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용어사전

용어사전
순번 용어 뜻
1 고요(皐陶) 순임금의 신하로서 학식과 덕이 높아 규율(법)을 바로 세우는 일을 맡아 하였습니다. 오늘날의 법무부장관과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이상적인 신하를 지칭할 때 많이 언급되곤 합니다.
2 공문 "공문은 중앙기관에서 사용하는 문서를 뜻하는 것으로서 공문서를 말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카툰 공문서'를 참고하세요"
3 공조(工曹) 국가의 중요 공사나, 토목, 건축 등의 업무를 담당했던 중앙관청입니다. 조선시대의 제지공장이라 할 수 있는 조지서(造紙署)가 공조 소속으로 존재 했으며, 오늘날의 건설교통부의 역할과 유사합니다.
4 "군군 신신 부부 자자(君君, 臣臣, 父父, 子子)"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경구 로서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고, 아비는 아비다워야 하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5 대내(大內) 임금님이 거처하는 곳을 말합니다.
6 대명실록 황명실록(皇明實錄) 또는 단순히 명실록(明實錄)이라고도 합니다. 2,909권의 방대한 실록으로 명나라 왕조의 역사가 담겨진 실록입니다.
7 명과학(命課學) 운명, 길흉 화복을 판단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8 방목 가축을 초지(草地)에 놓아 기르는 것을 뜻합니다.
9 봉안(奉安) 죽은 사람의 위패나 초상화 등 귀중한 것을 받들어 모신다는 뜻입니다
10 서운관(書雲觀) 운명, 길흉 화복을 관장하는 관청을 말합니다.
11 선천군 평안북도의 서부에 있는 군으로서 남쪽으로 황해를 접하는 지역입니다.
12 성상(聖上)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13 수용(睟容) 왕의 얼굴 그림이나 사진을 뜻합니다(비슷한 말로는 어진이 있습니다)
14 순천부(順天府) 장도(獐島) 전라도 순천부에 있는 작은 섬으로서 현재 광양만 율촌의 장도지역을 말합니다.
15 신개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공조참판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집현전 제학이 되었습니다. 세종 때 전라 · 황해 · 경상 · 경기도의 관찰사를 역임한 후, 형조참판 · 예문관대제학 · 대사헌 · 도총제 등을 거쳐 이조판서로서 북변에 침입이 잦은 야인을 토벌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인재문집》이 있습니다.
16 신정하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 ·부교리(副敎理) 등을 지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서암집(恕菴集)》이 있습니다.
17 예문관 검열 조선시대에 예문관에서 사초 꾸미는 일을 맡아 하던 정9품의 벼슬입니다.
18 예조(禮曹) 조선시대의 6조에 속하는 기관으로서 제사, 학교, 과거시험, 문서, 의식, 예악 등의 일을 담당한 중앙관청입니다. 오늘날의 교육부, 문화관광부와 유사합니다
19 왕도정치 왕도정치란 힘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지는 패도정치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사상을 말합니다. 중국의 유가(儒家)들이 이상(理想)으로 삼았던 정치사상입니다.
20 요(堯)·순(舜) 요(堯)와 순(舜)은 명군으로 알려진 중국의 신화 속 군주의 이름입니다. 요(堯)와 다음대의 군주인 순(舜) 임금은 함께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요순'과 같이 함께 묶어서 불리기도 합니다. 이 말은 주로 뛰어난 군주를 찬양하거나 먼 옛날의 이상적인 군주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21 유네스코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로서 유네스코(unesco)라고도 합니다. 교육·과학·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하여 국가 간의 협력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전문기구입니다.
22 의정부(議政府) 조선 시대 행정부의 최고 통치 기관으로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이 있어 이들의 합의에 따라 국가 정책을 결정하였으며, 아래에 육조(六曹)를 두어 국가 행정을 집행하도록 하였습니다.
23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삼대실록(三代實錄)으로도 불리는 일본삼대실록은 나라시대[奈良時代, 710~794]와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85]에 국가가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방식으로 편찬한 역사서입니다.
24 저수량 중국 당나라의 서예가로서 우세남(虞世南)·구양순(歐陽詢)과 아울러 초당(初唐) 3대가로 불립니다. 그의 서체는 아름답고 화려한 가운데에도 용필(用筆)에 힘찬 기세와 변화를 담았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25 종성(終聲) 마지막에 나는 소리로서 받침을 달리 이르는 말을 뜻합니다.
26 중성(中聲) 국어의 음절 구성에서 가운데의 모음으로서 ‘땅’에서의 ‘ㅏ’, ‘들’에서의 ‘ㅡ’ 을 말합니다.
27 청실록 청(淸)나라 태조(太祖:누르하치)로부터 광서제(光緖帝)에 이르는 11대 황제의 실록을 말합니다.
28 초성(初聲) 한 음절에서, 처음으로 나는 소리로서 ‘님’에서 ‘ㄴ’ 을 말합니다.
29 편년체 역사 편찬의 한가지 방법으로서 연월일(年月日)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30 행재소(行在所) 임금이 멀리 거동할 때 임시로 머무르는 별궁(別宮)을 뜻합니다.
31 형조(刑曹) 조선시대 행정실무기관인 6조에 속하는 중앙관청입니다. 조선시대 법률과 민사소송, 노예에 관한 일을 주관했으며 오늘날의 법무부와 유사합니다. (이외에도 6조에는 이조, 호조, 예조, 병조, 공조가 있었습니다)
32 호남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아울러 이를때를 뜻합니다.
33 황희 고려 말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서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으나, 이성계의 간청으로 다시 벼슬길에 올라 18년간 영의정에 재임하면서 세종의 가장 신임 받는 재상으로 명성이 높았습니다. 인품이 원만하고 청렴하여 모든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에도 뛰어나 몇 수의 시조 작품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34 훈도 조선시대 서울의 4학(四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담당한 정·종9품의 교관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