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
전자기록관리 고도화 재설계·전략기획 워크숍 성료
국가기록원 직원 등 내·외부 관계자 각급 기관 기록관리 담당자 참석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25일 정부대전청사 대강당에서 내·외부 관계자, 각급 기관 기록관리 담당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자기록관리 고도화 BRP/ISP*」 중간보고회를 겸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은 그동안 추진해 온 중간결과를 공유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것으로, 이 사업은 정부의 업무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급증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업무 절차 및 시스템의 재설계, 중장기 혁신체계를 수립하는 것으로 전자정부지원사업비를 들여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NIA)이 발주했다.
이소연 원장 인사말에 이어 중간결과 발표,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된 이 워크숍에서는 △ 전자기록관리 업무 재설계, △ 행정정보시스템 전자기록물 관리방안, △ 장기보존 정책·전략·기술 재설계, △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기능 모델(안), △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 통합(안), △ 국가기록원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 시청각 미디어 플랫폼 구축(안) 등 7개 분야가 발표되었다.
첫 번째로 발표된 「전자기록관 업무 재설계」는 변화하는 업무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 개념을 재정의하는 것으로 생산부터 영구보존까지 현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전 과정에 대한 분석 및 효율성 재검토를 통해 업무 프로세스 및 시스템을 재설계했다. 현 프로세스는 생산시스템의 메타데이타와 전자문서 파일을 이관하는 과정에서 메타데이타의 맵핑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따라 현행 물리적 이관체계는 유지하되 메타데이타의 이관규격을 기계적으로 검토하는 프로세스를 추가하고, 전자문서 파일은 하나의 스토리지에 공유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은 현재 각 기관에서 운영 중인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기준표 개발·운영, 생산에서 폐기까지 생산기관 자체관리를 위한 업무절차, 기술지원센터 설치·운영 등의 방안을 마련했다.
「표준 AMS 기능개발모델(안)」은 지방영구기록관리의 효율적인 기록물관리 지원을 위한 것으로 국가기록원이 전자기록의 유형별 기능을 모듈화 한 영구기록관리시스템(AMS) 기능모델을 마련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요청하면 이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 컨설팅도 국가기록원이 담당하게 된다.
「장기보존포맷 정책·전략 재설계안」은 대규모·대량 생산되는 전자 기록물의 장기보존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현행 단일 문서보존포맷 (PDF/A)과 장기보존포맷(NEO)을 전자기록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보존포맷으로 확대한다. 「온-나라·CRMS 통합방안」은 클라우드 환경의 중앙부처 온-나라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CRMS)를 통합해 하나의 문서 저장소(스토리지)를 공유·사용함으로써 물리적 이관이 불필요하도록 응용기능 및 인프라 구성방안이 마련된다.
「국가기록원 전산자원 클라우드 전환」은 이관 및 보관 대상 전자기록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다 유형이 다양화됨에 따른 것으로 노후화된 정보시스템을 교체하고 자원통합을 통한 IaaS기반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다. 「시청각미디어 플랫폼 구축(안)」은 공공기관에서 생산된 모든 시청각 기록물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등록·보존·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념모델 및 인프라를 구성·활용하는 방안이다.
이어 질의응답에서는 현장 적용 시 예상되는 문제점과 개선안 등을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편 NIA는 수행업체가 내년 3월 중순까지 제안요청서를 작성·제출하면 사업추진을 위한 ‘고도화 TF’ 및 ‘외부자문단’ 1차 회의를 거쳐 빠르면 4월 중순 조달공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