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01

2023 동아시아기록관리협의회(EASTICA) 집행이사회 및 정기총회 참석

- 우리나라, 동아시아기록관리협의회 의장국으로 선출

- 11월 29일, 중국 선전에서 제16회 동아시아기록관리협의회 정기총회 개최

- 4년 만의 대면 행사에 6개국 80여 개 회원기관 300여 명 참석

< 취임사 하는 하병필 국가기록원장 >

우리나라가 11월 29일 중국 선전에서 개최되는 제16회 동아시아기록관리협의회(EASTICA, EAST ASIA Regional Branch of the ICA) 정기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의장국으로 선출되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 2011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의장국을 맡아 2027년까지 4년간의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의장국은 총회와 집행이사회를 주재하고, 실적·재무·사업계획 보고, 총회개최지 결정 등 회의에 상정되는 모든 안건의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아시아기록관리협의회는 세계기록관리협의회(ICA,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산하 13개 지역별 지부 중 하나로, 동아시아지역 기록관리 기관 및 전문가들의 상호 교류와 발전을 위해 1993년 7월에 발족했다.

현재 대한민국, 일본, 중국, 홍콩, 마카오, 몽골, 북한 등 7개국 78개 회원기관이 활동 중이며, 동아시아 지역의 기록관리 기구·기록관리자 상호 간 교육협력 강화의 장으로써 ▲정보교환과 기록물의 국제적 보존·보호·활용 증진, ▲기록관리 교육과정 운영, ▲East Asian Archives(연간), EASTICA 뉴스레터 등 간행물 발간을 통해 회원국의 기록관리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정기총회는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 일본에서 개최된 이후 4년 만에 개최되는 대면 행사로 개최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북한을 제외한 6개 회원국 기록관리전문가 약 300여 명이 한 자리에 모여 새 지도부를 선출하고, 1박 2일간 국제학술 세미나, 각 나라별 사례공유 등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총회 첫날인 11월 29일에는 ‘디지털 시대, 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리전문가들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행사가 개최되었다. 호주와 캐나다의 기조연설에 이어 한국, 중국, 홍콩 등 4명의 발제자가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리전문가의 역할과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ICT 기술의 도입에 따른 기록관리 환경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기록관리 전략 등이 논의됐다.

둘째 날인 30일에는 모든 회원국이 발표에 참여하는 ‘회원국 국가보고(Country Report)’를 통해 각 국가별 주요 활동을 공유했다. 우리나라는 회원국들이 높은 관심을 가진 ‘대한민국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취약국가 디지털화 지원사업’을 소개하고, 강진으로 인해 훼손된 미얀마 바간 지역 사진기록 복원사업(’18.6~), 모로코 국가기록원 디지털화 지원사업(’23~’25) 등 기록관리 개발도상국가 무상원조사업 추진 현황을 발표했다.

하병필 국가기록원장은 정기총회에 앞서 28일, 2019년부터 올해까지 의장직을 수행한 중국의 왕 샤오정(Wang Shao Zhong) 국가당안국장을 만나 양국 간 기록관리 분야 협력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2014년에 기록관리 분야 업무협약을 갱신하고, 자료 교환, 학술‧연구 지원 및 전문가 교류, 각국 공동행사(워크숍, 세미나 등) 개최 등 기록관리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해 활발히 교류해 왔다.

02

2023년(2022년 실적) 기록관리 평가 결과 공개

- 242개 공공기관, 2023년 기록관리 현황 평가 결과 발표

- 중앙행정기관은 전반적으로 우수, 특별지방행정기관 및 국․공립대학교는 기관 간 격차가 큼

- 향후 우수기관 유공포상 및 우수사례집 발간, 미흡기관 맞춤형 컨설팅 등 실시

국가기록원은 중앙행정기관, 특별지방행정기관, 국․공립대학교 등 24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2년 실적에 대한 기록관리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국무회의에서 공개했다.

