일 북한 남침선제타격 작전계획 완성
  • 5월 30일 국회의원 선거
  • 6월 8일 북한 위장 평화공세 전개
  • 6월 12일 북한군 전투부대 38선 부근으로 이동
  • 6월 17일 덜레스 미 국무성 고문 방한
  • 6월 18일 북한군 남침정찰명령 하달
  • 6월 23일 국군 비상경계 해제
  • 6월 25일 북한군 전면 남침
  • 6월 26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북한군 공격중지와 철수권고 결의
  • 6월 27일 정부, 대전으로 이전 미 제7함대, 대만해협 봉쇄 결정
  • 6월 28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 한국 군사지원 결의안 채택 북한군 서울점령
  • 6월 29일 맥아더 원수 한강방어선 시찰
  • 6월 30일 미 지상군 투입 결정 정일권 소장, 국군 육해공군총사령관 겸 육군총참모장 임명
  • 7월 1일 미 지상군 선발대, 부산 도착
  • 7월 5일 미 스미스부대 오산 죽미령에서 최초 전투 국군 제1군단 창설
  • 7월 7일 유엔안보리 유엔통합군사령부 설치 결의
  • 7월 8일 정부, 전국 비상계엄 선포(전라남‧북도 제외)
  • 7월 14일 국군 작전지휘권 유엔군총사령관에게 이양
  • 7월 16일 정부, 대전에서 대구로 이전
  • 8월 1일 낙동강 방어선 형성
  • 8월 18일 정부, 대구에서 부산으로 이전
  •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 9월 23일 김일성, 북한군 총 후퇴 명령 하달
  • 9월 27일 미 합참 9‧27훈령 하달
  • 9월 29일 정부 서울 환도식 거행(중앙청)
  • 10월 2일 중국 외상 주은래 중공군 개입 경고
  • 10월 7일 유엔, 통일한국 결의
  • 10월 9일 유엔군 북진작전 개시
  • 10월 15일 트루만‧맥아더 웨이크섬 회담
  • 10월 19일 평양탈환
  • 10월 25일 중공군 참전
  • 10월 30일 평양시민 환영대회
  • 12월 8일 유엔군, 38도선 방어명령 하달
  • 12월 23일 미 제8군사령관 워커 중장 전사
  • 12월 24일 원산, 흥남철수 작전
  • 12월 26일 신임 미 제8군사령관 리지웨이 장군 부임
  • 12월 31일 중공군 제3차 공세(신정공세)
  • 1월 4일 유엔군 서울 철수(1·4후퇴)
  • 1월 17일 정부, 유엔 정전안 반대
  • 2월 1일 유엔총회 중국을 침략자로 결의
  • 2월 12일 거창사건
  • 3월 15일 서울 재탈환
  • 4월 12일 맥아더 장군 해임, 리지웨이 장군 임명
  • 5월 7일 신성모 국방장관 퇴임, 이기붕 장관 취임
  • 5월 12일 국민방위군 설치법 폐지
  • 6월 1일 유엔 사무총장, 38도선에서 휴전성명 발표
  • 6월 23일 이종찬 소장 육군총참모장 취임
  • 6월 30일 리지웨이 사령관, 휴전회담 제의
  • 7월 1일 공산군, 휴전회담 수락
  • 7월 10일 휴전회담 개성에서 개막
  • 9월 5일 미 제2사단 피의 능선 점령
  • 10월 25일 휴전회담 판문점에서 재개
  • 1월 1일 유엔군, 전 전선에서 신년 포격
  • 2월 18일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
  • 2월 24일 공산군, 미군 세균전 살포 조작 및 비난
  • 3월 29일 국방장관 신태영 임명
  • 4월 5일 국군 제2군단 재창설
  • 5월 7일 거제도 포로수용소 돗드소장 피랍
  • 5월 9일 유엔군사령관 클라크 대장 부임
  • 5월 10일 유엔군, 포로 강제송환 강력 반대
  • 6월 21일 유엔군, 포로 강제송환 강력 반대
  • 7월 5일 미 제7기동함대, 원산항 7시간 맹포격
  • 7월 23일 백선엽 중장, 육군참모총장 취임
  • 8월 5일 정부통령 선거(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 당선)
  • 9월 28일 유엔군, 포로의제 선택적 제안
  • 10월 6일 한국군 제9사단, 백마고지 전투
  • 12월 2일 미 대통령당선자 아이젠하워 서울 도착
  • 1월 20일 미 아이젠하워 대통령 취임
  • 2월 11일 밴플리트 후임으로 테일러 중장 부임
  • 3월 4일 이승만대통령, 클라크, 테일러 회동
  • 3월 5일 스탈린 사망
  • 3월 28일 공산군, 상병포로교환 제의 수락
  • 4월 20일 상병포로 교환 개시
  • 5월 25일 한국대표, 회담 불참 선언
  • 5월 30일 미국 에버레디계획 확정
  • 6월 18일 이대통령, 반공포로 석방
  • 6월 26일 이승만-로버트슨 회담
  • 6월 30일 국방부장관 손원일 임명
  • 7월 13일 중공군 최후공세 개시
  • 7월 27일 휴전협정 조인(클라크 문산에서, 김일성 평양에서 각각 서명)
※ 출처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한국전쟁(중)>, 1996; <한국전쟁(하)>, 1997, 부록편 참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1~11권)』, 2004~2013, 부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