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컨텐츠 바로가기

MENU CLOSE


01

보물지정 홍패보다 앞선 조선시대 무과급제
홍패(왕지) 복원되다

국가기록원은 현재까지 보물로 지정된 조선 초기 무과급제 홍패*(왕지**)보다 발급 연대가 빠른 김수연 왕지(金壽延 王旨)의 복원을 완료했다. 복원된 홍패는 1434년 김수연 무과급제 홍패로 현재 보물로 지정된 홍패보다도 1년이나 앞서 발급된 것이다.

* 홍패(紅牌) : 조선시대 문·무과 급제한 사람에게 주는 증서
** 왕지(王旨) : 고려 말~조선 초 국왕의 명을 담아 내린 문서. 조선 세종 때에 이르러 교지(敎旨)로 통일되어 사용됨

또한 현재까지 무과 방목*의 기록에서만 보았던 1434년 무과 급제자의 홍패(왕지) 실물이 확인되었다는 측면에서도 학술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홍패(왕지)에 찍혀 있는 어보 ‘국왕행보(國王行寶)’가 주목할만하다. 실록 기사를 근거*로 한 그간의 연구에서는 1433년 3월~1443년 10월 사이에 발급한 홍패(왕지)에는 ‘국왕신보(國王信寶)’가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를 연대순, 시험 종목별, 성적 순으로 수록한 문서

그러나 김수연 왕지에서 ‘국왕행보’가 사용된 사실이 확인됨으로써 기존의 견해에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 「세종실록」59권, 세종15년(1433) 3월 2일(을묘) - ‘국왕신보’와 ‘국왕행보’를 새로 만들어 ‘국왕신보’는 사신(事神)·교육(敎育)·공거(貢擧) 등에 쓰고, ‘국왕행보’는 책명(冊命)·제수(除授) 등에 쓰도록 함

이에 대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성호 교수는, “1433년 3월부터는 새로 주조한 어보(御寶)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로서 제도 마련 초기에는 과거 급제 문서인 홍패에도 ‘국왕행보’를 사용하다가 제도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관직 임명 문서에는 ‘국왕행보’를, 과거 급제 문서에는 ‘국왕신보’를 날인하도록 엄격히 구분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1434년 김수연 무과 홍패는 조선 초기에 국가에서 시행한 무과 시험 급제자에게 발급한 국왕 명의의 합격증이다.”라며, “현재 보물로 지정된 1435년 조서경 무과 홍패와 1435년 이임 무과 홍패보다도 1년이나 앞서 발급된 진본 문서로서 주목된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이 이번에 복원한 기록물은 김수연 왕지와 함께 김해김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김수연의 아들 김호인 교지*까지 2점이다. 이 기록물들은 지난해 국가기록원 맞춤형 복원처리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어, 올해 5월부터 약 4개월에 걸쳐 복원되었다.

* 영암 유학교도 김호인(1430∼1491, 김수연의 아들)이 문종 즉위년(1450) 10월 12일, 경오식년문과(庚午式年文科) 정과(丁科)에 22등으로 급제하여 발급 받은 문서

김수연 왕지와 김호인 교지는 불안정한 보존환경에서 오랫동안 기록물을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여 생긴 꺾임과 종이 사이의 들뜸 현상 및 충(蟲)과 균(菌)에 의한 표면 오염, 결실 등의 훼손이 심화된 상태였다. 이에, 건·습식 세척(클리닝)으로 기록물 표면과 기록물 내에 침투되었던 곰팡이 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원본과 유사한 한지로 결실부를 보강하여 기록물의 가독성과 보존성을 향상시켰다.

  • 처리 전 상태조사(pH 측정)
  • 처리 전 상태조사(성분 분석)
  • 아교 더하기
  • 습식클리닝
  • 부착물 제거
  • 결실부 보강

복원이 완료된 김수연 왕지와 김호인 교지는 국가기록원 누리집(http://www.archives.go.kr)에서 공개했다. 국가기록원은 2008년부터 전문인력과 보존환경·예산이 열악한 민간·공공기관의 훼손된 중요기록물을 대상으로 7,200여 매(74개 기관)의 복원처리를 지원한 바 있다.

