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적
> 주제별 해제 > 고적 > 미륵사지석탑   
배경
배경 총설 배경 고분 유적 배경 기타 경주지방고적 배경 기타 탑고적
배경 북청성남문 배경 금산사 배경 미륵사지석탑 배경 기타 각종 고적
배경 평양보통문 배경 부석사 배경 분황사석탑  
배경 기타 북한지방고적 배경 불국사 배경 중원탑평리칠층석탑  
배경 미륵사지석탑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 중에는 현재 국보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는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에 관한 도면이 6매 소장되어 있다. 이 도면들은 ‘전북익산군미륵탑실측도’ 4매와 ‘전북익산군미륵탑보존공사설계도’ 2매이다.
문화재명 도면 시설명 매수 지정 지정일 시대 소재지
미륵사지석탑 전북익산군미륵탑 6 국보 제11호 1962.12.20 백제 익산

 미륵사지석탑은 백제 무왕대(600-640)에 미륵사 창건과 함께 건립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미륵사는 17세기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영조 시대 강후진(康候晋)이 남긴 ‘와유록(臥遊綠) 중 ’유금마성기(遊金馬城記)‘의 답사기록에 붕괴된 석탑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후의 변화과정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1915년 조선총독부에서 미륵사지 내에 당간지주와 함께 남아있던 석탑을 대략 실측하고 붕괴된 서남측면에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보수하였다. 당시 석탑은 2/3 이상 붕괴된 상태로 남아 있었으며, 석탑의 동측면만이 비교적 탑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1915년 탑의 보존 공사 당시의 기술력을 동원하여 콘크리트로 붕괴된 부분을 보강하였다. 그러나 이 콘크리트 보강부분이 더 이상 탑의 구조적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없고, 외관상 석탑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이유로 석탑의 보수정비에 대한 논의는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1997~98년 전라북도에서 시행하여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에서 실시한 구조안전진단을 시작으로, 1999년 문화재위원회에서 해체보수 방침이 결정되었다. 이후 2001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미륵사지석탑 보수정비사업단을 구성하여 미륵사지 석탑의 해체와 보수정비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보수정비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도판1], [도판2], [도판3]은 1915년 당시 미륵사지석탑의 실측도이다. 각각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이며, [도판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면부는 제6층 부분까지 일정 정도 탑의 형태를 갖추고 남아 있었으나, 많은 석부재들이 제자리를 이탈하여, 붕괴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기재되어 있다. [도판2]의 우측면도를 보면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탑의 후면부분 전체가 붕괴되어 있는 상태가 기록되어 있다.
 [도판4][도판5]는 실측조사 이후, 탑의 서남측면을 콘크리트로 보강공사를 하기 위한 보존공사설계도이다. [도판4]에는 정면도와 좌측면도가 그려져 있는데, 탑 전면의 뒤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부분이 계획되어 있으며, 탑의 전면부분에 대해서 각 부재를 수선할 계획을 세우고, 그 내용을 범례에 기록해 놓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판5]는 탑의 우측면도로 탑의 후면에 콘크리트로 보강할 부분이 기재되어 있고, [도판4]에서처럼 탑의 각 부재에 대한 수선 내용을 범례에 기록하고 있다.

<참고도판>
도판1. 전북익산군미륵탑실측도 / 1, 1915년 추정 상세보기
도판2. 전북익산군미륵탑실측도 / 3, 1915 상세보기
도판3. 전북익산군미륵탑실측도 / 2, 1915년 추정 상세보기
도판4. 전북익산군미륵탑보존공사설계도 / 5, 1915년 추정 상세보기
도판5. 전북익산군미륵탑보존공사설계도 / 6, 1915년 추정 상세보기