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국가중요기록물
맞춤형 복원처리 지원 완료
국가기록원은 2025년 상반기 국가중요기록물의 보존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복원 처리 지원을 완료했다.
「’24~’25년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대상 중 일부로, 「여운형 친필 편지 및 문서」(몽양기념관 소장), 「대정팔년 보안법사건 석천검사」(민족문제연구소 소장) 등 4개 기관 44건 366매를 처리했다.
신청기관 | 기록물명 | 생산년도 | 매수 | 이미지 |
---|---|---|---|---|
몽양기념관 | 여운형과 함양 여씨 일가의 편지 및 문서 |
1890~ 1940년대 | 31건 90매 | ![]() |
민족문제연구소 | 大正八年 保安法事件 石川 檢事(대정팔년 보안법사건 석천 검사) | 1919 | 1건 234매 | ![]() |
민주화운동기념 사업회사료관 | 민족일보 정관 및 함평고구마사건 경과 보고 등 |
1961, 1977 | 3건 28매 | ![]() |
파주중앙도서관 | 교지(敎旨), 사제문(賜祭文), 세계첩(世係帖) |
1593~ 19세기 중반 | 9건 14매 | ![]() |
여운형과 함양 여씨 일가의 편지 및 문서(몽양기념관 소장)
이 기록은 독립운동가 몽양 여운형과 함양 여씨 일가의 친필 문서로, 기록을 남기기 어려웠던 독립운동 시기에 남겨진 여운형의 친필자료로서의 가치 뿐 아니라 여운형의 독립운동과 업적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사료로서도 가치가 크다.
-
복원처리 전 상태
- (수침 피해) 수침 피해로 곰팡이와 물 얼룩 등의 오염 및 지력(紙力) 약화, 결실이 진행
- (접착력 약화) 두 장 이상의 종이를 풀로 연결한 부분의 접착력 약화로 낱장으로 흩어져 있는 상태 -
복원처리 결과
- 곰팡이 제거 및 찢김, 결실부 보강 등으로 기록물의 보존성 강화
- 보존·전시에 용이한 윈도우 매트 및 기록물 크기에 맞는 폴더·상자 제작으로 기록물의 보존 방법 개선
기록물명 | 복원 전 | 복원 후 |
---|---|---|
여운형 수첩 | ![]() |
![]() |
![]() |
![]() |
대정팔년 보안법사건 석천 검사(민족문제연구소 소장)
이 기록은 일본인 이시카와(石川) 검사가 1919년 3월~5월 사이에 일어난 함경도 지역 3·1운동 참여자를 조사하고 기소 준비를 위해 작성한 최초의 자료로, 북한지역의 지방법원 판결문을 볼 수 없는 분단 현실을 고려할 때 함흥지방법원 관할 지역의 3·1운동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
복원처리 전 상태
- (산성화) 산화(평균pH 5.07) 및 열화, 함수율 저하 현상이 진행, 기록물 바깥 부분부터 바스라지는 현상 심화
- (표지 및 제본 상태 손상) 표지 경화 및 제본 상태 손상으로 책장이 낱장으로 분리되는 등의 추가 훼손이 우려되는 상태 -
복원처리 결과
- 결실부 등 지력(紙力) 보강 및 탈산처리로 보존성 향상
- 건식클리닝으로 표면 오염 제거 및 백색도 향상으로 가독성 강화
- 앞표지 유연성 회복 및 제책으로 기록물의 안정성 확보
복원 전 | 복원 후 |
---|---|
![]() |
![]() |
![]() |
![]() |
민족일보 정관, 함평고구마사건 경과보고 등(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장)
‘민족일보 정관’ 등은 민족일보 설립 발기인, 신문발행 및 경영, 교육문화, 사회사업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다.
‘함평고구마사건 경과보고’는 1970년대 대표적인 농민운동이자 자주적 농민운동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함평고구마사건의 요약, 피해 내막, 사건의 원인분석과 활동 경위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
복원처리 전 상태
- (산성화) 산성화(평균pH 4.43), 황변화, 가장자리 바스라짐 현상 진행
- (스테이플러 심에 의한 산성 전이) 책 제본 시 사용한 스테이플러 심의 산화로 산성 물질이 책장과 표지에 전이되어 부분 변색과 결실 및 책장 분리 등의 추가 훼손이 일어남
- (수침 흔적) 수침에 의한 물 얼룩과 부분적으로 지력이 약해진 부분이 있음 -
복원처리 결과
- 결실부 보강처리 및 탈산처리로 기록물의 보존성 향상
- 건·습식클리닝으로 표면 오염 및 수침에 의한 물얼룩 제거로 가독성 향상
- 보존성이 좋은 한지로 끈을 제작·제책하여 안정성 확보
기록물명 | 복원 전 | 복원 후 |
---|---|---|
민족일보 정관(定款) | ![]() |
![]() |
교지, 사제문, 세계첩(파주중앙도서관 소장)
교지는 조선의 무신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워 벼슬을 낸 박진(朴晉, 1560.8.15.∼1597.3.)에게 임진왜란 중 발급된 것이다.
세계첩(世係帖)은 파주와 고양 일대 밀양박씨 일족의 직계 가계와 조상들의 생신·기일을 함께 기록한 첩으로, 첩의 봉투까지 남아 있어 보존가치가 있는 기록이다.
-
복원처리 전 상태
-(결실 및 지력(紙力) 약화) 온·습도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오랜 보존되면서 충(蟲)과 곰팡이 등에 의한 훼손으로 전체적으로
결실과 지력(紙力) 약화-(수침 흔적) 수침에 의한 물 얼룩과 부분적으로 지력이 약해진 상태
-(잘못된 수리 흔적) 기록물 뒷면에 실시한 배접에 의해 원형이 왜곡·변형됐으며, 이때 사용된 종이와 접착제로 기록물이
경화되어 꺾임 현상 등 훼손 진행 -
복원처리 결과
- 결실부 보강처리 및 탈산처리로 기록물의 보존성 향상
- 건·습식클리닝으로 표면 오염 및 수침에 의한 물 얼룩 제거로 가독성 향상
- 결실이 심화된 교지(4점)는 「조선왕조실록」, 「난중잡록」 등 남아 있는 기록들을 참고로 하여 기록물명 및 기록물 원형 복원
기록물명 | 복원 전 | 복원 후 |
---|---|---|
박진 동지중추부사 임명 교지 (朴晉 同知中樞府事 任命 敎旨) |
![]() |
![]() |
한편 하반기에는 ‘한국아동만화자율위원회 심의 장부’(한국만화박물관 소장), ‘보성교유회보창간호’(가천박물관 소장) 등 4개 기관 5건 156매에 대한 복원처리를 지원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