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 국가기록원 대상
국제 기록관리 연수과정 운영
국가기록원은 4월 22일(화)부터 29일(화)까지 스리랑카 국가기록원 실무자 8명을 초청해 ‘스리랑카 국제 기록관리 연수과정’을 운영했다.
이번 국제 기록관리 연수과정은 한국의 선진 기록관리 경험·성과를 공유하고 스리랑카의 기록관리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3년(2023년~2025년) 과정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기록관리 기본 이론부터 실습·실행계획 수립까지 단계별 교육이 진행됐다.
구분 | 1차년도 (’23 - 온라인/40명) |
2차년도 (’24년 - 온라인/16명) |
3차년도 (’25년 - 초청/8명) |
---|---|---|---|
연수방향 | 총론 / 기본강의 | 방법론 / 실무 프로세스 강의 | 적용/실습 + 전략수립 |
교육내용 | 기록관리 기본 원칙, 법·제도 및 표준 등 | 디지털기록 이관, 보존 등 절차별 실무 프로세스 | 디지털(화) 기록관리 실습 및 액션플랜 수립 등 |
올해는 연수 마지막 3차 전문과정으로, ‘디지털 기록관리 역량 강화’를 주제로 한국 국가기록원 성남분원에서 진행됐다. 이번 과정은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교육과목을 설계했는데 ▲보존·복원 실습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사례 ▲스리랑카 기록관리 현안 토론·실행계획 수립 등 현장 중심의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특히, 1·2차 온라인 교육에서 한계가 있었던 기록의 디지털화·보존·복원 과정에 대한 실습 교육을 제공해 스리랑카 기록관리 공무원의 실무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아울러, 한국의 전통문화 및 인공지능(AI) 기반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문화탐방 프로그램도 병행했다.
모듈 | 강의 및 세미나 |
---|---|
Module Ⅰ 한국의 기록관리 |
▸ 한국의 기록관리 정책과 프로세스 ▸ 디지털정부 정책 및 우수 사례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기록관리 사례 |
Module Ⅱ 디지털 기록관리 실무 |
▸ 국제표준을 활용한 기록물 정리·기술 사례 ▸ 기록물 보유기간 및 폐기 정책 ▸ 기록물 디지털화 전략 및 실습 (종이·시청각) ▸ 기록물 보존·복원 실습 ▸ 기록물 생산·관리시스템 기능요건 분석 및 구축 사례 |
Module Ⅲ 현안 과제 토론 및 액션플랜 |
▸ 스리랑카 기록관리 현안 과제 발표 및 토론 ▸ 액션플랜 : 방법론 → 주제 선정 → 실행계획 수립 → 발표 ▸ 액션플랜 보완 및 관련 전문가 면담 |
Module Ⅳ 한국 문화 이해 |
▸ 최신 디지털 기술 체험 ▸ 경복궁, 북촌한옥마을, 하이커그라운드 등 서울시티투어 |
한편, 국가기록원은 2008년부터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국제 기록관리 연수과정을 진행해 왔으며, 지난해까지 베트남, 인도네시아, 페루 등 아시아·남미·아프리카 지역 28개국 총 540여 명의 기록관리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제연수 과정을 운영했다.
-
입교식
-
성남분원 시설견학
-
보존처리 실습
-
디지털화 실습
-
최신 기술 체험(SK 미래기술체험관 T.um)
-
문화 체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