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명 | 포로관계내한철(1954-1958) | ||
---|---|---|---|
생산기관 | 국방부 | ||
생산년도 | 1958 | 관리번호 | CA0311510 |
기록물유형 | 일반기록물 | 소장처 | 국가기록원 |
원문보기 |
|
포로관계내한철(1954-1958) | |||
생산기관 | 국방부 | 생산년도 | 1958 |
관리번호 | CA0311510 | 기록물 유형 | 일반기록물 |
소장처 | 국가기록원 | ||
원문보기 |
|
문서 내용
이 자료는 국방부가 미귀환 포로 등에 관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각 기관과 주고 받은 서한철이다. 서한철에는 17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6·25동란중 실종자 통계’, ‘미귀환포로추산인원수’, ‘귀환영현명부’, ‘억류 중 사망자 통계표’, ‘미귀환포로명단’, 해병대포로자명단‘, ’북한지역에 억류되었다고 믿고 있는 프랑스 시민들에 대한 명단(French Citizens Believed Still Held in North Korea)’, ‘실종된 7명의 프랑스 군의 명단’은 인적 피해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6·25동란중 실종자 통계’는 1949년부터 1957년까지 조사되었는데 육군 42,223명, 해군 15명, 해병대 145명으로 총 42,385명이다. ‘미귀환포로추산인원수’는 북한이 제출한 1953년, 1954년 발표한 귀환장병 명단에서 실제로 귀환하지 못한 인원수의 통계이다. ‘귀환영현명부’는 북한으로부터 1955년 11일 차례에 걸쳐 각각 인수한 전사자 1,332주의 명부이다. ‘억류 중 사망자 통계표’는 북한 억류 중에 사망한 장교, 사병, 군속, 민간인 등에 대한 통계표이다. ‘미귀환포로명단’은 제67차 군사정정위원회 회의에서 북한 측에 전달한 명단으로 총 2,223명을 이름, 계급, 군번 순으로 정리하였다. ‘해병대포로자명단’은 해병대사령부에서 유엔군총사령부 군사정전위원 수석대표에게 보낸 명단으로 총 68명이다. ‘북한지역에 억류되었다고 믿고 있는 프랑스 시민들에 대한 명단(French Citizens Believed Still Held in North Korea)’은 1954년 7월 6일자로 작성되었는데 총 인원 12명으로 대부분 카톨릭 신부이다. ‘실종된 7명의 프랑스 군의 명단’은 1954년 1월 5일자 유엔군정전위원회에 발송한 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