기록관리 평가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역량 강화 및 개선유도를 위해 2007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중앙행정기관(53개), 특별지방행정기관(147개), 국·공립대학교(42개)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올해 기관평가는 기록관리 업무기반, 기록관리 업무추진, 기타 등 3개 분야에 대해 10~16개 평가지표(정량․정성지표)를 적용하여 5등급(가~마등급)을 부여하였다.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 점수는 77.5점으로, 이전(’21년) 평가 대비 소폭 상승(+1.2점)하여 전체적인 기록관리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로는 중앙행정기관 평균이 89.0점으로 특별지방행정기관 69.9점 및 국·공립대학교 73.5점 대비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중앙행정기관은 전체 53개 중 66.0%에 해당하는 35개 기관이 가등급이고, 다등급 이상은 94.3%인 50개 기관으로 기록관리 수준이 전체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별지방행정기관 및 국․공립대학교는 가등급 비율이 20% 내외인 반면, 마등급 비율도 20%를 넘어 기관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 분야별로는 기록관리 업무기반 분야 평균이 76.7점으로 업무추진 분야 79.7점 및 기타분야 80.8점 대비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기반 분야 지표에서 ‘전담조직·인력배치’ 관련 점수가 중앙행정기관은 82.6점인 반면, 특별지방행정기관 45.2점 및 국·공립대학교는 47.1점으로 매우 미흡한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 모든 기관의 평가결과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 공개됨

국가기록원은 전체 기관에 평가 종합결과 및 기관별 분석보고서를 제공하여, 지표별 수준 및 미흡사항을 파악하고 기관 자체 개선안을 마련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기관 유형별 우수기관 및 개선노력 실적이 뛰어난 기관에 대해서는 포상실시 및 우수사례를 전파하고, 미흡기관은 맞춤형 컨설팅과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03

2023년 기록관리 관계기관 연찬회 개최

국가기록원은 공공기관 기록관리 담당자와 기록관리 주요 정책 및 현안, 공통 관심 사안 등에 대한 공유 및 의견수렴을 위한 ‘2023년 기록관리 연찬회’를 12월 6일(수)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에서 개최하였다.

기록관리 연찬회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개최되다가, 코로나19로 중단된 이후 기관별로 소규모 협의회, 영상회의 등을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 목적

    국가기록원과 각급 기관 기록관리 담당자 간 주요 현안, 기록관리 우수사례 등의 공유 및 의견수렴 등을 목적으로 매년 개최(2007~2017까지 총 9회 개최)

  • 내용

    전문가 특강, 기록관리 우수사례 및 연구결과 발표, 당해연도 현안 등 논의, 차년도 기록관리 계획 및 지침 공유, 기관유형별·권역별 업무협의회 개최

이번 기록관리 연찬회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정부산하 공공기관, 대학 등 144개 기관 200여명이 참석하여 전문가 특강, 우수사례 발표 및 주요 정책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마련되었다.

또한, 전자기록관리 발전에 앞장 선 유공자에 행안부장관 표창이 수여되었다.

전문가 특강에서는 정기애 국가기록관리위원장이 ‘디지털 암흑시대의 기록관리자의 사명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디지털 기록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록의 역할과 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패러다임 및 대응 전략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으로 강의하였다.

민간단체 기록관리 우수사례로는 우리마을기록단(해방촌), 맨발동무도서관(대천마을), 강원아카이브 협동조합(원주) 등 지역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록화 사업을 추진해 온 사례와 카라(동물권), 우토로마을(동포연대), 숲과나눔(환경) 등 특정 주제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 온 아카이빙 사례 등이 소개 되었다.

이어서, 기록물통합서비스플랫폼 구축 현황에 대한 소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주요 추진현황 및 시스템 소개가 진행되었다. 또한, 통합인수 등 기록물 이관 및 정리방안, 기록관리기준표(단위과제) 운영 관련 협조 요청, 비밀기록물 유형별 이관 및 관리 방안 등 기관의 협조가 필요한 사항 등에 대한 협조 요청, 질의응답 등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연찬회를 통해 국가기록원과 공공기관 기록관리 담당자 간 기록관리 관련 정책 및 주요 현안, 공통 관심 사안에 대한 정보 공유, 소통의 장이 마련될 수 있었다. 앞으로도 기관 간 협력을 위하여 연찬회 등 소통 채널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