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01과거-현재-미래 민주주의 현장, 예술적 무대로 재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일민미술관 《새일꾼 1948-2020: 여러분의 대표를 뽑아 국회로 보내시오》 전시

앙선거관리위원회와 일민미술관은 4월 15일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3월 24일부터 6월 21일까지 《새일꾼 1948-2020: 여러분의 대표를 뽑아 국회로 보내시오》 전시를 선보인다.

‘아카이브형 사회극’을 플랫폼으로 한 전시 《새일꾼 1948-2020》은 최초의 근대적 선거였던 1948년 5·10 제헌국회의원선거부터 올해 4·15 총선까지 73년 선거의 역사를 통해 한국 근대사회의 근간을 이룬 선거의 의미를 되돌아보며, 투표와 같은 참여의 행위가 개인의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부터 국가적 운명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화의 갈림길에서 역사를 전개시켜왔는지 살핀다.

이번 전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기록보존소가 소장한 400여 점의 선거 사료와 주요 신문기사 등 선거 73년의 역사를 다층적으로 기록한 아카이브 자료와 함께, 동시대예술가 21팀이 참여한 설치·퍼포먼스·문학·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과 함께 갈등과 경합 그리고 축제의 장을 펼쳐보인다.

  • 5·10 제헌국회의원선거 포스터(1948)

  • 조선화보 제25호(1948)

대한민국 선거사는 권위주의 정권에 의한 선거제도 왜곡과 이에 저항해온 역사였다. 역설적이게도 3·15 부정선거는 4·19 혁명을 촉발하였고 이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뤄내는 등 민주주의 발전의 시금석이 되었다. 전시는 이러한 선거의 역사를 통해 주권자로서 국민이 민주주의의 가치가 실현되고 확대된 과정을 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전시기간 동안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열린다. 매주 새로운 주제로 실시되는 ‘위클리 보트(Weekly Vote)’에서는 동시대 첨예한 사회, 정치적 사안 뿐 아니라 일상에서 누구나 관심가질 만한 이슈들을 선정하여 투표와 입법, 개표 퍼포먼스를 시연한다. 매주 선정된 다양한 투표 주제로 전문 패널과 예술과, 관객 등이 참여하는 <입법극장>이 매주 수요일 진행되고, 일요일마다 개표 퍼포먼스를 진행하여 주간 투표결과를 전시장 내 현황 게시판에 발표한다.

  • 《새일꾼 1948-2020》 전시 전경      *일민미술관 제공

  • 작가그룹 ‘일상의 실천’의 관객 참여 퍼포먼스 설치작품
    ‘이상국가: 유토피아’      *일민미술관 제공

  • 부정선거의 천태만상을 재구성한 정윤선 작가의 설치작품
    ‘광화문체육관-부정의 추억’      *일민미술관 제공

02함평교육지원청, ‘함평교육사’ 발간·신청사 라키비움 구축

함평교육지원청(교육장 김 완)이 함평교육을 가장 함평다운 역사로 기록한 「함평교육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발간하고, 신청사에 함평교육사 전시 공간 ‘라키비움’을 구축했다.

함평교육지원청은 지난해 3월 발간 계획을 수립한 뒤 지역 내 향토사학자와 함평 출신 교직원을 중심으로 함평교육사발간위원회를 구성해 집필활동을 펼친 끝에 최근 책을 발간했으며, 교육현장에 접목하기 위해 전자책과 블로그 제작까지 마쳤다.

「함평교육사」는 총 320쪽으로 △제1부 ‘함평교육 이 땅을 딛고 선 청년들을 애국자로 키우다’, △제2부 ‘어제의 함평교육에서 역사를 만나다’, △제3부 ‘함평교육의 오늘을 보며 내일을 꿈꾸다’로 구성되었다. 특히, 전국 최초의 사립학교 기부채납에 따른 적정규모학교 재배치사업 등 함평의 핵심 교육정책과 교육에 대한 열정을 재조명해 지역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함평교육사」는 학교문화가 지역의 정신적 기반 및 공동체의식 형성에 구심적 역할을 한 지역문화임을 공유하기 위해 지역교육공동체의 역사를 기반으로 기술되었다. 이는 학교문화와 함평인의 삶을 연계함으로써 애교심을 고취하고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는 평이다.

함평교육지원청은 최근 이설한 신청사 1·2·3층 로비에 함평 교육사를 전시하는 라키비움을 구축해 함평군민을 위한 다목적 공공 문화 공간 및 학생들의 현장학습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라키비움(Larchiveum) :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의 기능을 함께 가진 복합문화공간

김 완 교육장은 “함평교육사 발간을 통해 과거·현재·미래가 이어지는 ‘함평 교육공동체 역사의 선순환 고리’가 구축됐다”며, “함평의 역사·문화·환경이 학교 교육 속에 녹아들어 교육이 지역사회에서 성장하고 누리는 데 발판으로 작용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함평교육 우리모두의 이야기」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