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적
> 주제별 해제 > 고적 > 총설   
배경
배경 총설 배경 고분 유적 배경 기타 경주지방고적 배경 기타 탑고적
배경 북청성남문 배경 금산사 배경 미륵사지석탑 배경 기타 각종 고적
배경 평양보통문 배경 부석사 배경 분황사석탑  
배경 기타 북한지방고적 배경 불국사 배경 중원탑평리칠층석탑  
배경 총설
 고적으로 분류되어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은 모두 조선 시대와 그 이전의 전통 건축물에 대한 실측도 및 수리도면들이다. 이러한 도면은 현재 국가기록원에 262매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의 표와 같다.
 고적 시설의 해제는 고분, 사찰, 탑 등 유형별 시설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지역적 분류 또한 반영하였으며, 도면의 수량이 풍부하거나 건축적 가치가 높은 시설은 독립적으로 해제하였다. 일제시기 작성된 고적 관련 도면들에는 상당수 실측도가 포함되어 있어, 당시 각종 고적들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붕괴되었거나 붕괴 위험이 있는 고적들에 대한 수리 도면들도 포함되어 있어, 일제 시기 일본인들이 한국의 고적을 다루는데 투영된 사고와 당시의 보존 기술 등을 알려주고 있다.
 독립 이후 한국인의 손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한국 건축이 연구되기 이전, 주요한 한국 건축들에 대한 연구는 일본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는데, 1902년 세끼노 타다시(關野貞)의 한국 건축 조사가 그 시작이다. 세키노와 동료 학자들은 이후로도 1910년 중반까지 다양한 한국 전통 건축물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특히 고대 시대의 고분과 탑에 대한 조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이후로도 1930년대까지 한반도의 각종 고적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조사는 각종 문화 유물이 일본으로 반출되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번호 시설명 지역 도면 해제문
1 북청성 남문 함남 15 북청성 남문
2 평양 보통문 평남 46 평양 보통문
3 개성 만월대 경기 4 기타 북한지방 고적
4 동명관 (성천객사) 평남 1
5 용강군 고비 비각 평남 2
6 의주 통군정 평북 1
7 평양 숭령전 평남 1
8 평양 숭인전 평남 2
9 평양 을밀대 평남 3
10 평안남도 강서군 고분 갑호 분묘 평남 3 고분 유적
11 을호 분묘 평남 4
12 간성리 고분 (연화총) 평남 6
13 평안남도 순천군 고분 송계리 고분 (천왕지신총) 평남 3
14 평안남도 용강군 고분 안성동 쌍영총 (쌍영총) 평남 10
15 안성동 대총 (용강대묘) 평남 6
16 평안남도 중화군 고분 동명왕릉 (진피리10호분) 평남 2
17 평안남도 진남포 고분 매산리 엽총 (사신총) 평남 4
18
화상리 성총 (성총) 평남 1
19
화상리 대연췌총 (감신총) 평남 1
20 충청남도 부여 고분 부여 고분 충남 7
21 금산사 전북 8 금산사
22 부석사 경북 6 부석사
23 불국사 경북 36 불국사
24 경주 고적군 배치 경북 4 기타 경주지방 고적
25 경주 월성 경북 2
26 포석정 경북 3
27 미륵사지석탑 전북 6 미륵사지석탑
28 분황사석탑 경북 19 분황사석탑
29 중원탑평리칠층석탑 충북 10 중원탑평리칠층석탑
30 경주군감산사고탑 경북 1 기타 탑 고적
31 경주구황리삼층석탑 (경주군황복사고탑) 경북 1
32 경주남산리삼층석탑(쌍탑) (경주군남산사고탑) 경북 3
33 경주마동사지삼층석탑 (경주군마동고탑) 경북 2
34 정혜사지십삼층석탑 (옥산탑) 경북 1
35 안동동부동오층전탑 (경북안동군읍남오중전탑) 경북 4
36 안동신세동칠층전탑 (경북안동군부내면용상리칠중전탑) 경북 3
37 안동조탑동오층전탑 (경북안동군일직면오중전탑) 경북 2
38 상주외남면지사리석심회피탑 (경상북도상주군외남면지사리탑동석탑) 경북 1
39 서대문구락부 내 정 서울 1 기타 각종 고적
40 석고전 서울 2
41 천연정 서울 1
42 수원성 화홍문 수원 1
43 강릉객사 강릉 2
44 영남루 밀양 4
45 작원관 밀양 1
46 촉석루 진주 1
47 전등사 경기 1 -
48 경복궁 서울 12 -
49 덕수궁 서울 1 -
50 사원 미상 1 -
<총계> 26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