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공기록물 권역별 수집·보존체계 본격 가동
국가기록원, 보존서고 기능서 수집·보존·활용 중심으로 전환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정부3.0과 연계한 대국민 기록서비스 강화와 미래 기록관리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폭적인 조직개편과 인력 재배치에 이어 권역별 수집·보존·활용체계를 출범시켰다.
국가기록원은 3월 명칭과 기능이 개편된 서울·부산·대전기록관 현판식을 갖고, 수집·보존·활용 중심의 권역별 기록관 업무를 본격화 했다.
성남과 대전으로 나누어 있던 본원을 정부대전청사로 일원화하여 3부 3기록관 17과 1센터이던 조직을 3부 4기록관 17과 체제로 전환하는 조직개편과 인력 재배치를 실시했다.
이 같은 조직정비와 인력 재배치는 기록관리 전반의 미래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존서고 기능을 수행해 오던 기존의 기록관을 수집·보존·활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과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대전기록관 현판 제막식

대전기록관 현판 제막식

서울기록관 현판 제막식

서울기록관 현판 제막식

부산기록관 현판 제막식

부산기록관 현판 제막식

이벤트 일러스트

이에 따라 나라기록관(성남)은 서울기록관으로, 대전기록관(대전)은 대전기록관으로, 역사기록관(부산)은 부산기록관으로 기능과 명칭을 개편하고 각각 현판식을 가졌다.
2월 5일 현판식을 가진 부산기록관은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권 소재 특별지방행정기관 및 군기관 64개, 자치단체 75개, 교육청 57개 등 총 196개 기관의 기록물을 수집·보존·활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월 5일 현판식을 가진 대전기록관은 대전,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제주 소재 중앙행정·특별행정, 자치단체, 교육청 등 215개 기관의 기록물을 수집·보존·활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월 11일 현판식을 가진 서울기록관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세종 소재 중앙행정기관 38개, 특별행정기관 47개, 지자체 89개, 교육청 63, 군기관 11개 등 총 248개 기관의 기록물을 수집·보존·활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국가기록원은 "안정적인 업무수행과 조기정착을 통해 관리체계 전환에 따른 불편과 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며 "권역별 수집·보존·활용이 정착되면, 정부 3.0 핵심가치에 기반을 둔 대국민 기록서비스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지난 2월 9일 서울기록관을 시작으로 10일 대전기록관, 12일 부산기록관에서 각각 관할권역 정부기관 등 기록물수집 대상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달라진 권역별 체계와 2015년 기록물 수집계획, 관리지침 등을 설명하고 일선 기록관리 담당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새로운 관리체계의 조기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다.

기록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2015년 기록물 관리지침 주요 개정사항과 국가기록원의 주요 정책방향 등을 설명하는 사진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지난 2월 9일부터 12일까지 중앙 및 지자체 등 632개 기관 기록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2015년 기록물 관리지침 주요 개정사항과 국가기록원의 주요 정책방향 등을 설명하고 공유하는 소통의 자리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