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6.25전쟁 더보기

  • 6.25전쟁연표
  • 전선의 변화
  • 유엔 참전국
  • 전쟁속의 통계
  • 주요 작전명령

참전국

  • 참전국 전체보기
  • 의료지원국 보기
  • 물자지원국 보기

미국

(사진)UN군 참전기념(미국), 1951, DH20000110

UN군 참전기념(미국), 1951, DH20000110

원문보기
(사진)UN군 참전기념(미국), 1951, DH20000111

UN군 참전기념(미국), 1951, DH20000111

원문보기

미국의 참전 병력은 다른 유엔 참전국의 파견 군대를 모두 합한 것의 몇 배에 이르는 규모였다. 미 육군은 제24사단, 제25사단, 제1기병사단, 제2사단, 제3사단, 제7사단, 제1해병사단, 제40사단, 제45사단 등 9개 사단과 2개 연대전투단, 그리고 수많은 지원부대를 파병했다. 미 육군은 전쟁 기간 중 최고 30만 명에 이르는 병력을 한국에 주둔시켰다. 1952년 유엔군사령부의 인원이 가장 많았을 때의 병력 수만으로 보면 지상군의 경우 한국군이 50%, 미군이 40%, 미국 이외의 참전군이 10%를 차지하고 있었다. 미 육군이 시행한 작전은 사실상 6·25전쟁 전체 작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미 해군은 극동해군의 통제 하에 제7함대가 주로 작전을 수행했다. 여기에는 항공모함, 전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및 지원함이 참여해 개전 이후 10일째 되는 7월 4일부터 북한 해안을 봉쇄함으로써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이후 미 해군은 공중폭격, 함포사격, 상륙병력 수송, 미 본토로부터의 인원과 물자수송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인천상륙작전과 흥남철수작전의 완전한 성공을 통해 고도로 숙련된 전투 능력을 보여 주었다.

미 공군은 극동공군의 통제 하에 제5공군과 전략폭격사령부를 중심으로 북한군과 중공군의 작전수행 능력을 고갈시키기 위한 폭격과 유엔 지상군이 작전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근접지원 작전을 펼쳤다. 미 공군은 전쟁의 초기단계부터 마지막까지 북한군과 중공군에 큰 피해를 입혀 그들에게는 두려운 존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