02

국가기록원, 태풍 ‘힌남노’로 훼손된 기록물 긴급복구지원

  • 침수기록물 복구 위해 포항 현장지원팀 파견

    국가기록원은 지난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발생한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시 침수기록물의 긴급 복구를 지원했다. 지난 9월 6일(화) 태풍 ‘힌남노’로 인해 경북 포항시 행정기관의 기록물 보존서고가 침수되어 기록물이 훼손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가기록원은 9월 8일(목) 피해 상황을 접수한 즉시 현장에 응급조치 사항을 안내하고, 9월 9일(금) 새벽 기록물 응급 복구 꾸러미(키트 3세트)*와 침수기록물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관 상자 50개를 포항시에 직접 전달하였다.

추석 연휴 기간에도 침수기록물에 묻은 진흙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과 건조하는 방법, 습기 차단 등 응급 조치 방법을 지속 안내하였다.

* 기록물 응급복구 꾸러미는 오염물 세척 물품, 건조 및 보관 재료, 복원용 소도구 등과 응급복구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난 등으로 인한 중요 기록물의 멸실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기록원이 작년에 직접 개발하여 풍수해 관련 정비산업 선정지역 37개 시‧군‧구에 우선 배포한 바 있다.

또한, 국가기록원은 9월 13일(화)부터 9월 15일(목)까지 3일간 기록관리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기록물 복구 현장지원팀’을 포항시에 급파하여 침수된 중요기록물을 긴급 복구하고, 기록물 보존상자(50개) 등을 추가로 지원하였다.

국가기록원의 기록물 복원전문가 3명과 기록관리 현장 자문을 위한 인력 6명(총 9명)으로 구성된 기록물 복구 현장지원팀은 침수기록물 문서 320권, 지적도 300매 등을 응급 복구하고, 추후 피해기록물 관리방법과 보존서고 복구를 위한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국가기록원은 재난 피해 기록물은 제때 복구해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신속히 기록물 복구를 지원했으며, 피해 기록물이 완전히 복구될 때까지 지원을 늦추지 않을 예정이다.

03

2022년 세계기록관리협의회(ICA) 연례회의 참석

국가기록원은 9월 19일(월)부터 9월 23일(금)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된 2022년 세계기록관리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연례회의에 참석했다.

ICA는 세계 각국 기록관리 기구 및 기록관리자의 상호교류를 위한 것으로 1948년 창립해 현재 199개국 약 1,900여 기관과 개인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회가 열리지 않는 매년 연례회의를 개최해 기록관리 분야에 대한 정보 교류와 기록물의 국제적 보존·보호·활용을 위한 장으로 활용 한다.

기록원 관계자들은 연례회의 환영행사, 연례총회, 2022년 국가기록원장 포럼 등 행사에 참석하고 9월 23일(금)에 열린 세션에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와 ‘민간기록관리’를 주제로 발표했다.

국가기록원은 1979년 ICA에 가입했으며 현재 ICA 동아시아지역지부(EASTICA) 창립회원 및 의장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에는 ICA 집행이사회를 개최하고 2016년 서울에서 ICA 총회를 개최한 바 있다.

04

시청각 디지털화 지원센터 운영

국가기록원은 시청각 아날로그 매체의 보존관리를 위하여 시청각 디지털화 지원센터를 조성하여 본격 운영한다. 이용대상은 오디오와 비디오테이프로 테이프류는 생산 후 15년이 지나면 자성이 약해져 심할 경우 내용마저 사라져 디지털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각 기관마다 디지털화 장비를 모두 갖추기는 힘들어 국가기록원은 디지털화 지원센터를 통해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게 되었다.

디지털화 지원센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관은 공공기관 및 법인단체로 신청 후 지원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장비 사용 방법에 대해 안내를 받고 직접 디지털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용 및 신청방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05

제64회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정기회의

제64회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정기회의가 9월 28일(수) 서울(센터포인트광화문빌딩)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2년 제1차 기록관리 공공표준」 제·개정(제정 1건, 개정 20건)을 심의하고, ‘태풍 힌남노 관련 포항시 기록물 복구지원 결과’ 를 보고했다.

국가기록관리위원회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근거하여 설치되어 법률에 규정된 대로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기록물관리 표준의 제정·개정 및 폐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간의 협력 및 협조 사항 등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