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상세검색

조선총독부의 말기는 내선일체화, 일본식 성명 강요, 한민족의 황국신민화라는 명분 아래 한민족의 전통, 풍습, 언어 등을 말살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 상세검색

기록물 상세내용

인쇄

관유재산매불에 관한 건

기록물 이미지를 준비 중입니다.

분류
: 세무 > 관유재산관계 > 매불, 대부,양여, 교환, 기부 관계 > 관유재산매불에 관한 건
생산년도
: 소화7년 ~ 소화8년(1932년 ~ 1933년)
생산부서
: 재무국 세무과
관리번호
: CJA0004002
문서번호
: 88-63
M/F번호
: 88-885
총쪽수
: 467면

확대 축소

1932년에서 1933년 함경도·평안도·강원도 지역의 관유재산(官有財産)이 어떻게 불하(拂下)되었는가를 알려준다. 표지 다음장에는‘소화(昭和) 7·8년 갑종(甲種) 2,802호’라는 기록물철 번호와 함께 건명목록(件名目錄)이 첨부되어 있다. 위 기록물철들은 1929년에서 1933년 함경도·평안도·황해도·강원도 등 주로 북한지역의 관유재산 매불(賣拂)상황을 알려준다. 관유재산(官有財産)의 매불(買拂)은 각 도(道)의 의견이 존중되어 처리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관유재산의 매불을 요청한 이유를 보면, 면유림(面有林) 조성·학교부지나 운동장 사용·금융조합(金融組合) 사무실 혹은 조합원의 화물창고 건축·삼림조합(森林組合)의 수묘 양성(樹苗養成)·저습지 매립(低濕地埋立) 등 공용(公用)의 목적이 많았다. 그러나 가옥 건축(家屋建築)·주조장(酒造場) 건설·경작지(耕作地) 전용·토지개량·과수 재배(果樹栽培) 등 개인적 이유도 상당히 많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들 기록물철을 통해 당시 토지 및 건물·선박 등의 공시지가 및 실거래 가격·이용계획·이용주체 등을 파악할 수 있어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전반기 조선의 경제 상황을 엿볼 수도 있다.

목록

번호 기록물건명 생산년도 생산부서 쪽수 공개구분 원문보기
22 평원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도면첨부)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1 공개가능 원문보기
21 표지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 공개가능 원문보기
20 평원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 통첩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0 공개가능 원문보기
19 북청군 소재관 유지를일반경쟁계약에의한매불의 건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1 공개가능 원문보기
18 평원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 통첩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6 공개가능 원문보기
17 안변군 소재관 유지불하의 건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20 공개가능 원문보기
16 단천군파도면 소재관 유지불하에 관한 건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9 공개가능 원문보기
15 평강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 통첩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24 공개가능 원문보기
14 평원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 통첩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15 공개가능 원문보기
13 평양부 및 대동군 소재관 유재산매불의 건 통첩 공공누리마크 1유형타입 1932 재무국 세무과 21 공개가능 원문보기

키워드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